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7/10 6

북극권 하얀 하늘의 왕자 흰매의 알려지지 않은 생태

북극권 하얀 하늘의 왕자 흰매의 알려지지 않은 생태==시속 210Km로 날고 황제의 사랑을 받았던== 하늘을 나는 맹금류 중에서도 하야부사속(Falco, 매속)은 35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각각이 고유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그중에서도 크기 면에서 두드러진 존재가 바로 흰매이다. 흰매(학명: Falco rusticolus)는 북아메리카, 유럽, 유라시아 대륙의 북극권 주변에 서식하는 위풍당당한 조류다. 날개를 펼친 길이는 60인치(약 150cm)를 넘기도 하며, 암컷은 수컷보다 더 크고, 체중이 4.5파운드(약 2kg)를 넘는 경우도 있다.깃털 색은 개체에 따라 다양하며, 거의 순백색부터 짙은 회색, 검은색에 이르기까지 폭넓다. 백색에 가까운 개체는 그린란드에서 자주 목격되며, 어두운 색깔을 띠는..

「밀러 의 실험」이 남긴 ‘하나의 공’과 ‘두 개의 과’(4)

「밀러 의 실험」이 남긴 ‘하나의 공’과 ‘두 개의 과’(4)안타깝게도, 원시 지구 대기에 메탄이 있었다는 가정은 단순한 ‘믿음’이었다… 충격적이었던 ‘밀러의 실험’이 남긴 ‘하나의 공적과 두 개의 죄’4, 밀러 실험의 ‘공과’ 밀러 실험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생명과 직접 연결된 분자인 아미노산이 단순한 기체를 섞고 불꽃을 튀기기만 해도 생성될 수 있다는 것, 즉 화학 진화가 실험실에서 재현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는 데 있다. 오파린과 홀데인이 생명의 기원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한 1920년대에는 그것이 실험 과학이 될 수 있다고는 전혀 생각조차 할 수 없었다. 말하자면 밀러의 실험은 일종의 **‘콜럼버스의 달걀’**이었고, 그 사실을 알게 된 수많은 과학자들을 생명 기원 연구로 이끌었다. 이것이야말로..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은 AI 등장으로 무엇이 일어날까(4)

인간의 두뇌를 뛰어넘은 AI 등장으로 무엇이 일어날까(4)==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경고== ■ 인간 지능을 초월한 외계적 인공지능의 위협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외계적 인공지능(Alien Intelligence)의 부상은 전 인류에게 위협이 되며, 특히 민주주의에 큰 위협을 가한다. 점점 더 많은 생활에 대한 결정이 블랙박스 안에서 이루어지고, 유권자가 그것을 이해하거나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면, 민주주의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특히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정책금리와 같은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결정까지도 인간을 초월한 알고리즘에 의해 내려지게 된다면, 과연 무슨 일이 벌어질까? 인간 유권자들이 여전히 인간 대통령을 뽑는다 하더라도, 그것은 단지 공허한 의..

세계의 과학자 48,오귀스트 앙투안 피카르(Auguste Piccard) 이야기. (4)

세계의 과학자 48, 오귀스트 앙투안 피카르(Auguste Piccard) 이야기. (4)==기구로 성층권에 달하고, 자수정으로 마리아나 해구에 잠겼다,= 바티스카프(Bathyscaphe, -scape, -scaph)란바티스카프는 스위스의 물리학자 오귀스트 피카르(Auguste Piccard)가 발명한 소형 심해 탐사선으로, 추진력을 갖추고 심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스어로 "깊은"을 의미하는 bathys와 "배"를 의미하는 skaphos를 결합한 조어이다. 역사적 경과 등을 거치며, 현재는 심해 탐사선 중에서도 피카르가 설계(디자인)한 일련의 기체 및 그와 유사한 형태의 탐사선을 통칭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트리에스테호의 내부 구조 탐사선은 부력 장치(플로트), 캐빈, 수조식 밸러스트 탱..

세계의 과학자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