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대전 종전 당시 일본군 배치 상황
일본이 1945년 제2차대전 종전 무렵 우리 한반도에는 얼마나 군대를 주둔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어디에 주둔시기키고 있었는지 참고가 되리라 생각되어 싣는다.
(남한지역 일본육군부대)
부대 |
병단 부호 |
사령부소재지 |
사령관 |
부대수 |
일소개전시 충족인원 |
주요주둔지 | ||
총수 |
|
|
|
315 |
230,258 | |||
제 17 방 면 군 |
직할 |
榮 |
서울 |
중장 上月良夫 |
61 |
34,281 |
서울 廣州,光州,대 전,부산,목포 | |
부산요새 |
榮 |
부산 |
小將 石川琢磨 |
8 |
7,981 |
부산,해운대,사천 | ||
여수요새 |
榮 |
여수 |
대좌 宮英蓋世 |
3 |
892 |
여수,보성 | ||
제120사단 |
邁進 |
대구 |
중장 柳川眞一 |
7 |
7,793 |
대구,경산,부산 | ||
제150사단 |
護朝 |
정읍 |
중장 三島義一郞 |
12 |
14,006 |
정읍,무장,목포, 대천,사가리 | ||
제160사단 |
護鮮 |
이리 |
중장 山脇正男 |
11 |
13,687 |
이리,부안,군산, 서천,신태인 | ||
제320사단 |
宣武 |
서울 |
중장 八隅錦三郞 |
8 |
5,843 |
서울,대구,마산, 대전 | ||
독립혼성 제127여단 |
壯圖 |
부산 |
소장 坂井武 |
9 |
5,863 |
부산,삼천포, 울산,고성 | ||
제 58 군 |
직할 |
砦 |
제주 |
중장 遠山登 |
33 |
18,128 |
제주도 | |
제96사단 |
玄 |
제주 |
중장 玉田美郞 |
8 |
9,072 |
제주도 | ||
제111사단 |
市 |
제주 |
중장 岩崎民男 |
13 |
12,016 |
제주도 | ||
제121사단 |
榮光 |
제주 |
중장 正井義人 |
16 |
15,301 |
제주도 | ||
독립혼성 제108여단 |
翠 |
제주 |
소장 平岡 力 |
10 |
6,151 |
제주도 | ||
제5철도감부 |
路 |
서울 |
소장 伊藤義郞 |
11 |
5,068 |
서울,대구,부산 의정부,순천, |
조 선 군 관 구 |
직할 |
조선 |
서울 |
중장 上月良夫 |
31 |
27,567 |
서울,수색,마산, 부산,목포,군산 |
경성사관구 |
조선 |
서울 |
중장 狐田康一 |
29 |
27,488 |
서울,대전,양양 | |
대구사관구 |
조선 |
대구 |
중장 村治敏男 |
20 |
9,823 |
대구,부산,경주 ,김천,포항 | |
광주사관구 |
조선 |
광주 |
중장 下野一霍 |
17 |
7,098 |
광주,전주,나주, 송정리,순천 | |
조선헌병대 |
|
서울 |
소장 高地茂都 |
8 |
2,200 |
서울,춘천,청주, 대전,대구,부산, 전주,광주 |
(주)
1, 留守業務部<南鮮部隊槪況表>(1962년3월작성)의 부대별 인원에서 필자가 집계한 것임.
단 그 개황표에는 <부대자료의 정비가 일반적으로 불충분하므로 금후 내용을 보충 보정한다,>고 주기하고 있다.
2. 군속을 포함함.
3. 특설경비부대를 포함함.
4. 조선군관구에 인천조병창 9,990, 조선육군화물창 4,250을 포함함.
(북한지역 일본육군부대)
부대 |
병단 부호 |
사령부소재지 |
사령관 |
부대수 |
일소개전시 충족인원 |
주요주둔지 | |
총수 |
|
|
|
178 |
117,110 | ||
제 34 군 |
직할 |
展 |
함흥 |
중장 櫛淵鍹一 |
8 |
5,300 |
함흥,원산 임강 |
제59사단 |
衣 |
함흥 |
중장 藤田茂 |
17 |
13,910 |
함흥 | |
제137사단 |
扶翼 |
정평 |
중장 秋山義兌 |
16 |
9,810 |
정평 | |
영흥만요새 |
展 |
원산 |
대좌 多田勇夫 |
2 |
880 |
원신 | |
제 3 군
|
제79사단 |
奏 |
도문 |
중장 太田貞昌 |
16 |
15,590 |
도문,남양,경원, 동관 |
나진요새 |
岩 |
나진 |
중장 瀨谷啓 |
3 |
1,280 |
나진,웅기 | |
혼성 제101연대 |
岩 |
청학 |
대좌 山內勝夫 |
1 |
2,030 |
청학 | |
제 17 방 면 군 |
직할 |
榮 |
서울 |
|
11 |
6,260 |
평양,수풍,나진, 부령 |
제120사단 |
邁進 |
서울 |
|
2 |
5,800 |
평양,함흥 | |
제5철도감부 |
路 |
서울 |
|
5 |
1,130 |
평양,원산,청진 | |
조 선 군 관 구 |
직할 |
朝鮮 |
서울 |
|
18 |
11,980 |
평양,회령,원산, 청진 |
나남사관부 |
朝鮮 |
나남 |
중장 西脇宗吉 |
26 |
19,270 |
나남,경성,청진, 성진, 함흥 | |
평양사관부 |
朝鮮 |
평양 |
중장 竹下義晴 |
26 |
10,150 |
평양,사리원, 신의주,해주 | |
관동군직할 |
德 |
신경 |
|
12 |
8,780 |
임강,중강진,평양, 나진 | |
관동군보급관부 |
監 |
|
|
6 |
2,030 |
나진,함흥 | |
대륙철도사령부 |
路 |
|
|
5 |
1,080 |
임강,나진 | |
조선헌병대 |
|
서울 |
|
4 |
1,830 |
평양,나남,함흥, 해주 |
(주)
1, 留守業務部<南鮮部隊槪況表>(1962년3월작성)의 부대별 인원에서 필자가 집계한 것임.
2, 부대별 인원에 개수가 많으므로 총수를 개수에 나타냈다. 인원은 그 후의 조사에 의하여 보충정정을 가한다.
출전----모리타요시오(森田芳夫) 저 <조선종전의 기록> pp24-25.1967, 巖南堂書店. 東京
'일본 이야기 > 일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과 일본의 역사 연대 대조표 (0) | 2010.06.17 |
---|---|
한반도에 일본인이 얼마나 많이 살았었나 (0) | 2009.11.09 |
한국어 ‘라보 튜터’ 구로다(黑田) 씨 (0) | 2009.07.09 |
“한국은 나의 신앙의 조국”이라는 하나와(塙) 씨 (0) | 2009.06.30 |
국적이 아닌 인간을 교육한다는 ‘사토오’ 교장 (0) | 2009.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