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유가의 고전/춘추좌씨전의 명언 명구

춘추좌씨전 11. 정공(定公) 편의 명언 명구

간천(澗泉) naganchun 2009. 4. 8. 09:55

 

11. 정공(定公) 편의 명언 명구

 

133,

困獸猶鬪라.(左傳 定公 4年)

곤수유투라.(좌전 정공 4년)

 

곤경에 빠진 짐승은 사투를 한다.

 

곤경에 처한 짐승은 자기의 힘을 돌보지 않고 덤빈다.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문다고 한다. 사람도 궁지에 몰리면 전력을 다하여 반격을 가한다.

ㅇ곤(困)-어렵다. 곤경. ㅇ수(獸)-짐승. ㅇ유(猶)-오히려. ㅇ투(鬪)-싸우다.

 

134,

乘人之約은 非仁也라.(左傳 定公 4年)

승인지약은 비인야라.(좌전 정공 4년)

 

남의 곤궁한 처지를 이용함은 인이 아니다.

 

남이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것을 기화로 이를 괴롭히는 것은 인자로서 취할 행동이 아니다.

ㅇ승(乘)-타다. ㅇ약(約)-곤궁하다. ㅇ인(仁)-어질다.

 

135,

人各有能有不能也라.(左傳 定公 5年)

인각유능유불능야라.(좌전 정공 5년)

 

사람은 각기 할 수 있는 것이 있고, 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사람은 각기 잘하는 것도 있고, 잘못하는 것도 있는 법이다.

ㅇ각(各)-각각 .따로따로. ㅇ유(有)-있다. ㅇ능(能)-잘하다.

 

136,

執牛耳라,(左傳 定公 8年)

집우이라.(좌전 정공 8년)

 

소의 귀를 잡는다.

 

소의 귀를 잡는 다는 말이니 동맹국들 중에서 주도권을 잡는 것을 소의 귀를 잡는다고 한다.

ㅇ집(執)-잡다. ㅇ우(牛)-소. ㅇ이(耳)-귀.

 

137,

三折肱이라야 知爲良醫라.(左傳 定公 13年)

삼절굉이라야 지위양의라.(좌전 정공 13년)

 

세 차례 팔이 꺾어지는 부상을 당하고서야 양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 팔뚝을 꺾어 보아야 양의가 될 수 있다. 경험이 많아야 유능한 사람이 될 수 있다.

ㅇ절(折)- 다. ㅇ굉(肱)-팔꿈치. ㅇ지(知)-알다. ㅇ량(良)-좋다. ㅇ의(醫)-의사.

 

138,

驕而不亡者는 未之有也라.(左傳 定公 13年)

교이불망자는 미지유야라.(좌전 정공 13년)

 

교만하고서 망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

 

교만하고도 망하지 않는 사람은 보지 못하였다. 사람이 교만하면 남의 원한을 사서 결국에는 망하게 된다.

ㅇ교(驕)-교만하다. ㅇ밍(亡)-망하다. ㅇ미(未)-아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