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우주공간 6

우리들은 초속 600Km로 우주 공간을 돌진하고 있다.

우리들은 초속 600Km로 우주공간을 돌진하고 있다. -이를 알 수 있는 애니메이션 작성- https://www.youtube.com/watch?v=npq_yb-xLmw 자료 : 유투브의 제임스 오도노휴(James O'Donoghue) 씨는 심플한 애니메이션 지구는 자전하면서 태양을 공전하고 태양은 은하계의 중심을 주회하고 은하는 우주공간을 질주하고 있다. 이들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지 전 NASA에서 현재는 JAXA의 혹성과학자인 제임스 오도노휴(James O'Donoghue) 씨는 심플한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내었다. 지구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보이지만 우주마이크로파배경방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CMB)와 비교하여 계측하면 맹렬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우..

환경. 우주 2022.10.27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빅립>이란?(2/3)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이란?(2/3) -모두가 산산이 흩어지다.- 암흑 에너지 혹시 우주공간의 전체가 인플라톤(Inflaton)과는 다시 다른 에너지 장에서 균일하게 채워져 있다면 은하가 서로에서 급속히 멀어지는 이유가 설명된다(우리들은 그 새로운 에너지 장을 빛을 발하지 않은 데서 라 부르고 있는데 라는 이름도 같은 정도로 맞다.). 물질이 모여져서 된 은하는 인력적 중력을 서로 끼쳐서 은하가 날아서 흩어지는 속도를 작게 한다. 균일하게 넓어지는 암흑에너지는 척력적(斥力的) 중력을 끼쳐서 은하가 날아 흩어지는 속도를 크게 한다. 천문학자가 관측하고 있는 가속팽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암흑에너지에 의한 밀어냄이 은하끼리가 집단으로서 끌어당기는 힘보다 크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차는 큰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

환경. 우주 2022.03.29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빅립>이란?(1/3)

우주종언의 시나리오 이란?(1/3) -모두가 산산이 흩어지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우아한(elegant) 우주』의 저자 브라이언 그린(Brian Greene、1963년 2월 9일 -미국 이론물리학자)에 의한 신작 『시간의 끝까지』에서 본문의 일부를 소개하는 시리즈 제8회이다. 어째서 물질이 생기고 생명이 탄생하고 우리들이 존재하는 것일까. 팽창을 계속하는 는 우리들을 어디로 데리고 갈 것인가. 시간의 시작인 빅뱅에서 시간의 끝인 우주의 종언까지를 장대한 스케일로 그린 이 책에서 이번 회는 우주 종언 시나리오의 하나 를 해설한다. 빅립(Big Rip) 사과를 바로 위로 내 던지면 끊임없이 작용하는 중력 때문에 사과의 위로 가는 속도는 점점 작아진다. 이것은 중력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잘 쓰이는 예인데..

환경. 우주 2022.03.28

지구는 1년에 5만 톤씩 가벼워지고 있다!?

지구는 1년에 5만 톤씩 가벼워지고 있다!? 유엔이 발표한 에 따르면 2011년에 세계의 인구는 70억 명에 도달했다고 추계하고 있고, 2050년대에는 9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처럼 지구의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빌딩 등 거대건조물이 차례차례로 건축된다면, 지구 자체의 중량도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것은 큰 오류이다. 아무리 인간이나 물건이 증가한다 해도 그것은 지구상에 원래부터 있었던 물질이 모양을 바꾼 것뿐이라서 지구 자체의 중량은 변하지 않는다. 단지 지구의 중량은 매년 계속 변화하고 있다. 우주 공간에 떠도는 무수한 먼지가 지구의 중력에 끌리어 1년간 4만 톤이나 내려붓고 있다. 그러면 지구는 해마다 무거워지는가 하면 실은 그 역이다. 웬걸 매년 5만 톤씩 지구는 가벼워지고 있..

환경. 우주 2022.03.25

어째서 지구 등 천체는 <구형>인가?

어째서 지구 등 천체는 인가? 어째서 지구는 물론 태양이나 달 등 천체는 을 하고 있을까. 그에 대해서 소혹성탐사기 가 착륙한 것으로 알려진 는 풋콩처럼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만이 아니라 화성이나 토성의 위성에도 구형이 아닌 것이 많이 있는데 이들 천체에 공통하고 있는 것은 는 것이다. 원래 천체는 우주공간에 있는 가스나 먼지 등의 물질이 모여져서 만들어졌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래서 물질은 모이면 중력을 가지고 그 중심을 향하여 잡아당기려는 힘도 차차 커진다. 작은 천체의 경우 물질 자체의 강도보다 그 중력이 작아서 원래의 모양을 이어서 지탱한다. 그런데 물질이 어느 정도의 크기가 지나면 그 상태에 변화가 일어난다. 물질의 중심을 향하여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가 물질자체의 강도를 웃돌게 되면 표..

중력파를 재관측! -2-

중력파를 재관측! -2- 블랙홀의 합체는 빈번히 일어나는 것 같다. 블랙홀의 합체는 빈번히 일어난다. 4개월이란 우주의 역사에서 본다면 일순간이다. 또 중력파는 블랙홀의 합체에서 생긴다. 여기서 이끌어내는 결론은 무엇인가? 블랙홀의 합체는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연구팀도 그 의의를 강조하고 있다. 곧 블랙홀은 당연히 천체이다. 그래서 천체끼리의 충돌도 다반사이다. 일반적으로 우주공간은 틈새 천지이다. 아기가 우주 공간에 내던져진다면? 평균수명을 다 할 때까지 아무것에도 부닥치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아무 것도 없는 공간인데 거대한 천체끼리 빈번히 부닥치고 있다. 조금 믿기지 않는 이야기이지만 그러니까 우주는 재미있다. 어른에게도 흥미를 끈다. 왜곡은 약간이다. 거대한 천체가 빈번히 부닥친다는 것을 알면 ..

과학/과학 2021.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