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목성 7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이야기(7-1/8)

6, 갈리레오 갈리레이(이탈리아어 : Galileo Galilei) 이야기(7-1/8)  7, 갈리레오의 업적 1) 천문학의 업적 갈리레오는 망원경을 일찍이 다룬 한 사람이다. 네덜란드 연방공화국에서 1608년에 망원경의 발명특허에 대해서 알아보면 1609년 5월에 1일에 10배의 망원경을 제작하고 다시 20배의 것으로 고쳤다. 1609년 여름 45세인 갈리레오는 네덜란드에서 발명된 망원경에 2개의 볼록렌즈를 조합하여 천체관측에 쓸 수 있도록 개량하였다. 갈리레오가 그 망원경을 하늘로 향했을 때 우주에 관한 오랜 관념을 버리고 코페르니크스(Mikołaj Kopernik、1473-1543, 폴란드의 천문학자. 만년에 『천구의 회전에 대하여』를 지음)의 이론을 한층 유리하게 하는 사실이 밝혀졌다.1609년에..

세계의 과학자 2024.06.25

태양계의 멋진 위성 9개

태양계의 멋진 위성 9개 태양계의 혹성은 8개이지만 혹성이나 소혹성의 둘레를 공전하는 위성은 200개 이상이나 존재하고 있다. 한 마디로 태양계의 위성이라고 해도 거대한 것도 있고 작은 사이즈의 것도 있다. 그래서 각각 대기나 복잡한 지형 기후 등의 특징이 있어서 각 우주 기관은 그런 위성의 다양성을 배우려 한다. 그래서 이제까지 관측된 것이나 이후에 임무로서 탐사대상이 되고 있는 천체 등 태양계의 위성 중에서도 개성이 풍부한 면면을 취해보기로 한다. 1, 달 가장 유명한 위성이라고 하면 일 것이다. 라텐어로는 {달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세레네다.}라 불리는 달은 크고 표면에 무수한 원형의 구덩이를 가지고 있는 지구의 위성이다. 달에는 몇 번이나 탐사선을 보내고 있는데(지금도 월탐사기가 활약 중이다.) ..

환경. 우주 2022.07.27

일찍이 없는 크기의 태양계외혹성을 발견했나.

일찍이 없는 크기의 태양계외혹성을 발견했나. 목성의 질량의 10배 이상! 때로 우주에서는 신발견이 ! 태양계 안에서 최대의 혹성은 목성이다. 그 직경은 지구의 12배 정도이다. 수소를 주 성분으로 된 가스 혹성이므로 다시 얼마나 더 커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 되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거꾸로 말한다면 목성보다 더 거대한 혹성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 Nature에 연성계의 켄타우리스자리 b성(b Centauri)을 도는 목성의 10배 이상의 질량인 초거대 혹성 「b Cen (AB)b」가 발견되었다고 하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이제까지 발견된 최대급의 가스혹성이 될 가능성아 높다고 한다. 유럽 남천천문대(ESO)가 칠레에 있는 초대형망원경에는 태양계외혹성을 관측하는 「SPHE..

환경. 우주 2022.07.26

목성의 질량의 10배 이상!

목성의 질량의 10배 이상! 일찍이 없는 크기의 태양계외혹성을 발견했나. 때로 우주에서는 신발견이 ! 태양계 안에서 최대의 혹성은 목성이다. 그 직경은 지구의 12배 정도이다. 수소를 주 성분으로 된 가스 혹성이므로 다시 얼마나 더 커지면 스스로 빛을 내는 항성이 되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었다. 거꾸로 말한다면 목성보다 더 거대한 혹성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최근 Nature에 연성계의 켄타우리스자리 b성(b Centauri)을 도는 목성의 10배 이상의 질량인 초거대 혹성 이 발견되었다고 하는 논문이 게재되었다. 이제까지 발견된 최대급의 가스혹성이 될 가능성아 높다고 한다. 유럽 남천천문대(ESO)가 칠레에 있는 초대형망원경에는 태양계외혹성을 관측하는 「SPHERE」가 탑재되어 있다...

환경. 우주 2022.06.09

목성이란 어떤 혹성인가?

목성이란 어떤 혹성인가? 밤하늘의 목성을 볼 수 있는 계절인 여름이 왔다. 목성에 대하여 미리 지식을 가지고 한 번 목성을 찾아보면 어떨까? 목성은 태양계의 내측에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5번째의 혹성이다. 다른 혹성에 비해서 제일 큰 목성의 정채를 밝혀보기로 하자. 1, 목성이란 태양계 혹성 중에서 가장 큰 것이 목성이다. 목성은 지구와는 전혀 다른 타입의 혹성이다. 지구는 암석이나 금속 등으로 되어 있으나 목성은 태양과 같이 수소와 헬륨 가스로 되어 있다. 그래서 크기는 하지만 가볍다. 혹시 목성이 지금의 100배 정도 크다면 내부에서 반응이 일어나서 태양처럼 되었을는지 모른다. 또 하나 목성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대적반(大赤班)이다. 이것은 과학교과서에 올라있는 목성의 사진을..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6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6 6, 다가오는 죽음의 시기 NASA의 파카 솔라 프로브(Parker Solar Probe/태양의 외부 코로나의 관측을 계획하고 있는 우주탐사기)는 의연히 태양으로의 접근을 반복하고 있고 2021년에는 금성 후라이바이를 행해서 지금까지에서 가장 태양에 접근할 예정이다. 금후에도 조금씩 태양과의 거리를 줄여서 2025년 무렵에는 태양의 작열 속에서 사라지고 말 것이다. 종언은 NASA의 쥬노 (Juno) 탐사기에도 같이 다가오고 있다. 가지가지의 아름다운 목성의 화상을 지구로 보내준 쥬노이지만 기체의 노화로 2021년 7월에는 목성의 주회궤도에서 떨어져 16일경에 목성의 대기권 안에서 붕괴시킬 것으로 결정된 것 같다.(공중 분해시키는 데에는 목성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멈추게..

환경. 우주 2021.02.15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5

즐거운 2021년의 우주 뉴스 5 5, 심우주(深宇宙)에로의 여행 NASA의 루시(Lucy) 탐사기도 2021년 10월에 발사할 것을 예정하고 있다. 이것은 목성의 트로야군소혹성(Jupiter Trojan) 8개를 12년에 걸쳐서 탐사하는 인류 최초의 시도로 먼저는 지구를 2번 후라이바이(flyby/ 탐사기가 혹성 혹은 혹성의 위성 가까이를 통과하는 것)하여 충분히 속도를 보충해서 심우주로 여행을 떠날 것이라 한다. 같은 NASA의 프로그램인 DART탐사기(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임무도 금년 7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소혹성 디디모스(Didymos)에 초속 약 6Km로 우주기를 붙여서 소혹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는지 시도해 본다는 것으로 대담한 실험인데 만일 이 이 실험..

환경. 우주 2021.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