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을 이식> 미국 연구자가 군소의 유전자로 성공
기억의 이식은 오랜 동안 전형적인 SF(사이언스 픽션)의 테마였으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여 그것이 현실의 맛을 띠게 되었다.
미국 대학의 연구자들은 최근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의 잠보 군소(Jumbo Aprifle. 학명 Aplysia california는 바다소 특히 군소로 분류되는 군소과 군소속의 생물종이다, 군소속)의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유전자의 RNA(리보핵산/核酸)을 써서 기억을 이식하는 데에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먼저 잠보 군소에 자극에 대하는 방어반응을 일으키는 훈련을 행하였다. 그 개체에서 적출한 RNA를 훈련을 받지 않은 다른 개체에 이식하자 자극에 대하여 훈련된 개체와 같은 반응을 나타내었다고 한다.
미국 과학지 는 신경 과학 협회 (The Society for Neuroscience)가 출간 한 개방형 액세스 등급의 동료 과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결과는 기억을 모양내는 물리적인 구조에 대하여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고분자인 RNA는 단백질 생성이나, 유전자정보를 형질에 반영한다는 보다 일반적인 작용을 포함하는 생물상의 구조에 관계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잠보 군소의 꼬리에 가벼운 전기 쇼크를 주어 방어반응으로 몸을 움츠리도록 훈련하였다.
훈련된 잠보 군소는 몸을 건드리면 약 50초간 수축하는데 훈련하지 않은 개체가 몸을 움츠리는 것은 겨우 10초였다. 훈련된 개체는 전기쇼크에 민감한 상태가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라색의 먹 연구자들은 전기쇼크를 받은 잠보 군소의 신경에서 RNA를 적출하여 훈련을 받지 않은 잠보 군소에 이식하였다. 그러자, 훈련되지 않은 개체도 몸을 건드리면 약 40초에 걸쳐 수축하게 되었다.
감각신경세포를 쓴 샤레( Schale/배양 실험용 접씨) 상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 번 연구의 공동 필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엔제르스교(UCLA)의 데이비트 그란즈만(David Glanzmann)교수는 연구결과는 <기억을 이식한 것 같은>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란즈만 교수는 실험에서 잠보 군소에는 위해를 가하지 않았다고 강조하였다. <군소의 일종이라서 위험을 느끼면 아름다운 보라색 먹을 내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긴다. 그러므로 위험을 느껴서 먹을 내지만 쇼크에 의하여 신체적인 손상은 가하지 않았다.>
장기기억은 여기까지, 뇌 안의 신경세포끼리의 접합부에 있는 시냅스(SYNAPSE)에 저축되었다고 생각되어왔다. 하나의 신경세포에는 수천의 시냅스가 있다.
그러나 그란즈만 교수는 <만일 기억이 시냅스에 저장되어 있다면 우리들의 실험이 성공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UCLA에서 통합생물학을 가르치는 그란즈만 교수는 기억은 신경세포의 핵에 저축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번 연구는 RNA이 기억에 어떻게 관여하는가에 대하여 종래의 연구내용을 보강할 가능성이 있다.
연구대상이 된 RNA의 종류는 생물의 성장이나 병에 관계하는 세포의 여러 가지의 기능의 제어에 관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군소의 신경세포의 수는 약 2만 개인데 대하여 인간에게는 약 1000억 개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래도 연구팀은 군소의 신경세포의 세포나 분자의 움직임은 인간에 가깝다고 지적한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이나 심적외상 후 스트레스 장해(PTSD)의 영향을 경감하는 조치에 이 번 결과가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연구결과가 인생의 기억의 이식에도 도움이 될 것인지 하는 물음에는 그란즈만 교수는 명확히 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기억의 축적방법에 대하여 이해가 진전되면 보다 다채로운 형태로 기억의 가지가지의 측면을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를 나타내었다.
* 출처= www.bbc.com › japanese
시바니 데이브 기자(Shivani Dave reporter BBC News )
* 2018년 5월 15일
(영어기사= 'Memory transplant' achieved in snails)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컴퓨터 계산속도 경쟁 랭킹 (0) | 2020.11.19 |
---|---|
5G、IoT、딥페이크—전문가가 경고하는 최신기술의 위험성 (0) | 2020.11.17 |
기억을 정착시키는 효과적인 방법 (0) | 2020.11.11 |
치매를 일으키는 뇌 안의 이상한 단백질을 가시화하다. (0) | 2020.11.05 |
인류가 바이러스와 인연을 끊을 수 없는 깊은 이유 (0) | 2020.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