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분류 전체보기 6564

춘추좌씨전 9. 양공(襄公) 편의 명언 명구

9. 양공(襄公) 편의 명언 명구 79, 多行無禮면 必自及也라.(左傳 襄公 4年) 다행무례면 필자급야라.(좌전 양공 4년) 남에게 무례한 짓을 많이 하면, 반드시 자신도 무례한 짓을 받게 된다. 무례한 짓을 거듭하면 반드시 그 무례함이 자신에게 되돌아온다. ㅇ다(多)-많다. ㅇ행(行)-행하다. ㅇ필(必)-반드시. ..

춘추좌씨전 10. 소공(昭公)편의 명언 명구

10. 소공(昭公)편의 명언 명구 107, 不義而彊이면 其斃必速이라.(左傳 昭公 元年) 불의이강이면 기폐필속이라.(좌전 소공 원년) ] 의롭지 못하면서 강하다면 그가 거꾸러짐은 반드시 빠르다. 의롭지 못한 사람이 의롭지 못한 일을 하는 데서 강력하게 실천력을 발휘하는 사람은 반드시 빨리 넘어진다. ㅇ..

춘추좌씨전 11. 정공(定公) 편의 명언 명구

11. 정공(定公) 편의 명언 명구 133, 困獸猶鬪라.(左傳 定公 4年) 곤수유투라.(좌전 정공 4년) 곤경에 빠진 짐승은 사투를 한다. 곤경에 처한 짐승은 자기의 힘을 돌보지 않고 덤빈다.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고 한다. 사람도 궁지에 몰리면 전력을 다하여 반격을 가한다. ㅇ곤(困)-어렵다. 곤경. ..

춘추좌씨전 12. 애공(哀公) 편의 명언 명구

12. 애공(哀公) 편의 명언 명구 139, 國之興也에 視民如傷이라.(左傳 哀公 元年) 국지흥야에 시민여상이라.(좌전 애공 원년) 나라가 흥하려면 백성을 대하기를 상처를 위하듯 해야 한다. 나라가 흥하려면 임금은 백성을 대할 때 언제나 상처를 입은 사람을 대하듯 인자한 마음으로 대해야 한다. ㅇ흥(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