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방사선 5

일찍이 없는 크기의 태양계외혹성을 발견했나.

일찍이 없는 크기의 태양계외혹성을 발견했나. 목성의 질량의 10배 이상! 때로 우주에서는 신발견이 ! 태양계 안에서 최대의 혹성은 목성이다. 그 직경은 지구의 12배 정도이다. 수소를 주 성분으로 된 가스 혹성이므로 다시 얼마나 더 커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 되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거꾸로 말한다면 목성보다 더 거대한 혹성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 Nature에 연성계의 켄타우리스자리 b성(b Centauri)을 도는 목성의 10배 이상의 질량인 초거대 혹성 「b Cen (AB)b」가 발견되었다고 하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이제까지 발견된 최대급의 가스혹성이 될 가능성아 높다고 한다. 유럽 남천천문대(ESO)가 칠레에 있는 초대형망원경에는 태양계외혹성을 관측하는 「SPHE..

환경. 우주 2022.07.26

<제5의 암치료>, 광면역요법 시작되다.

, 광면역요법 시작되다. -광으로 암세포만을 파괴, 면역활성화도-세계 최초의 실용화 스피드 승인- 광면역요법이라 불리는 새로운 암치료가 2021년 1월 국내(일본)에서 시작했다. 광(光)의 작용으로 암세포만을 부수는 세계 최초의 구조로 부작용이 적은 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재 안전성 확인이 계속되고 대상은 일부의 암에 한정되지만 취재에 응한 개발자인 고바야시 히사다카(小林久隆) 미국 국립위생연구소(NIH)주임연구원은 라고 의욕을 말하고 있다. 광(光)을 기폭 스위치로 광면역요법의 구조는 간단하다. 암세포하고만 결합하는 항체약(抗體藥)을 점적 투여한다. 체내에서는 무해이지만 24시간 후에 환부 가까이에 들어간 바늘 등에서 레저를 대면 항체약에 화학변화가 일어난다. 이 때 암세포의 막에만 무수의 상처를..

과학/과학 2022.07.22

인류 진화의 연대를 재는 과학의 자 (4)

인류 진화의 연대를 재는 과학의 자 (4) -이 밝힌 것- 충격의 사실을 내놓은 열(熱)루미넨스법 그런데 새로운 측정방법에 따른 1987년에 발표된 결과는 충격적인 것이었다. 프랑스 고고학자 에레나. 비라다스와 그의 부친인 물리학자 조루쥬. 비라다스가 열루미네센스법이라는 새로운 방법을 써서 가프세동굴에서 출토한 석기의 연대를 측정한바 10만 년 전 것이라는 예상 외로 오랜 연대를 나타낸 것이다. 또 하나의 해부학적현대인이 발견된 스흐루동굴유적의 석기도 거의 같은 연대가 얻어졌다. 한편 이스라엘의 네안데르탈 중 타분은 12만 년 전이라고 더 오랜 연대를 나타내었는데, 아무드와 게바라의 네안데르탈은 6만 년 전과 현대인보다도 젊은 연대로 되어 버렸다. 혹시 해부학전현대인이 네안데르탈에서 진화한 것이라면 차례..

월면 우주방사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의 2.6배. <체재 2개월이 한도>

월면 우주방사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의 2.6배. 미국은 금후 10년 이내에 다시 인류를 달에 보낼 계획을 진행하고 있는데 미래의 우주비행사가 직면할 최대의 위험의 하나가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우주방사선이다. 백내장이나 암, 신경변성질환 등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킬 무서움이 있다고 지적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19780년대에 걸친 아폴로(Apollo)계획의 임무에서는 수일간이라면 인간이 달에서 지내도 안전하다는 것은 증명되었으나 우주비행사가 얼마만큼 달에 체재할 수 있는지를 계산하는 데에 필요한 나날의 방사선량을 미항공우주국(NASA)은 측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수수께끼는 25일 중국, 독일 합동연구팀이 과학지 사이언스 애드번스(Science Advances)에 게재한 중국..

환경. 우주 2020.10.16

방사선 관련 용어

방사선 관련 용어 ☞ 낙진(落塵) 일반적으로는 ‘땅에 떨어지는 가루’를 말하지만 원자력 분야에서는 ‘방사성물질이 붙은 상태로 하늘에서 떨어지는 가루’를 말한다. 예컨대 체르노빌 원전사고 당시 방사능에 오염된 상태로 1000㎞를 날아가 땅에 떨어진 흑연 가루를 낙진이라고 불렀다. ☞ 피폭(被曝) 방사선을 맞는 것을 말한다. 에너지가 강한 전자기파의 일종인 방사선을 너무 많이 맞으면 암이나 백혈병 같은 질병에 걸릴 수 있다. 방사선이 우리 몸의 세포나 DNA를 변형하기 때문이다. 현행 원자력법시행령에 따르면 일반인의 연간 방사선 피폭 허용 한도를 1밀리시버트(mSv), 원전 관계자의 경우 연간 50mSv로 정하고 있다. ☞ 시버트(Sv) 방사선 피폭량 또는 방사선량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단위. 1Sv는 10..

상식/언어자료 2011.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