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29) 1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29) 지혜로운 사람도 천 번에 한 번의 실수가 있다. 智者千慮, 必有一失.(史記, 淮陰侯傳) 지자천려, 필유일실.(사기, 회음후전) 아무리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 중에는 한 가지 잘못하는 생각이 있을 수 있다. 곧 아무리 깊이 생각을 했더라도 실수가 있을 수 있다 함이다. 오늘의 명언 2023.01.29
12월 2일, 오늘 명심할 명언. (336) 12월 2일, 오늘 명심할 명언. (336) 단호히 감행하면 귀신도 피한다. 斷而敢行, 鬼神避之. (史記, 李斯列傳) 단이감행, 귀신피지. (사기, 이사열전) 단호히 감행한다면 귀신도 길을 피하여 사람의 의지를 따를 것이다. 단행할 의지를 굳게 가져야 한다함이다. 오늘의 명언 2022.12.02
10월 6일, 오늘 명심할 명언. (279) 10월 6일, 오늘 명심할 명언. (279) 복숭아 자두는 말이 없으나 그 아래는 절로 길을 이룬다. 桃李不言, 下自成蹊. (史記, 李將軍列傳) 도리불언, 하자성혜. (사기, 이장군열전) 복숭아나 자두는 말을 하지 않지만 그 향기와 아름다움에 끌리어 사람들이 모이므로 자연히 길이 된다함이다. 훌륭한 인물의 존재는 선전하지 않아도 절로 많은 사람이 그를 사모하여 모여 길을 이룬다는 말이다. 사마천(司馬遷)이 한나라 문제 때의 장군 이광(李廣)의 인격을 칭찬하여 끌어온 당시의 속담이다. 오늘의 명언 2022.10.06
9월 3일, 오늘 명심할 명언. (246) 9월 3일, 오늘 명심할 명언. (246) 진기한 물건은 차지해 두어야 한다. 奇貨可居. (史記, 呂不韋列傳) 기화가거. (사기, 여불위열전) 진기한 물건은 사두면 후에 큰 이익을 가져올 씨가 된다함이다. 진기한 물건이나 골동품, 좋은 기회, 우연히 만난 위대한 사람 등은 잡아두어야 한다. 오늘의 명언 2022.09.03
8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32) 8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32) 지자도 많은 생각 중에 한 가지 잃는 것이 있고, 우자도 많은 생각 중에는 한 가지 얻는 것이 있다. 智者千慮必有一失. 愚者千慮,必有一得. (史記, 淮陰候列傳) 지자천려필유일실, 우자천려필유일득. (사기, 회음후열전) 아무리 지혜로운 자라도 많은 생각 중에서는 한 가지 정도의 실패가 있고, 어리석은 자라도 많은 생각 중에는 한 가지 정도는 좋은 생각이 있을 수 있다. 지혜로운 자라도 문득 잘못 생각하는 수가 있다 오늘의 명언 2022.08.20
8월 8일, 오늘 명심할 명언. (220) 8월 8일, 오늘 명심할 명언. (220) 제비와 참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의 뜻을 알겠는가. 燕雀安知鴻鵠之志哉. (史記, 陳渉世家) 연작안지홍곡지지재. (사기, 진섭세가) 제비나 참새 같은 작은 새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 같은 큰 새의 뜻을 알겠는가. 소인이 어찌 큰 인물의 뜻을 알 수 있겠는가 하는 말이다. 훗날 초왕(楚王)이 된 진승(陳勝)이 하루 품팔이로 농사를 짓는 친구에게 한 말이다. 오늘의 명언 2022.08.08
7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4) 7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4) 사계절 머리에 공을 이룬 자는 간다. 四時之序, 成功者去. (史記, 范睢蔡澤列傳) 사시지서, 성공자거. (사기, 범수채택열전) 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은 각각 그 계절의 구실을 다하면 교체한다. 봄은 봄의 구실을 다하면 여름으로 자리를 양보하고 여름은 여름대로 가을, 겨울이 각기 자리를 양보한다. 인간도 이처럼 해야 할 일이다. 오늘의 명언 2022.07.13
6월 2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74) 6월 2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74) 영예가 오래면 좋지 않다. 久受尊名不祥. (史記, 越王句踐世家) 구수존명불상. (사기, 월왕구천세가) 사람은 누구나 승진하거나 사업이 번창하여 명성이 떨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그 명성이나 영예가 극에 달하면 더 오를 수가 없으니 떨어지게 마련이다. 곧 명성이나 영예가 오래 동안 계속되면 그것이 화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물러설 때를 잘 헤아려 진퇴를 선택해야 한다. 월(越)나라 왕 구천(句踐)의 신하인 범여(范蠡)가 한 말이다. 범여는 구천의 신하로서 오(吳)나라 왕 부차(夫差)에게 복수를 다할 수 있게 도운 충신이었다. 그는 구천이 부차에게 복수를 다하게 한 후에는 대장군의 자리를 버리고 떠나면서 한 말이다. https://www.youtube.co.. 오늘의 명언 2022.06.23
5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29) 5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29) 군자는 절교하여도 악담은 하지 않는다. 君子交絶不出悪聲. (史記, 樂毅列傳) 군자교절불출악성. (사기, 악의열전) 군자는 만일 절교하는 한이 있어도 저놈은 나쁜 놈이라고 비난하는 말은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악담을 한다면 자기 자신의 사람을 보는 눈이 없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가 되며 악담에는 다시 악담으로 되돌아올 수도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한 번 믿고 교제를 하게 되면 절교하는 일은 없도록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것이 군자다운 자세이다. *악의(樂毅)=이 편은 악의에 대한 열전으로 악의(樂毅)는 전국시대 위나라 출신으로 연(燕)나라의 명장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Kcl2UjiWQdo 오늘의 명언 2022.05.09
4월 27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7) 4월 27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7) 금주에 끈끈히 붙이고 거문고를 친다. 膠柱而鼓瑟. (史記, 廉頗藺相如列傳) 교주이고슬. (사기, 염파린상여열전) 거문고 줄을 금주에 끈끈하게 붙이고서는 같은 음만 나올 뿐 가락을 바꿀 수가 없어서 음악이 되지 않는다. 곧 고정관렴에 사로잡혀서 융통성이 없이 경직되어 임기응변하지 못함을 말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8zBvGlsAQs 오늘의 명언 2022.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