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감염증 5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3) 3, 끝이 없는 싸움 인류와 감염증은 끝이 없는 싸움을 계속하게 된다. 왜냐하면 세균, 바이러스는 변이하여 모양을 바꾸어서 습격해오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익숙해진 인플루엔자이지만 정기적으로 백신을 맞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그 해에 따라 유행하는 바이러스 타입이 다르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세균보다도 변이속도가 빠르고 수개월로 기존의 약이 듣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감염증을 천연두처럼 근절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야생동물은 여러 가지 바이러스를 체내에 가지고 있어서 그것이 변이하여 사람에게 감염시키는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스나 에볼라 출혈열은 박쥐유래라고 한다. 사람이 박쥐를 먹고서 감염한다. 거기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 감염시..

과학/과학 2021.09.29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2)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2) 2, 인류는 대항책을 가져왔다. 인류도 손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상하수도의 정비는 큰 예이다. 상수도의 정비는 물을 매개로 하여 감염하는 병을 예방하였다.(기생충, 코레라. 적리, 티브스 등 소화기 계통의 감염) 상하수도가 정비되기 전에는 배설물을 강으로 흘려서 그 물이 다시 음료수로 쓰인 때문에 배설물을 통하여 감염이 퍼졌다. 음료수와 하수를 나눔으로써 감염증이 퍼지는 것을 억누를 수 있었던 것에 더해서 1800년대에는 물을 정화할 수 있게 되어 선진국에서는 안전하고 청결한 물을 마실 수 있었다. 또 인류는 의학, 역학을 발달시켜 약이나 백신을 발명하여왔다. 현대에 사는 우리들은 당연한 것처럼 느끼겠지만 200년 전에는 병에 걸려도 항생물질..

과학/과학 2021.09.28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 1)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1) 인류는 과거에도 세계규모의 감염증을 몇 번이나 경험하고 있다. 역사적인 시점에서 금후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4회에 나누어 생각해 보기로 한다. 1,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이었다.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의 역사였다. 한센 병, 코레라, 천연두 등 현재에도 알려진 감염증은 과거에 세계에서 대유행하여 많은 인명을 빼앗았다. 구체적으로는 13세기에 한센 병, 14세기에 페스트, 15세기에 매독, 17- 18세기에 천연두 19세기에 코레라와 결핵, 20세기에 인플루엔자와 에이스, 그리고 21세기에는 이 번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배경에 있는 것은 이하 3개이다. ㅇ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게 되어 인구밀도가 높아졌다는 ..

과학/과학 2021.09.27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4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4 4, 신종 코로나 후의 세계 신종 코로나는 감염증이 무서움을 인류에게 다시 알려주었다. 현재 모더나(Moderna), 바이온테크(BioNTech), 존슨 앤드 존슨(J&J)을 비롯하여 백신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 치료약도 기리아도의 렘데시비르가 입원기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나타낸데 더해서 많은 치료시험이 행해지고 있다. 가령 모두가 잘 성공했다고 하자. 모두가 잘 된다는 것은 아래와 같이 백신과 치료약이 발견, 생산, 분배되는 것을 의미한다. ㅇ 백신의 안전성, 유효성을 나타낸다. ㅇ 백신이 충분 량 생산된다. ㅇ 안전하고 유효성이 높은 치료약이 발견된다. ㅇ 치료약이 충분 량 생산된다. ㅇ 치료약이 모든 사람에게 건네진다. 이 조건이 충족되어..

과학/과학 2021.07.30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1

코로나 후의 세계를 감염증의 역사에서 생각한다. 1 인류는 과거에도 세계규모의 감염증을 몇 번이나 경험하고 있다. 역사적인 시점에서 금후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4회에 나누어 생각해 보기로 한다. 1,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이었다. 인류의 역사는 감염증과의 싸움의 역사였다. 한센 병, 콜레라, 천연두 등 현재에도 알려진 감염증은 과거에 세계에서 대유행하여 많은 인명을 빼앗았다. 구체적으로는 13세기에 한센 병, 14세기에 페스트, 15세기에 매독, 17- 18세기에 천연두 19세기에 코레라와 결핵, 20세기에 인플루엔자와 에이스, 그리고 21세기에는 이 번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배경에 있는 것은 이하 3개이다. ㅇ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게 되어 인구밀도가 높아졌다는 것 ..

과학/과학 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