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성공(成公) 편의 명언 명구
68,
聖人與衆同欲이라.(左傳 成公 6 年)
성인여중동욕이라.(좌전 성공 6 년)
성인과 민중이 바라는 바는 같다.
성인은 일반 민중과 같은 것을 바라고 같은 것을 사랑한다. 성인의 욕망은 곧 민중의 욕망이며 민중과 욕망을 같이 하는 자가 성인이다.
ㅇ성(聖)-성스럽다. ㅇ중(衆)-무리. 민중. ㅇ욕(欲)-바라다.
69,
唯器與名은 不可以假人이라.(左傳 成公 2年)
유기여명은 불가이가인이라.(좌전 성공 2년)
신분에 맞지 않는 기물과 지위를 나타내는 칭호는 함부로 허락해서는 안 된다.
기(器)는 도구나 장식 또는 복장 등을 말하고 명(名)은 언어, 신분, 칭호 등을 말하는 말이다. 사람은 자신의 신분에 맞도록 복장이나 치장 장식을 해야 하며 말씨도 신분에 맞게 써야 한다.
ㅇ유(唯)-오직. ㅇ기(器)-그릇. ㅇ여(與)- 와,과. ㅇ명(名)-이름. 명칭. ㅇ가(假)-용서하다. 빌리다.
70,
神福仁하고 而禍淫이라.(左傳 成公 5年)
신복인하고 이화음이라.(좌전 성공 5년)
신은 어진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방탕한 사람에게는 화를 준다.
하늘은 인자에게는 복을 내리고, 음탕하고 탐욕스러운 자에게는 화를 내린다.
ㅇ신(神)-귀신. 신. ㅇ복(福)-복. ㅇ인(仁)-어질다. ㅇ화(禍)-재앙. ㅇ음(淫)-음탕하다. 지나치다.
71,
知懼如是면 斯不亡矣라.(左傳 成公 7年)
지구여시면 사불망의라.(좌전 성공 7년)
이처럼 두려움을 안다면 망하지는 않을 것이다.
모든 일에 두려워하고 삼가 조심한다면 망하지는 않는다.
ㅇ지(知)-알다. ㅇ구(懼)-두려워하다. ㅇ여(如)-같다. ㅇ시(是)-이것. ㅇ망(亡)-망하다.
72,
從善如流라.(左傳 成公 8年)
종선여류라.(좌전 성공 8년)
선함을 따르기를 물 흐름 같이 하라.
좋은 일이라면 물이 흐름에 따라서 흘러가듯이 그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순순히 따를 일이다.
ㅇ종(從)-따르다. ㅇ선(善)-착하다. ㅇ여(如)-같다. ㅇ류(流)-흐르다.
73,
寬以待之하라.(左傳 成公 13年)
관이대지하라.(좌전 성공 13년)
너그럽게 이를 대하라.
위정자는 백성을 대할 때 너그러움으로 대우해야 한다.
ㅇ관(寬)-너그럽다. ㅇ대(待)-대우하다.
74,
禮는 身之幹也요 敬은 身之基也니라.(左傳 成公 13年)
예는 신지간야요 경은 신지기야니라.(좌전 성공 13년)
예의는 몸을 지키는 등뼈이고, 경은 몸을 지키는 터전이다.
예(禮)라는 것은 인간의 몸뚱이와 같아서 세상에 서게 하는 것이고, 경(敬)은 인간의 행동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ㅇ예(禮)-에도. 예절. ㅇ신(身)-몸. ㅇ간(幹)-줄기. ㅇ경(敬)-공경하다. ㅇ기(基)-터.
75,
柔服而伐貳는 德之次也라.(左傳 成公 13年)
유복이벌이는 덕지차야라.(좌전 성공 13년)
복종하면 부드럽게 하고 배반하면 치는 것은
덕으로 다스리는 것 중에서 다음이다.
복종하는 자에게는 부드럽게 대하고 배반하는 자에게는 격하게 쳐 다스리는 것은 덕으로 다스리는 방법으로서는 으뜸이 되지 못한다. 여왕벌이 침을 가지고 있지 않듯이 배반하는 자에게도 잘 타일러 마음속으로 따라 오도록 덕으로서 다스려야 한다. 이것만이 사람을 다스리는 방법으로서는 으뜸이 된다.
ㅇ유(柔)-부드럽다. ㅇ복(服)-복종하다. ㅇ벌(伐)-치다. ㅇ이(貳)-두마음 가지다. ㅇ차(次)-다음.
76,
懲惡하고 而勸善하라.(左傳 成公 14年)
징악하고 이권선하라.(좌전 성공 14년)
악을 징계하고, 선을 권장한다.
악한 일은 징계를 하여 다시 저지르지 못하게 하고, 착한 일은 권장하여 더 많이 하도록 한다.
ㅇ징(懲)-징계하다. ㅇ악(惡)-나쁘다. ㅇ권(勸)-권하다. ㅇ선(善)-착하다.
77,
盜憎主人하고 民惡其上이라.(左傳 成公 15年)
도증주인하고 민오기상이라.(좌전 성공 15년)
도둑은 집 주인을 미워하고, 백성은 그 윗사람을 미워한다.
도둑은 물건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감시하며 방어하는 집 주인이 밉고, 백성은 자신이 마음대로 행동할 수 없게 하는 윗사람을 미워한다. 대체로 사람들은 자신의 형편만을 내세워 하는 일이 옳고 그름은 묻지 않으려 한다.
ㅇ도(盜)-도둑. ㅇ증(憎)-미워하다. ㅇ오(惡)-밉다.
78,
好直言이면 必及於難이라.(左傳 成公 15年)
호직언이면 필급어난이라.(좌전 성공 15년)
곧은 말하기를 좋아하면 반드시 환난을 당할 것이다.
자기주장만 옳다고 생각하여 남의 사정을 돌보지 않고 곧은 말하기를 좋아 하면 화를 당하기 쉽다. 상대는 그 나름대로 생각이 있음을 헤아리고 언제나 말은 조심하고 상대의 감정을 자극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ㅇ호(好)-좋아하다. ㅇ직(直)-곧다. ㅇ언(言)-말. ㅇ급(及)-미치다. ㅇ난(難)-어렵다.
'유가의 고전 > 춘추좌씨전의 명언 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추좌씨전 6. 문공( 文公)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4.16 |
---|---|
춘추좌씨전 7. 선공(宣公)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4.15 |
춘추좌씨전 9. 양공(襄公)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4.14 |
춘추좌씨전 10. 소공(昭公)편의 명언 명구 (0) | 2009.04.14 |
춘추좌씨전 11. 정공(定公) 편의 명언 명구 (0) | 2009.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