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초신성폭발 2

많은 사람이 모르는 <우주가 끝날 때> (1/3)

많은 사람이 모르는 (1/3) 그 장대한 2가지 시나리오. 이 근원적인 물음은 세계의 최첨단을 가는 물리학자 무라야마 히도시(村山斉) 씨가 알기 쉬운 예화를 써서 해석하는 제2회 우주의 미래이다. 우주는 언제까지 이어지는가. 과연 끝은 있는가. 무라야마 씨와 함께 우주에 갈 끝을 탐구하는 여행으로--- 태양이 타 없어진다. 우리들을 비추는 어머니인 별, 태양이다. 태양에서 내려 쏟아지는 빛이나 열의 은혜로 우리들이 지구에 살 수가 있다. 그러나 그 태양도 약 50억년 후에는 지구를 삼킬 정도로 거대화하여 지구는 타 없어진다. 그 후 태양은 서서히 어두워져서 사라지고 얼음덩이인 캄캄한 어둠이 세계가 되고 만다. 이것이 지구와 태양의 미래이다. 우주에 있는 모든 별들이 연료를 다 써버리는 것은 100조년 후..

환경. 우주 2022.07.04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47억 년 전 태양계는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가?(1/2) 세계적인 베스트셀라 『우아한 우주』의 저자 브라이안 그린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즈 제5회이다. 어째서 물질이 생겨나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가.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가려는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의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를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낸 이 가장 근원적인 물음에 답하는 본서에서 이번 회는 태양계가 어떻게 해서 태어났는지를 해명한다. 태양은 우주창생부터 세어서 3대째의 항성 나이 45억을 지나서도 태양은 우주의 신입자이다. 태양은 우주의 제1세대의 항성의 하나가 아니었었다. 항성의 선구자가 된 제1세대의 별들은 인플레이션의 팽창으로 공간전체에 끌려 뻗은 물질과 에..

환경. 우주 2022.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