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항바이러스약 2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3)

항바이러스 약에 대하여 (3) 속속 등장하는 신종코로나 항바이러스 먹는 약. -지금 알고 있는 것은- 항바이러스 약 개발의 복잡한 도정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약의 개발은 용이하지 않다. 1963년에 최초의 항바이러스 약인 이독수리딘(Idoxuridine)이 눈의 헤르페스(herpes)의 치료약으로서 승인된 이래 FDA에서 승인된 항바이러스 약은 100종류가 넘는다. 그 중 3분의 1 이상은 항HIV 약이다. 지금까지의 항바이러스 약 개발에는 특정 바이러스 구릅에 공통하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의 어프로치가 중심이었다. 이러한 항바이러스 약은 매우 효과적인데 바이러스는 독자의 단백질을 거의 만들지 않고 제약회사가 표적으로 하는 단백질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 또 항바이러스 약이 사람의 세포에 손상을..

과학/과학 2021.11.24

어째서 흡연자는 코로나에 잘 감염되지 아니 하는가 (4)

어째서 흡연자는 코로나에 잘 감염되지 아니 하는가(4) -히로시마대학이 발견한 의외의 메커니즘- 바이러스 변이종이라도 영향주지 않는다. 현재 신종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 치료에는 다른 병의 약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효과가 확인된 것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아직 특효약은 없다. 또 국내외의 제약회사를 비롯하여 많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저해약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는데 어느 것이나 치료 시험단계이다.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치료약은 과 의 2타입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들이 목표로 하는 치료약은 전자의 타입으로 이다. 최대의 특징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수용체라고 하는 의 수를 줄이는 메커니즘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 있다. 중화항체 등 항체를 이용한 약의 경우 특정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를 발휘하기..

과학/과학 2021.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