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1. 내용 편성은 번역, 원문과 출전, 독음, 해석, 주요 한자 순으 로 되었다.
2. 명언의 원문은 논어의 원문에서 진수가 되고 감동적이며 음 미할 만한 구절 또는 문장 500구절을 선택하여
매 구절 또 는 문장마다 고유번호를 붙였다.
3. 원문의 토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방법을 따랐으나, 되도록 현대어에서 수용 가능한 방법을 쓰려 애를 썼으며,
구절을 끝맺기 위하여 종결하는 토는 그 구절을 종결시킬 때의 의 미에 맞도록 고쳐 옛 방법을 따랐다.
4. 독음은 원문과 나란히 병기하여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독 자들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도록 했다.
5. 출전은 편성 편명을 괄호 안에 넣어 밝히고, 이 역시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를 위하여 독음을 붙였다.
6. 번역은 원문의 전후 내용을 고려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주로 의역했다.
7. 해석은 원문의 내용을 되도록 쉽게 풀이하되 구절에 따라 참고가 되는 내용과 주석을 부가했다.
8. 주요 한자는 그 문장에서의 뜻을 중심으로 풀이하되 새로운 방법 곧 동사. 형용사로 풀이 할 수 있는 것은
그 원형으로 풀이했다.
9. 인용구절 색인은 본서에 인용된 구절을 편별로 배열하였다.
'유가의 고전 > 논어의 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 논어의 명언1, 학이편의 명언 (0) | 2015.07.04 |
---|---|
二. 공자(孔子)는 누구인가. (0) | 2015.07.04 |
一. 논어에 대하여 (0) | 2015.07.04 |
차례 (0) | 2015.07.04 |
논어의 명언 (0) | 2015.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