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인물 전기/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127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카미유 클로델> (4/5)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4/5) 4 , 독립 로댕과 헤어진 카미유는 음악가 클로드 드뷔시클로드 드뷔시(프랑스어: Claude Debussy, 1862년 8월 22일 ~ 1918년 3월 25일)와 친분을 가지며 새로운 연인 관계로 발전할 여지가 보였지만 결국 카미유의 거부로 금방 헤어졌다. 다만 카미유의 작품 중 '왈츠'의 모델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드뷔시에게 선물로 주었고 드뷔시는 평생 간직했다고 한다. 1893년 을 살롱에 출품해서 극찬을 받았다. 1894년 로댕의 부탁으로 벨기에 예술가협회의 전시회에 초대되어 작품 전시를 했는데 이때까지도 로댕과는 계속적인 서신 교환은 있었다. 살롱에 을 출품하여 세인들의 주목을 받았는데 로댕도 감탄을 금치 못했다. 1899년 살롱에 자신의 역작인 대리석 작품..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카미유 클로델> (3/5)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3/5) 3, 로댕과의 헤어짐 1888년 카미유는 살롱에서 최고상을 수상하면서 작가로서 정식 인정을 받게 됨과 동시에 세인들의 질시의 대상이 되었다. 이후부터 카미유의 작업 스타일이 보다 독창적이고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1889년 이후부터 카미유의 작가로서의 활약이 서서히 커지자 로댕은 까미유를 견제하기 시작했고, 카미유와 로댕 사이에는 스승과 제자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카미유는 1891년까지 로댕과 함께 했으나, 이후에는 거리를 두고 싶어 했다. 하지만 로댕이 그녀와 함께 하기 위해 맨션을 구입하는 등 그녀의 의견을 무시하자 분노하여 이를 작업에 표현했고 그제야 로댕은 그녀를 피하고 프랑스 뫼동에 정착했다. 1892년 카미유는 로댕과 헤어지며 로댕의 작업실을 나왔다...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카미유 클로델> (2/5)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2/5) 2. 로댕과의 만남 1883년 부셰(Alfred Boucher)가 공모전에 당선되어 이탈리아 로마로 떠나기 전 당대의 유명한 조각가이자 친구였던 오귀스트 로댕에게 자신의 제자들을 위탁했다. 부세는 로댕(프랑스어: François-Auguste-René Rodin, 1840년 11월 12일 - 1917년 11월 17일)에게 특히 카미유의 지도를 부탁했는데 이때 비로소 로댕과 카미유와의 만남이 시작되었다. 그 당시 카미유의 나이는 19세, 로댕의 나이는 43세였다. 이미 20년간 동거하고 자신의 아들을 낳은 여자 로즈 뵈레가 있었던 로댕은 당시 19살이었던 카미유와 사랑에 빠지고 만다. 이 때 로댕의 도움없이 루이즈를 모델로 '16세의 내 동생'을 완성했는데 로댕은 ..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카미유 클로델> (1/5)

비참하게 생을 마친 여성조각가 (1/5) 카미유 클로델 1.출생과 성장기 1. 출생 카뮤 클로델(Camille Claudel, 1864년 12월 8일 - 1943년 10월 19일)은 1864년 12월 8일 프랑스 북부 엔(Aisne)의 페레앙타르드누아(Fère-en-Tardenois)에서 등기소 소장이었던 루이 프로스페르 클로델(Louis Prosper Claudel)과 의사의 딸이자 마을 주임 사제의 조카였던 루이즈 아타나이즈 세실 클로델(Louise Athanaïse Cécile Claudel)[1] 부부 슬하 1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여동생인 루이즈(Louise)는 1866년 2월 26일, 남동생이자 훗날 시인으로 활동한 폴(Paul)은 1868년 8월 6일에 태어났다. 카미유의 어린 시절은..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5/5)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5/5) 퇴역 후 해군에서 퇴역한 후 그녀는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DEC)의 시니어콘설던트로 고용되어 일했다. 호퍼 씨는 당초 리더야빈스키씨의 자리에 취임했었는데 DEC의 직위를 신청하여 전형적인 정식 인터뷰프로세스를 거칠 것을 주장하였다. 그녀는 야빈스키의 상사에게도 목요일에 교대하여 높은 급여를 받을 수 있고 개척자로서 컴퓨팅 뮤지션에 출전된 경우 무제한의 경비를 쓸 수 있다는 편지를 보냈다. 호퍼로부터의 제안 후 그녀는 플타임인 시니어콘설단트로서 고용되었다. 그녀의 입장의 일환으로서 그녀는 야빈스키에게 보고할 것이다. 이 위치에서는 업계 포럼으로 동사를 대표하고 다른 의무와 함께 여러 가지의 업계위원회에 근무하였다. 그녀는 199..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4/5)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4/5) 퇴역 1983년에는 하원의 추대로 해군 준장으로 진급한다. 1986년에서야 완전히 퇴역했는데, 이는 79세 8개월 5일로 역대 미 해군의 현역 최고령 기록에서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4] 그래서, 일부러 전역식을 당시로서 취역 188년 9개월 23일차였던 컨스티튜션함에서 열었다. 사실 해군에서도 잘 근무하고 있었고, 나이에 비해서 아직도 팔팔했기 때문에 자의에 의하지 않고 억지로 전역했던 것이었다고. 그래도 해군에서는, 호퍼가 초청되는 여러 강연에 해군 정복을 입고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해줬다. 미 해군에서 연령 제한 이상으로 복무한 사람은 하이먼 리코버와 찰스 스튜어트, 윌리엄 리히, 체스터 니미츠인데 애초에 리히와 니미츠는 원수라서 종신계급이었다. (..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3/5)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3/5) 현역 복귀 1966년 중령에서 해군예비역으로 전역했었는데 이듬해 1967년에는 현역으로 복귀하였다. 해군작전부장부문책임자(프로그래밍 언어부문담당)로 취임하고 1973년에는 대령으로 승진했다. 1983년에는 대장(代將=준장 이전의 명칭, Commodore)으로 승진했다. 1985년에는 대장이 준장(Rear Admiral (Lower Half))이라고 개칭되어 호퍼도 준장이 되었다. 당시 미 해군에서는 대외적으로 유리하도록 공식적으로는 준장을 두지 않고 소장을 하급과 상급으로 나누어서 준장을 명의상으로만 소장 취급을 하여 Rear Admiral (Lower Half)를 의역하면 준장이 되고 직역하면 소장이 된다. 그런 때문에 호퍼의 최종계급을 소장이라고 기술하는 ..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2/5)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2/5) 경력과 업적 1943년 해군예비역으로 입대해서 1944년 중위가 되고 동년 하버드대학에 근무했다. 하와드 에이켄(Howard Hathaway Aiken, 1900년-1973년, 미국 물리학자) 지도하에 컴퓨터의 하버드 마크 1(Harvard Mark I=IBM의 ASCC라고도 부르며 미국 최초의 전기기계식계산기이다)용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했다. 전쟁 후에도 이어서 하버드에서 (마크Ⅲ은 프로그램내장 방식계산기이다)의 개발에 참가했는데 이 기간에 후에 유명해진 버그( bug=영어로 란 말이다. 컴퓨터프로그램의 오류나 결함을 말한다)와 관련하는 일화가 생긴다. 한때 마크Ⅱ 리레에 개미가 끼어서 기계가 작동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 개미는 작업일지에 붙여져서 (원문은 ..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1/5)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 그레이스 호퍼(1/5) 그레이스 마레 호퍼(Grace Murray Hopper, 1906년 12월 9일 - 1992년 1월 1일)는 미국해군의 계산과학자이다. 최종계급은 준장이다. 하버드마크 1(Harvard Mark I = IBM의 ASCC라고 불리며 미국 최초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가능한 계산기)의 최초의 프로그래머의 한 사람이고 프로그래밍언어 코볼(COBOL)을 개발하였다. 애칭은 어메징 그레이스(Amazing Grace=찬송가_우리를 구원하고--/미국의 제2의 국가라고도 한다.)이다. 유년과 교육 그레이스 브류스타 머리(Grace Brewster Murray)호퍼는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3인 자녀의 장녀였다. 그녀의 양친 월터 프레처 머리(Walter Fletcher M..

일본이 자랑하는 천하 제일의 미인 오이치(市)(1547~1583)(2/2)

일본이 자랑하는 천하 제일의 미인 오이치(市)(1547~1583)(2/2) 오이치(お市)의 일화 오다니지(小谷寺)에는 오이치 가다의 넨지부쓰(念持仏=개인이 신변에 두고 사적으로 예배하는 불상)라는 불상이 모셔져 있다. 전국 제일의 미인이라 하고 총명했다고 전해진다. 장녀인 요도도노(淀殿)는 아버지 나가마사(長政)의 17주기와 어머니 오이치가다의 7주기에 양친의 초상을 그렸다. 이 초상화는 고노야마(高野山)의 지묘인(持明院)에 전해지고 전국시대 말기부터 야쓰지모모야마(安土桃山) 시대에 걸쳐서 귀부인의 정장의 전형적인 것이다. 에 따르면 가네가사키(金ヶ崎) 대전 때에 노부나가(信長)에게 주머니의 양끝을 묶은 팥 주머니(小豆の袋)라는 뜻을 전했다고 하는 일화가 있다. 이 시기의 풍습으로는 다이묘(大名=지역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