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연구 3

7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5)

7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5) 배운 후에 부족함을 알고 가르친 후에 어려움을 안다. 學然後知不足, 教然後知困. (禮記, 學記) 학연후지부족, 교연후지곤. (예기, 학기) 우리는 배움으로써 자신이 부족함을 알게 되고 가르치고 난 다음에 가르친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안다는 말이다. 남에게서 배우는 것보다도 남을 가르친다는 것이 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므로 가르치는 입장에 있는 사람은 몇 배의 연구로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오늘의 명언 2022.07.24

은하계에 혹성 1,000억개--국제팀 추정

은하계에 혹성 1,000억개--국제팀 추정 태양계를 포함한 은하계에는 적어도 1,000억 개의 혹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프랑스 등 국제팀이 관측을 바탕으로 밝혔다. 은하계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1,000억 개가 있다고 보고 모든 항성에 1개 이상의 혹성이 있는 셈이 된다. 생명이 있는 혹성이 지구 이외에도 다수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성과는 영국 과학지 네이쳐에 발표되었다. 혹성은 항성의 주위를 공전하는 별이다. 연구팀은 앞의 혹성의 중력에 따른 로 멀리 있는 항성이 일시적으로 밝게 보이는 현상에 착안하였다. 이 현상을 이용하여 가지가지의 항성을 관찰하면 17%의 항성은 목성 크기의 혹성을 가지고, 62%는 지구 크기의 혹성을 가진다고 추정된다고 한다.(2012년 1월 17일 요미우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