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AI(인공지능)에 대하여

10, 인공지능이 인류를 경악시킨 10가지 순간(1/5)

간천(澗泉) naganchun 2023. 4. 3. 04:29

10, 인공지능이 인류를 경악시킨 10가지 순간(1/5)

 

 

 

AI가 없는 SF의 세계는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그 개발속도와 학습능력이 높음은 과연 그것은 단순한 SF안에서만이 존재인가. 어쩌면 현실은 이미 픽션을 쫓아버린 것일까? 하고 나는 의문을 안게 된다.

 

AI는 우리의 생활을 크게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산업이나 일이 점점 AI에 연결되고 있는 지금, 우리는 그것이 사회에 불가결한 일부가 되고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다음은 AI 가 인류를 경악시킨 10가지의 순간을 소개한다.

 

10, 10대 소녀의 임신을 예측하다

 

최근 쇼핑몰이나 수퍼는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통계학, 패턴인식, 인공지능 등의 데이터 해석기법을 대량의 데이터에 망라하여 적용하는 데서 지식을 끌어내는 기술에 여념이 없다. 이것은 AI의 기반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으로 고객의 기록이나 선택을 추적하여 각각에 맞춘 상품을 권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전 미국 소매 대형 매장인 <타겟>에서는 그 기법을 응용하여 고교생 소녀의 구매 이력에서 임신 유무를 예측하려고 시도했다.

 

어느 부친은 딸의 임신 등 알지 못하고 그녀 앞으로의 메일에 유유아제품 쿠폰이 송신되어 왔다고 <타겟>에 고충을 호소했다. <딸은 아직 고교생이다. 베이비 용품이 필요할 이가 없다.>

 

그런데 최종적으로 부친이 사죄를 해야 했다. <타겟>의 예측이 발랐기 때문이다. 소녀는 임신하고 있었다. AI는 부친 이상으로 딸의 일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9, 바둑의 세계왕자를 이기다.

 

1997AI가 체스의 세계왕자 가루리 가스파로후(Garry Kimovich Kasparov. 1963-=러시아 체스 선수로 15년 간 체스 세계의 참피언 )를 이겼다고 하는 뉴스가 세계를 돌아다녔고 AI가 인간을 능가할 날이 가까워졌다고 떠들썩하다. 그러나 바둑의 경우 체스와는 다르다.

 

체스는 무차별 대입공격brute force method법이 사용된다. 이것은 모든 가능성을 계산하여 가장 좋은 한 수를 고르는 방법이다.

 

그러나 바둑은 직감적인 게임이다. 다음에 놓을 수 있는 수()는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수보다 많다. 따라서 무차별대입법으로는 이길 수 없다.

 

2017년 구글의 <알파고(AlphaGo)>에 진 바둑세계왕자인 가결(柯潔)<충격을 받았다.> <깊은 감명을 받았다.>라는 말을 남겼다.

 

그에 따르면 알파고가 내는 수는 <인간끼리의 대국에서는 절대 나오지 않는다.>라는 것이었던 것 같다. 2020년에는 AI가 포커에서도 인간을 능가한다고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