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공간 4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1/3)

140억 년 전 어째서 빅뱅에 의하여 우주가 태어났는가?(1/3) 콜럼비아대하 브라이안 구리 교수의 저서에서 발췌 아인슈타인마저 몰랐던 우주탄생의 수수께끼 빅뱅(BIGBANG)이란 무엇이었나? 1920년대 중반 예수회 사제 조루즈 르메투르(Georges Henri Joseph Édouard Lemaître、1894년-1966년=베르기에 천문학자))는 아인슈타인이 새로 만든 중력이론--일반상대성이론-을 써서 우주는 무엇인지 폭발과 같은 것으로 시작하여 그 후 줄곧 팽창을 계속하였다는 과격한 생각을 발전시켰다. 르메투르는 사제로서의 일의 여가에 물리학을 즐기는 타입의 물리학자는 아니었다. 그는 마사츄세스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극히 이른 시기에 일반상대성이론을 우주전체에 응용한 물리학자의 한 사람이었..

환경. 우주 2022.06.01

시간이란 무엇인가? (5)

시간이란 무엇인가? (5) -가장 신변에서 가까운 존재의 에 최신과학이 다그친다.- 은 물리학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시간과 인연이 깊은 학문인 물리학에서는 시간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가. 이론물리학이나 소립자물리학이 전문인 게이오대학 교수 마쓰우라소(松浦壮) 씨에게 물어보니 놀라운 답이 돌아왔다. 어쩌면 우리가 느끼고 있는 이라는 것은 물리학의 법칙에서는 정의되지 않고 이라는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서는 이 식(式) 안에 나타나서 이론이 진행된다. 그러나 시간을 식 중에서 반전시켜 마이너스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가정해도 실은 운동은 전혀 같은 운동방정식으로 말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에 의하여 말해지기 때문에 상세한 것은NHK주문방송프로(온데만드/On-Demand)를..

과학/과학 2022.02.11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종교나 철학에서의 시간관의 변화 1, 고대로부터의 종교에서의 시간의 개념. 고대 이집트, 그리스, 마야 등의 많은 고대문명의 종교에서는 신들이 창조한 세계는 창조--존속--종말--파멸...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원환적(圓環的)인 구조로 되어있어서 무한 반복하므로 시간은 같은 길을 거친다고 하는 의미로 거꾸로 되돌아오는 것도 반복도 가능한 것 혹은 그러면서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라고 생각되었었다. 또 불교나 힌두교 등의 인도철학이나 동양사상에서도 윤회전생이라고 해서 죽어서 저 세상에 돌아간 영혼이 몇 번이나 바꾸어 태어난다는 생각이 있었다. 유대교에도 일보 원환적인 시간관이 보이는데 기독교에서는 신의 계시에 따른 예수 크리스트의 이 세상에로의 도래와 죽음. 부활은 불가역적으로 반복 불가능한 것이라고 한다. ..

과학/시간 2020.11.18

지구의 하늘은 어째서 푸른가?

지구의 하늘은 어째서 푸른가? 지상에서 서서히 고도를 높여가면 언젠가는 우주공간에 이른다. 거기는 이미 푸른 하늘은 존재하지 않는다. 캄캄한 우주가 넓혀져 있을 뿐이다. 한편 눈 아래에는 담담한 푸른빛을 방사하는 지구가 보인다. 이것은 지상과 우주공간 사이에 있는 야말로 라고 생각해도 좋을 것 같다.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우주공간을 통하여 지구에 닿는다. 지구 위의 캄캄한 영역에도 확실히 태양빛은 존재하고 있는 셈이다. 그와는 무관하게 어째서 우주는 캄캄한 것일까. 그 원인은 지구의 하늘이 푸른 이유에도 깊이 관계하고 있다. 우주공간에서는 예를 들어 빛이 우리들 눈앞을 통과하였다 하더라도 우리들에게는 그 빛을 직접 인식할 수는 없다. 우리들이 볼 수 있는 빛은 어디까지나 눈에 들어온 빛뿐이기 때문이..

환경. 우주 2020.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