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지구충돌 2

여기까지 나아간 소혹성의 지구충돌을 회피하는 의론

여기까지 나아간 소혹성의 지구충돌을 회피하는 의론 2013년에 러시아 체리야빈스크주를 덮친 직경 17m의 소혹성이다. 상공 20 Km에서 공중 폭발을 일으킨 이 소혹성이 만일 지상까지 도달했다면 직경 200m의 크레이터가 생기고 부서져 날라 간 암석이 100Km 사방으로 흩어지는 등 광범위에 걸쳐 막대한 피해를 주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공중에서 폭발한 덕분에 최악의 케이스는 면했다고 하겠는데 그래도 충격파로 깨진 파편 등에 의하여 1500명 정도가 부상을 당하였다. 이처럼 비교적 작은 소혹성이라도 비록 지상에 도달하지 않아도 위협이 된다. 소혹성 충돌의 위협이 진지하게 의론하게 된 것은 실은 최근의 일이다. 관측기술의 진보에 따라 많은 소혹성이 발견되게 된 것 그리고 그 중에서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

환경. 우주 2022.08.31

40억 년의 진화의 역사를 다시 한 번 고쳐도 인류는 탄생할까?(1/3)

40억 년의 진화의 역사를 다시 한 번 고쳐도 인류는 탄생할까?(1/3) 굴드의 강의 미국의 유명한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Stephen Jay Gould、1941- 2002/진화생물학자. 과학사가)는 대학의 강의를 교실의 제일 앞에서 들을 만큼 열심인 학생이었다. 그 후 대학 교원이 되자 크게 손을 흔들며 열변을 토하는 뜨거운 선생이 되었다. 학생시대의 굴드의 강의를 청강한 생물학자 조나산. B. 로소스(Jonathan B. Losos)는 내용도 매력적으로 훌륭했다고 말하고 있다. 공룡시대의 반딧불은 무슨 색이었나? 1억 년 전의 빛을 소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단지 일찍이 굴드의 강의 조교를 했던 고생물학자 닐 슈빈(Neil Shubin、1960년 12월 22일-)에 따르면(당여한 일이지만) 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