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세계의 과학자

세계의 과학자 28,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이야기. (1)

간천(澗泉) naganchun 2025. 2. 3. 03:30

28,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이야기. (1)

 

지그문트 프로이트

 

일러두기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시인 W. H. 오든Wystan Hugh Auden1907-1973, 영국 출신의 미국 시인)이 말한 것처럼, <우리 모두는 프로이트 아래에서 다양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고 말했을(위키페디아) 만큼 위대하여서 자료가 넘치기 때문에 그의 업적과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각 사이트에서 우리가 우선 알아야 할 부분만을 편집하여 올립니다. 이해해 주시고 깊이 이해하고자 하시는 분은 그의 자료를 찾아 깊이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1, 개요

 

지그문트 프로이트(독일어: Sigmund Freud, 1856-1939)는 오스트리아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이다. 신경병리학자를 거쳐 정신과 의사가 되었으며, 신경증 연구, 자유 연상법, 무의식 연구를 수행했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심리성적 발달 이론, 리비도 이론, 유아 성욕을 제창했다.

정신분석학은 프쉬케(Psyche=그리스어 =마음, 영혼)의 갈등에 기인한 증상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임상적 방법론이며, 환자와 분석가의 대화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쉬케와 인간 주체의 관계에 관한 독특한 이론도 포함되어 있다. 정신분석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프로이트는 자유 연상법이라는 진료 기술을 개발하고 전이 현상을 발견했다. 전이는 분석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유아기를 포함한 <>의 재정의에서 유명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이론이 도출되었고, 이는 정신분석학의 핵심 교리가 되었다. 소망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서의 꿈 분석 과정에서 증상 형성에 대한 임상적 분석과 잠재적 억압 기제의 모델이 만들어졌다.

 

이 기초 위에서 프로이트는 무의식 이론을 정교화하고,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로 이루어진 정신 모델을 개발했다. 프로이트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가 존재한다고 가정했다. 리비도는 정신적 과정과 구조에 주입되며, 성애적 충돌, 죽음 본능, 강박적 반복, 증오, 공격성, 신경증적 죄책감의 근원이 된다고 여겨진다. 그의 만년 저작에서는 종교에서부터 문화까지 폭넓은 비평을 다루었다.

전체적으로 정신분석학은 임상 실천에서 활용되는 일이 줄어들고 있지만, 심리학, 정신의학, 심리치료, 인문학 전체에 큰 영향을 계속 미치고 있다. 그래서 실제 치료 효과에 대한 우려, 통계적, 과학적 입증 가능성, 그리고 페미니즘의 발전을 저해하는지 여부 등 많은 논쟁을 지속적으로 일으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의 저작은 현대 서양 사상과 대중문화에 깊이 스며들었다. 시인 W.H. 오든Wystan Hugh Auden1907-1973, 영국 출신의 미국 시인)1940년의 시적 찬사에서 프로이트가 <의견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냈으며, <우리 모두는 프로이트 아래에서 다양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고 말했다.(위키페디아)

 

'세계의 과학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큐리 부인 이야기 7-2  (0) 2025.01.22
28, 큐리 부인 이야기 7-1  (0) 2025.01.21
28, 큐리 부인 이야기 6-2  (0) 2025.01.20
28, 큐리 부인 이야기 6-1  (0) 2025.01.17
28, 큐리 부인 이야기 5-2  (0)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