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인물 전기/역사에 남을 위대한 여성 127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8/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8/8) 사후 로만 폴란스키에 의해 그의 일대기를 영화화한 마스터 클래스가 상영되었다. 2002년 이탈리아에서 마리아 칼라스 사망 25주년을 기념하여 영화 칼라스 포에버가 제작, 상영되었다. 영화는 칼라스의 절친한 친구였던 이탈리아인 프란코 체피렐리가 맡았으며, 음악감독 유진 콘은 1970년 이후 3년간 칼라스의 공연에 동행하며 피아노 연주자를 하였다. 또한 스태프 겸 메이크업 감독으로 참여한 닐로 자코포니는 1970년과 71년 마리아 칼라스가 출연한 영화 메데아의 스태프였다. 프란코 체피렐리는 마리아 칼라스 관련 영화 상영 제의를 받았으나 주로 칼라스의 사생활에 대한 내용이었으므로 대부분 거절하였다. 2007년 그리스에서는 마리아 칼라스의 해로 지정하고 사망 30주년을 기념하여..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7/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7/8) 생애 후반의 활동과 죽음 1973년 이탈리아로 건너가 시칠리아의 저녁기도(I Vespri Siciliani)의 연출을 맡았다. 1973년 영국 런던에서 주세페 디 스테파노와 함께 리턴 투 마리아 칼라스 순회공연을 하였다. 1974년 10월 한국을 방문, 서울특별시 이화여자대학교 강당에서 카르멘과 라 조콘다, 메피스토펠레스, 쟌니 스키키, 라 보엠, 토스카 등의 타이틀롤을 선보이고 프랑스로 돌아갔다가 11월 9일 일본 측의 초청으로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비행기편으로 일본 도쿄를 방문, 인터뷰 후 삿포로에서도 카르멘, 토스카 등을 선보였다. 그해 11월 말 디 스테파노와 연락을 끊게 되었다. 말년에는 우울증과 불면증에 시달렸고 프랑스 파리시 외곽의 허름한 아파트에서 은둔하였..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6/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6/8) 이혼과 은둔 생활 1973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순회공연 자신의 후원자이자 이탈리아 부호였던 메네기니와 결혼생활 중 남편 메네기니와 함께 참석한 한 연회장에서 오나시스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오나시스는 자신의 유람선에 칼라스, 메네기니 부부를 초청해 3주간 항해하였고, 칼라스는 그에게서 20벌의 드레스와 각종 신발, 장신구 등을 선물 받았다. 칼라스는 남편이자 후원자였던 메네기니를 버리고 오나시스와 동거하였다. 1960년 초에는 오나시스를 따라 상류사회의 생활과 사교계에 다니며 작품 활동이 뜸하였다. 칼라스는 먼저 메네기니와 이혼을 요구, 이혼 후 오나시스와 결혼하고자 하였으나 오나시스는 1963년 존 F. 케네디와 재클린 내외를 자신의 유람선으로 초대한 뒤, 그해 11..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5/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5/8) 유럽 순회공연 1957년 4월 마리아 칼라스는 남편 메네기니 및 루키노 비스콘티와 함께 도니제티의 안나 볼레나(Anna Bolena) 스토리를 읽고 시연을 기획했다. 시연 후 비평가들의 열광적인 호평을 받았다. 1958년 1월 2일 로마 오페라(Opera di Roma) 극장에서 이탈리아 대통령 조반니 그론키 앞에서 를 공연했는데 몸이 좋지 않아 약을 먹고 공연하였으나, 통증과 약기운 등으로 공연 중간에 그만두게 됐다. 이때 이탈리아의 청중들은 화가 나서 그녀를 맹비난했다. 동시에 칼라스는 극장주와도 격렬히 싸우고 극장과의 관계를 청산했다. 1958년 5월 라 스칼라 극장에서 공연 중, 감독 안토니오 기린겔리와의 오랜 갈등으로 59년 말까지 남은 계약 기간 동안 스칼라 ..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4/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4/8) 이탈리아에서의 활동 1947년 밀라노의 라 스칼라 오페라단에 입단하고, 의 단역으로 캐스팅되었으나 주인공 엘비라 역으로 낙점된 마르게리타 카로시오(Margherita Carosio)가 독감에 걸려, 예정에 없이 그가 캐스팅되었다. 대역으로 투입된 칼라스는 3일의 연습으로 무대에 섰는데 호평을 받았다. 이어 레나테 테발디가 갑자기 아프게 되어 아이다의 주연 아이다 역을 맡을 수가 없게 되었다. 이때 스칼라 오페라단은 칼라스에게 아이다 역의 대역으로 투입했고, 아이다 공연으로 크게 호평을 받으면서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의 엘비라 역, 의 아이다 역, 의 토스카 역 등을 소화해낸 뒤 , 등의 주인공역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공연 중에는 열연하던 중 가발에 불이 붙었으나 끝까..

8월 31일, 오늘 명심할 명언. (243)

8월 31일, 오늘 명심할 명언. (243) 동네마다 고요하여 한식과 같고 부엌 연기는 보이지 않는데 꽃만 보이는구나. 이르는 마을마다 고요해서 마치 한식날인 양 부엌연기 보이지 않은데 허무하게도 꽃만 보이는구나. 부엌 연기가 보이지 않음은 사람이 흔적이 없음을 의미하며, 공견화의 허무하게 꽃이 보이는 것은 자연의 순환에 따른 현상으로 꽃은 사람이 있어 구경을 하거나 말거나 자연 스스로 피고 지는 것임을 보여 전쟁으로 황폐해진 마을과 사람의 일을 아랑곳하지 않은 자연과의 부조화가 슬프다는 감상을 읊고 있다. 千村萬落如寒食, 不見人煙空見花.(尤溪道中, 韓偓) 천촌만락여한식, 불견인연공견화.(우계도중, 한악)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3/8)

세계최고의 오페라 가수 (3/8) 연애와 결혼 한때 연극, 영화감독이었던 루키노 비스콘티와 사랑에 빠졌으나 곧 결별하였다. 1946년 조반니바티스타 메네기니(Giovanni Battista Meneghini)를 만나고, 메네기니는 곧 그의 팬이자 열렬한 후원자, 매니저가 되었다. 1947년 28년 연상의 메네기니와 동거하다가 곧 결혼하였다. 메네기니는 그의 음반과 각종 활동비용을 후원하였고 칼라스는 노래와 오페라, 가극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나 1957년 선박왕 오나시스를 만나면서 먼저 이혼을 요구하여 이혼하였다. 결혼식 직후 친정어머니 에방겔리아는 내 딸 칼라스라는 책을 내 그를 인신공격하였다. 또한 방송에 출연한 에방겔리아는 "마리아같은 여자는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영원히 행복하지 못할..

세계 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2/8)

세계 최고의 오페라 가수 (2/8) 오페라 가수 생활 데뷔 초기 1944년 7년 만에 아버지 요르고스의 편지를 접하게 되었다. 1945년 8월 3일 아테네에서 솔로 리사이틀 겸 작별 콘서트를 하고 미국으로 갈 여비를 모았다. 1945년 9월 미국 뉴욕으로 돌아와 아버지와 함께 생활하였으며 단역을 전전했다. 그 해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에 응모하였으나 주목받지 못하였고, 95kg의 거구가 지적받자 다시 다이어트를 시작하여 감량에 성공한다. 칼라스의 회고에 의하면 영화 로마의 휴일의 주연 오드리 햅번의 미모에 반한 것이 다이어트의 계기가 되었다 한다. 1946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단의 단장 에드워드 존슨이 마리아 칼라스의 노래를 듣고 매료되어 메트로폴리탄의 1946년에서 1947년 시즌에서 베토벤의 피델리오와..

세계 최고의 오페라 가수 <마리아 칼라스>(1/8)

세계 최고의 오페라 가수 (1/8) 마리아 칼라스 개요 마리아 칼라스(영어: Maria Callas, 1923년 12월 2일 - 1977년 9월 16일)는 그리스계 미국, 이탈리아의 오페라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 피아니스트, 교육자이며, 소프라노였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가장 유명했던 오페라 가수 가운데 하나였다. 본명은 마리아 아나 소피아 케킬리아 칼로예로풀루(그리스어: Μαρία Άννα Σοφία Καικιλία Καλογεροπούλου)였으며 부모는 그리스계 미국인이었다. 1938년 그리스 국립 아테네 음악원에 입학하여 1941년 수료한 뒤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avalleria Rusticana)》의 산투차 역으로 데뷔하였다. 1945년 미국으로 진출한 뒤 주목받지 못하다가 1945년 ..

현대무용의 어머니 <이사도라 던컨>(8/8)

현대무용의 어머니 (8/8) 이사도라 던컨의 일화 1, 독일 뮨헨에 있는 이라는 시설에서 공연 계획을 할 때에 댄스는 예술의 전당에 걸맞지 않다는 이유로 프랑스 본 슈트크(Franz von Stuck、1863년 - 1928년=독일 화가. 판화가, 조각가, 건축가)가 반대했다. 납득할 수 없었던 던컨은 슈트크의 집을 방문하여 댄스의 예술성에 대해서 4시간에 걸친 열렬한 이론 끝에 공연을 인정받았다. 이것은 20세기 처음에는 무용이 예술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였다는 일화로 남아있다. 2, 어느 날 던칸은 영국의 저명한 작가 버나드 쇼에게 청혼하여 하고 말하였다. 그러나 버나드 쇼는 하고 답하여 거절하였다. 이것은 유전학, 인류학의 입문서나 잡문에서 때로 인용되는 이야기이다. 버나드 쇼가 살집이 좋은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