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

거대 운석에서 지구에는 없었던 <신종>광물 3개나 발견(2/3)

거대 운석에서 지구에는 없었던 광물 3개나 발견(2/3) 돌 속에서의 놀라움 이 거석이 운석이라고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은 겨우 수년 전이다. 광산회사의 탐광자는 기묘하게 매끄러운 이 거석에 눈이 멎어서 망치로 두들겼더니 금속음이 울려서 이것은 철운석이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철운석은 철과 니켈을 주성분으로 하는 운석으로 대개는 소혹성이나 미혹성의 금속질의 코아(중심핵)에 유래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탐광자들은 확인과 다시 분석을 위하여 거석을 조금 잘라낸 샘플을 과학자들에게 보냈다. 그 중 하나가 캐나다, 알바타대학(University Of Alberta)의 운석수집처의 큐레이터인 그리스 하드 씨 손에 넘어갔다. 암석 조각을 조사한 하드 씨는 진기한 조성의 결정이 몇 개 있다는 데 주의했다. 그 후 인공적..

<단백질은 재미있다.>는 호기심이 암 퇴치에 이어진다!?(2/3)

는 호기심이 암 퇴치에 이어진다!?(2/3) 철을 만드는 단백질로 암의 치료 인류는 미생물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생물의 특이한 생태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해명함으로써 사람에게 쓸모 있는 기술에 응용해왔다. 예를 들면 이제 성하게 행해지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PCR 검사인데 이것은 인체에서 채취한 샘플 중에 코로나 바이러스의 DNA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소량의 DNA로는 검출할 수가 없다. 그래서 코로나 바이러스의 DNA가 1개라도 있으면 그것을 복제하여 증식시키고 검출할 수 있게 한다. 그 효과적인 방법은 먼저 샘플을 90도C의 고온으로 한다. 그러면 이중나선상으로 되어 있는 DNA고리가 풀린다. 말하자면 하나의 DNA가 2개가 되는 셈이다. 이 상태로 DNA를 복..

과학/과학 2022.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