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1/27 6

1, 노루 이나야 한(Noor-un-Nissa Inayat Khan, GC) (1914-1944),

1, 노루 이나야 한(Noor-un-Nissa Inayat Khan, GC) (1914-1944), 노루 이나야 한은 인도인 이슬람교도인 아버지와 미국인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슬람교 신비주의교사로 평화주의자였고 어머니는 프랑스에서 자라서 솔본느대학에서 아동심리학을 파리고등음악원에서 음악을 공부했다. 전쟁 전에는 시와 동화를 썼다. 그러나 전쟁이 발발하자 한과 오빠인 비라야도는 연합군 측에 협력하기로 하고, 한은 여자 보조공군에 입대하여 무선통신사 훈련을 받아 프랑스 특수작전부에 채용되었다. 스파이로서 일하기는 어질다고 판단되어 한은 나치 점령하의 파리에 파견되었다. 다른 통신사가 체포되어서 파리에서 일하는 유일한 통신사가 되어 런던으로 통신문을 송전하고 있었다. 한은 비극적인 최후를 맞게 되..

또 다시 ‘을사년’을 맞으며

또 다시 ‘을사년’을 맞으며  2025년, 을사년이 다시 찾아왔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을사년은 우리 민족으로서는 뼈아프게 잊을 수 없는 사건들이 담긴 해였다. 1905년, 을사년은 일본 제국주의의 강압 속에서 우리의 자주권을 빼앗긴 을사늑약으로 치욕의 역사가 시작된 해였다. 이 조약은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비극의 도화선이 되었다.또 다른 을사년인 1965년에는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통해 새로운 외교적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이는 치열한 내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식민 지배에 대한 명확한 사죄와 보상이 없이 이루어진 국교 정상화는 여전히 국민들의 정서적 상처를 남긴 채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그로부터 다시 60년이 흘러 찾아온 2025년의 을사년을 맞이하면서 우리는 대통령 탄핵>이라는 사태 속..

단상/월요단상 2025.01.27

세계 각지에 전해오는 7가지 뱀의 신화(2/2)

세계 각지에 전해오는 7가지 뱀의 신화(2/2)  5. 아스클레피오스( Asklēpios )의 지팡이: 의학의 상징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아스클레피오스는 의료와 치유를 관장하는 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상징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는 뱀이 감겨 있다.왜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에 뱀이 감겨 있을까?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뱀은 허물을 벗음으로써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롭게 태어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생명의 재생과 치유를 상징한다고 여겨진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또한, 뱀은 독을 가진 생물이지만, 그 독이 적절히 사용되면 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 "독과 약의 이중성"은 아스클레피오스의 의료 철학과 일치하며, 그가 독초와 약초를 구분하여 치료를 행한 신화적 배경과 연결된다.어떤 ..

콘티키호 표류기(6/12)

콘티키호 표류기(6/12)   6, 가까이서 얻을 수 있는 신선한 소득   적도에 가까워지자 커다란 날치가 날아들게 되었다. 밤 석유등을 매달아두면 그 밝은 등을 보고 달려드는 것이다. 요리당번은 아침 일찍 일어나면 배안에 날아든 날치를 모으는 것이 최초의 일이었다. 언제나 10마리 전후 정도가 모였는데 많을 때는 30마리가 되기도 하였다. 이것들은 집 뒤에 있는 플라이팬으로 조리하게 되는데 그렇게도 맛이 좋을 수가 없었다.이윽고 배 뒤편에 3센티 정도의 따게비가 빽빽이 났다. 그 밑에는 해조가 흔들흔들 해수에 씻기고 있다. 따게비를 긁어내어 국에 넣으면 매우 맛이 좋다. 해조는 맛은 없으나 아침 샐러드로 좋았다.  날치 이렇게 신선한 바다의 소득은 기쁜 일이나 프랑크톤 요리도 각별했다. 이것은 특별히 ..

27, 꽃 피면 달 생각하고

27, 꽃 피면 달 생각하고 꽃 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밝으면 술 생각하고꽃 피자 달 밝자 술 얻으면 벗 생각하네.언제면 꽃 아래 벗 다리고 완월장취(玩月長醉)하려노.   *작자-이정보(李鼎輔)이정보(李鼎輔, 1693년~1766년)는 조선 영조 때 학자·문인이다. 본관은 연안으로 자는 사수(士受), 호는 삼주(三洲). 예조판서 등 벼슬을 함. *출전-해동가요(海東歌謠) *주제-자연 속에서 벗과 즐기고자함

고시조 감상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