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사포>(1/2)
1, 생애
사포( Sapphō、 BC7세기-BC6세기초)는 고대 그리스 여성시인이다. 출신지 레스포스도에서 쓰던 언어로는 프사파(Psappha) 또는 프사포(Psappho)라 불린다.
<사포>(1877년) 새루루 멘긴(Charles Auguste Mengin、1853년 7월 5일 - 1933년 4월 3일=프랑스 화가)이나 어느 전통적인 설에서는 사포는 레우칸디안(Leucadian) 의 절벽에서 떨어져 자실했다고 한다.
<사포>는 생전부터 시인으로 저명하고 시게리아도의 슈라그사이에 망명할 시기에 조상(彫像)이 세워졌었다고 한자,
또 풀라톤의 작으로 전해지는 시 속에 그녀를 <열 번째 무사>라고 부르고 있다.
역사상 확실한 것은 <사포>는 레스포스도에서 태어났는데, 가족이 집권자 피타코스(Pittakos, BC650-BC570경 레스포스도의 정치가)와 대립한 때문에 10년간 정도 시게리아도에 망명하여 그 후 레스포스도에 돌아왔다는 것이다.
<사포>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문헌은 적고 그 생애는 확실하지 않다. BC630년에서 BC612년의 어느 해에 태어나서 BC 570년경에 사망했다고 생각된다.
출신지에 대해서는 통상 섬의 서부의 레레소스라 하지만 미틸리니( Mitilíni)라 하기도 한다.
라류고스, 가라구소스, 에우류기오스 라는 세 사람의 형제가 있었다고 전해서 그 중 가라구소스와 라류고스는 2014년에 새로 발견된 <사포>의 시의 단편(斷片)(Brothers Poem)에서 언급되고 있다.
헤로도도스의 『역사(歴史)』에 따르면 가라구소스는 이집트에서 대금을 지불하고 유녀 로도피스를 사서 <사포>의 시 속에서 비판되었다.
스트라본의 『지리지(地理誌)』 17권에 따르면 가라구소스는 레스포스도의 와인을 이집트의 나우구라디스로 운반하는 상인으로 <사포>의 시 속에 도리가라 불리는 유녀를 사랑했다. 도리가의 이름은 현존하는 <사포>의 시(5번)에도 보인다.
수다 사전에는 <부유한 상인인 안드로스도의 게루규라스와 결혼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고 적혀있다.
그러나 게루규라스라는 이름은(현존하는) <사포>의 시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데 19세기 중반의 윌리암 뮤아(영어판)에 따르면 안드로스도의 게루규라스가 <남자의 음낭>을 의미하는 고대그리스어와 매우 닮은 음이기 때문에 이 전승은 역사적 사실이 아니고 희극작가에 의한 창작이라고 생각된다.
단 결혼한 것은 확실해서 구레이스라는 딸이 있었다는 것은 <사포>의 시(123번) 속에 보인다.
<사포>는 자신의 주위에 있는 소녀들에 대하여 사랑의 시를 많이 남겼다. 그런 때문에 <사포>와 동성애를 연결시키는 지적은 BC7세기 무렵부터 존재하였다.
그녀에 의하여 뽑힌 젊은 아가씨만이 들어갈 수 있는 어떤 종류의 학교를 <사포>가 레스포스도에 만들었다고 말해졌었는데 20세기 중반의 데니스 페이지((Denys Page) 는 이 설을 부정하였다. 또 미소년 파온(PAO~N)과의 비련의 상대로 한다는 전설도 전해진다.
같은 레스포스도 출신의 시인 알카이오스(영‘ Alcaeus, BC620년경-BC620년경, 고대그리스 서정시인) 하고는 시를 교환하는 등의 교류가 있었다.
<사포>자신은 알카이오스와 달리 시에서 정치에 관련하지 않고 주관의 방향은 내적정열에 경도하여 망명 시 이외에는 정치에 관여하기를 피했다.
2 작풍
<사포>는 몇 십 개나 되는 운율에 의하여 시를 썼는데 스탄사 형식이 된 것이 많다. 특히 하나의 스탄사가 4행으로 되는 4행시가 많다. 11음절의 시행이 3행과 5음절의 1행으로 되는 형식은 <서포>시체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위키페디아
'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폴란드 출신 여성 마르크스주의자 <로자 룩셈브르크>(1/2) (1) | 2023.10.19 |
---|---|
고대 그리스의 여성 시인 <사포>(2/2) (0) | 2023.10.18 |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6/6) (0) | 2023.10.16 |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5/6) (0) | 2023.10.13 |
근대영국 장편소설의 정점을 낳은 <제인 오스틴>(4/6) (1)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