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狼(랑-이리)
이 글자는 <犭+良>으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개사슴(犭)변은 동물을 나타내고
良(량-맑다)자는 음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그 뜻은 (1) 이리, (2) 암 이리만을 뜻하기도 하고, (3) 짐승의 이름을 총칭하기도 하고, (4) 변방의 만족을 일컫기도 한다.
* 良(량)이란 둥근 모양의 곡식알 껍질을 벗긴 모양을 그린 상형문자로서 양식(粮食=糧食)의 粮(량)이라는 글자의 근본이 되는 글자이다. 벼나 보리를 도정하면 차고, 푸르고, 맑게 보인다. 이 良(량)은 <차다. 푸르다. 맑다.>는 뜻이 들어있는 글자이다. <이리>를 나타내는 <狼(랑)>은 곧 차고 푸르고 맑은 털을 가진 짐승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면
랑(浪)- 차고, 푸르고, 맑은 물결
랑(琅)- 차고, 푸르고, 맑은 옥
랑(朗)- 차고, 푸르고, 맑은 달
浪(랑), 琅(랑), 朗(랑) 등의 글자는 공통된 뜻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狼狽(낭패)라고 할 때의 狽(패-이리)는 앞 두 다리는 짧고 뒤 두 다리는 길어서 狼(랑-이리)에게 의지하여서만 걷는데 狼이 없으면 걷지 못한다. 낭패(狼狽)라 하면 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을 말한다.
* 狼人(낭인)이라 해서 광서성 사람을 칭한다.
'한자학습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屬(속, 촉-붙다) (0) | 2009.10.13 |
---|---|
6.獨(독-홀로) (0) | 2009.10.12 |
6. 狛(박-짐승 이름. 조선 개) (0) | 2009.10.10 |
5. 狆(중-삽살개) (0) | 2009.10.09 |
4. 尨(방-삽살개) (0) | 2009.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