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절멸 6

네안데르탈인(2/2)

네안데르탈인(2/2) 발견의 경위 네안데르탈인이 홍적세의 인류화석이라고 인정하는 데에 45년이 걸렸다. 1856년 독일 고교교사 풀로트(Fuhlrott)는 듀셀도르프(독; Düsseldorf)의 가까운 네안델 계곡에서 파내였다는 오랜 인골을 두골의 모양이나 뇌의 용적으로 보아 원시인의 인류의 뼈라고 확신하여 의 뼈라고 학회에 발표하였다. 그러나 대학 교수들은 이라든지 , 등이라고 해서 풀로트의 설을 인정하지 않았다. 다윈의 진화론이 발표되는 1858년 전의 일이었다. 풀로트는 자설이 인정되지 않은 채로 세상을 떴는데 간신히 사후 24년이 지난 1901년 독일의 해부학자 수와르베(Schwalbe)에 의하여 네안데르탈인이 화석 인골이라는 것이 인정되었다. 그 후 같은 모양의 화석이 발견되어 의 개념도 도입되..

네안데르탈인(1/2)

네안데르탈인(1/2) 네안데르탈인은 약 20만 년 전에 유럽에 출현한 화석인류이다. 호모=네안데르탈렌시스이다. 독일의 네안데르 계곡에서 발견되었다. 4-3만 년 전까지 생존하여 호모= 사피엔스와도 공존했는데 절멸했다. 호모속의 화석인류 화석인류 중에서도 가장 일찍이 1856년 독일의 네안데르계곡(계곡을 독일어로 탈이라 한다.)에서 발견되어 그 후 유럽에서 서아시아 각지에 널리 분포하고 있고 가장 잘 알려진 화석인류이다. 약 20만 년 전에 나타나서 4-3만 년 전에 절멸했다고 생각된다. 일찍이는 구인에 속하는 인류라 했었는데 현재의 화석인류학에서는 호모속에 속한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학명은 호모= 네안데르탈렌스라고 말하게 되었다. 네안데르탈인의 문화 네안데르탈인은 모피를 입고 석기를 쓰고 수렵채집생활을 했..

네안데르탈인의 뇌를 <재현>하니 현대인보다 신경세포가 적고

네안데르탈인의 뇌를 하니 현대인보다 신경세포가 적고, -절멸한 수수께끼의 해명도- 사고 등 고도한 인지기능에 관계하는 뇌의 부위로 절멸한 구인(舊人) 은 현대인보다 신경세포의 수가 적었다는 연구결과를 독일 막스프랑크연구소 등의 국제팀이 발표하였다. 네안데르탈인이 절멸한 수수께끼의 해명으로 이어질 기능성이 있다. 논문은 9일부 과학지 사이언스에 게재되었다. 4만 ~ 3만 년 전에 절멸한 네안데르탈인의 뇌의 체적은 현대인과는 거의 같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일정한 지능을 가지고 현대인과 일시기 공존하였었는데 어째서 절멸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팀은 현대인으로서 특유의 변이가 있는 유전자 에 착안하였다. 이 유전자는 고도의 인지기능에 관계하는 뇌의 전두엽에서 작용하고 있고 네안데르탈인의 뼈에 남아있는..

약하기 때문에 절멸한 셈이 아니다. <진화의 불가사의>

약하기 때문에 절멸한 셈이 아니다. 복수의 인류가 있던 시대 약 700만 년 전에 인류가 태어나서부터 이 지구상에는 몇 십종의 인류가 진화해왔다. 당연히 2종 이상의 인류가 공존하고 있던 시대도 있었다. 아니 당연히 그게 보통일 것이다. 그러나 현재 지구상에 있는 인류는 1종뿐이다. 곧 우리들 사람(학명, 호모사피엔스)뿐이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에 익숙해져있다. 그런 때문에 어쩌다가 우리들 이외의 인류가 지구에 있다면 하고 상상할 뿐으로 우리의 마음은 조금 흔들린다. 그래서 다른 인류를 지나치게 의식해버린다. 일찍이는 인류는 어느 시대에도 1종밖에 없었다고 하여 단일종설이 유력했다. 동시에 2종의 인류가 지구에 있었던 일은 없고 1종인 채로 진화하여 현재의 사람이 되었다는 설이다. 이 설을 반증한 것이 ..

게놈 해석으로 알아낸 우리들과 절멸 인류와의 깊은 관계(3)

게놈 해석으로 알아낸 우리들과 절멸인류와의 깊은 관계(3) -7만 년 전 지상에는 5종류의 인류가 있었다.- 종래의 출아프리카설 이제 종래의 출아프리카설에 대해서 말해 보자. 인류는 약 700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탄생했다. 그 후 500만 년 이상의 사이에 인류는 아프리카에서만 살았는데 약 180만 년 전에 호노 에렉투스(Homo erectus/혹은 그 친족)이 아프리카를 나와서 유라시아에 퍼졌다. 이것이 제1회 출아프리카이다. 그러나 4종(사람, 네안데르탈인, 데니소와인, 오스트랄로데니소와인)의 공통선조는 아프리카에 남았다. 그 공통선조가 2개로 분기하여 한 편은 아프리카에 남았으나 또 한편은 아프리카를 나왔다. 이것이 제2회째 출아프리카이다. 아프리카에 남은 계통이 사람으로 진화하여 아프리카를 나..

절멸 위구종이 100만종 이상

절멸 위구종이 100만종 이상 -이름도 붙이기 전에 사라지는 종이 있다.- 인간의 활동은 여러 가지의 지구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그 하나가 이다. 곧 지구상의 생물의 종이 감소하고 있다. 세계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편 사람(호모 사피엔스) 이외의 많은 종이 절멸에 가까이 가고 있다. 그렇다고 하지만 종의 절멸 순간을 목격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생물다양성의 상실은 매우 실감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면 인간은 어떻게 해서 생물다양성의 상실을 인식한 것일까. 또 실제로 어느 정도의 심하게 절멸이 진행되고 있는 것일까. 현재의 생물다양성의 상실은 인 것인가. 절멸 위기에 임박한 100만종 생물을 다섯으로 나누는 생각을 5계설이라 한다. 5계는 동물, 식물, 균, 원생생물, 원핵생물로 된다...

환경. 우주 2020.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