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의 명언
머리말
인류의 스승으로 추앙을 받는 여러 성현들이 남겨놓은 훌륭한 고전 중에서 공자의 언행을 적은 논어의 사상처럼 우리 생활에 속속들이 스며들어서 깊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없을 것이다.
논어는 지금으로부터 약 2천 5백 년 전에 생존한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고전으로서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기록에 의하면 4세기 백제의 근초고왕(近肖古王346-375) 때에 왕인(王仁)이 일본에 논어 10권을 가지고 가서 문자를 전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8세기 신라 원성왕(元聖王785-798) 때에 독서삼품과에서 논어가 필수과목으로 택하여졌었다고 하니, 적어도 천 오백여 년 동안 우리 선인의 생활을 규율하는 전범(典範)이 되어왔음은 부정할 수 없다. 더욱이 척불숭유(斥佛崇儒)를 국시로 한 조선조 5백 년 동안에 유학의 전범 중에서도 가장 중요시되는 논어의 사상은 당시 사회의 지도이념이 되고 생활 규범이 되어서 사회의 지도적인 입장에 있던 소위 사대부는 물론 일반 민중도 이를 철저히 따라 온 것이 사실이다.
우리가 논어를 읽고 음미하다 보면, 이전에 내가 체계적으로 배운 바 없으나, 나의 정신과 행동의 기본이 이 속에 있어서, 나 스스로가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도덕적 덕목에 상응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행동하려 노력해 왔음을 절실히 느끼지 아니할 수 없다.
오늘날은 정보가 넘쳐 현명한 선택의 지혜를 필요로 하는 시대이다. 그러므로 이 논어의 간결한 표현 속에 시대와 지역을 초월하여 만인의 심금을 울리는 음미할만한 가치 높고 고매한 교훈이 되는 구절을 선택하여 재음미함으로써, 논어의 체계적인 해석보다는 짧으나 그 함축하고 있는 의미가 심장하여 짧은 만큼 외우고 기억하기 쉬우며, 널리 응용할 수 있는 점을 살려 혜안을 밝히며, 오로지 고전의 세계로 인도하고자 함과 혹은 고전에 담긴 정신이 우리들 생활에서 어떻게 구현 실천되고 있는지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온고지신의 보람이 있다면 다행으로 생각할 따름이다.
2015년 5월 일
엮은이 고 성 중 씀
'유가의 고전 > 논어의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 논어의 명언1, 학이편의 명언 (0) | 2015.07.04 |
---|---|
二. 공자(孔子)는 누구인가. (0) | 2015.07.04 |
一. 논어에 대하여 (0) | 2015.07.04 |
차례 (0) | 2015.07.04 |
일러두기 (0) | 201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