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한자학습/한자이야기

19. 猪(저-돼지, 멧돼지)

간천(澗泉) naganchun 2009. 11. 4. 09:14

19. 猪(저-돼지, 멧돼지)

이 글자는 원래는 <豕(시-돼지) +者>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豕>가 변하여 <⺨(개 사슴 록)>으로 변한 것이다.

서유기에 저팔계(豬八戒)가 나오는데, 이 저(猪)는 멧돼지를 말한다.

猪(저)는 주로 멧돼지라는 뜻으로 쓰인다.

멧돼지가 앞만 보고 달려드는 모습을 저돌맹진(猪突猛進)이라 한다. 또 그런 태도를 저돌적(猪突的)이라 한다.

자(者) 자는 열을 집중하여 삶는다는 뜻을 가진 煮(자-삶다) 자의 근본이 되는 글자로서 <놈 자, 사람 자, 사물 자>로 쓰이는데, 이 者(자)라는 글자가 들어가면 <집중하여 메운다.>는 뜻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都(도-고을)는 사람이 집중적으로 모여 사는 곳을 말하며, 堵(도-담장)는 흙을 집중하여 쌓아 놓은 것을 말하고, 暑(서-덥다)는 햇볕이 집중하여 내려서 덥다는 뜻을 가진다.

'한자학습 >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狐(호-여우)   (0) 2009.11.08
20. 豚(돈-돼지)   (0) 2009.11.05
18. 羚(영-영양)   (0) 2009.11.03
17. 羊(양-양)   (0) 2009.11.01
16. 牝(빈-암컷)   (0) 2009.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