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하야부사 2

여기까지 나아간 소혹성의 지구충돌을 회피하는 의론

여기까지 나아간 소혹성의 지구충돌을 회피하는 의론 2013년에 러시아 체리야빈스크주를 덮친 직경 17m의 소혹성이다. 상공 20 Km에서 공중 폭발을 일으킨 이 소혹성이 만일 지상까지 도달했다면 직경 200m의 크레이터가 생기고 부서져 날라 간 암석이 100Km 사방으로 흩어지는 등 광범위에 걸쳐 막대한 피해를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중에서 폭발한 덕분에 최악의 케이스는 면했다고 하겠는데 그래도 충격파로 깨진 파편 등에 의하여 1500명 정도가 부상을 당하였다. 이처럼 비교적 작은 소혹성이라도 비록 지상에 도달하지 않아도 위협이 된다. 소혹성 충돌의 위협이 진지하게 의론하게 된 것은 실은 최근의 일이다. 관측기술의 진보에 따라 많은 소혹성이 발견되게 된 것 그리고 그 중에서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

환경. 우주 2022.08.31

2020년 <우주천문뉴스> 1,

2020년 1, 1, 소혹성탐사기 의 지구귀환과 재출발 2020년 12월 6일 소혹성 에서 샘플 채취를 행한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소혹성탐사기 가 지구에 귀환하였다. 샘플을 채운 재돌입 캡슐을 분리한 는 비구를 이탈하여 확장 임무의 목표인 다른 혹성을 행하여 재출발한다. 는 2018년 6월에 류구에 도착하여 2019년 2월 22일에 1회째의 샘플 채취를 동년 7월 11일에 2회째의 샘플채취를 실시했다. ===*류구(162173 Ryugu )=아폴로군으로 분류되는 지구 근방소혹성의 하나이다.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실시하는 소혹성탐사 프로젝트 의 목표천체이다.=== 동년 11월 13일에 류구를 출발하여 지구로 귀로에 올랐다. 12월 6일 지구에 접근한 본체에서 떨어져 나온 캡슐은 대기..

환경. 우주 2021.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