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교육자료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의 지도과정 모형 시안의 구안

간천(澗泉) naganchun 2011. 3. 30. 04:46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수업의 지도과정 모형 시안의 구안

 

 

목 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수업 모형 정립에 시사를 주는 이론

   1. FLES 프로그램에서

   2. Halliday, M.A.K 등 학자들의 이론에서

   3. 일본어 교수법에서

 Ⅳ. 수업 지도과정 모형의 정립

   1. 수업 지도과정 모형 정립을 위한 시사점의   추출

  2. 수업 지도과정 모형의 정립

 Ⅴ. 요약 및 과제

 

 

 

Ⅰ. 서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정상적으로 태어난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국어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모국어를 습득하기 위하여 특별한 의식적인 준비나 지적 능력을 쓸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제2언어(외국어)를 습득하기 위하여서는 언어 습득을 위한 의식적 노력이 필요하다.

Harold, E. Palmer는?다섯 가지의 습성(five speech-listening habits)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첫째는 귀로 청취하는 것이고,

둘째는 입으로 흉내를 내는 것이며,

셋째는 반복 연습을 통하여 입에 익히고 기계적으로 암기하는 것이며,

넷째는 음과 의미의 결합 곧 음성을 들어서 즉시 그 표현하는 의미를 연상해 내는 것이고,

다섯째는 유추에 의한 작문 곧 기습문장 속에 있는 말을 적당히 대치시켜 자기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의 문장을 만드는 일 등이다.

그리고 Twaddell. W. F는 위에 말한 다섯 가지 습성을 다음의 5단계로 보고, 그것을?인지(認知 recognition), 모방(模倣 imitation), 반복(反復 repetition), 변화(變化 variation), 선택(選擇 selection)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한국어를 제2언어(외국어)로서 교육한다 함은 위에 든 다섯 가지의 습성 또는 단계를 교육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어와 자기의 모국어를 대등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이중언어사용자를 기르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런데 영어 교육 등 외국어 교육에 관한 문헌과 연구는 많으나 제 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방법에 관해서는 문헌이나 연구 논문 등이 별로 없으므로 한국어를 제2언어로서 지도하는 교육 사태에 직면해서는 자신을 가질 수 없을 뿐 아니라, 국내에서의 국어 교육으로 착각하거나, 지도 방법이 미흡하여 소기의 목표를 달성시키지 못하고 있는 점을 통감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채로 단편적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과 일반 언어 및 언어 학습 이론, 영어 등 외국어 교육 방법을 원용하여 방법을 모색하면서 지도하고 있다.

제2언어로서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으로 해결하지 못한 채로 유보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말하기(회화)에만 주안을 두어야 하는가?

2. 모국어의 사용은 어느 정도라야 하는가?

3. 문법 지식은 어느 정도로 다루어야 하는가?

4. 연습(반복연습)의 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5. 혼자 할 수 있는 과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해야 하는가?

6. 단위 시간의 수업 내용은 교재 그대로가 좋은가, 재구성하는 것이 좋은가?

7. 수업에서 지도 과정은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하며, 특수한 지도 기술 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등을 들 수 있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이라는 입장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작업은 역시 수업이며 수업을 통하여 언어학적 측면에서 한국어의 학습요소를 체득하고 구사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래서 한국어의 언어학적 요소를 이해시키고, 언어 행동에 효과적으로 구사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수업 형태와 교수-학습 지도 과정을 구안하고자 하는 데 본 연구의 주안이 있다.

 

Ⅱ. 연구 방법

 

언어학 및 언어 교육, 외국어 교육 방법 등의 문헌을 통하여 외국어 교수법을 조사 연구하여 한국어를 외국어 교수 방법에 맞추어 교수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정립하려 했다. 수업 모형이라고 하여도 연구 범위가 광범하므로 이 연구에서는 Glaser의 수업 모형에서의 4 단계 중, 3단계인 '교수-학습 지도 과정'에 해당하는 분야를 주안으로 하여 교수-학습 지도 과정을 모형화하고 지도 기술을 모색하는 것으로 한정했다.

 

Ⅲ. 수업 모형 정립에 시사를 주는 이론

 

1. FLES 프로그램

 

FLES란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s"를 말하는 것으로 제2차 대전 후 미국에서 전국적 규모로 조직되어 1952년에 뉴욕의 현대외국어협회의 인정을 받아 널리 실시되고 있는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이다.

FLES프로그램은 본질적으로 정상아라면 누구나 타고난 능력과 주위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원조만으로도 어떠한 언어라도 습득할 수 있다는 모국어 학습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제2언어를 학습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모국어를 충분히 말할 수 있는 가정이나 모국어를 사용하는 문화환경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는 사실로 본다면 특수한 외국어 교육환경이 필요하다는 데서 고안된 프로그램이다.

FLES에서는 언어 능력의 단계를 6단계로 나누어 1․2급을 기초코스(basic course), 3․ 4급을 언어자격(language requirment), 5․ 6급을 상급자격(advanced requirment)으로 하여 능력별 지도를 실시한다.

여기서는 FLES에서 말하는 기초 코스와 언어자격 코스의 대표적인 수업 계획의 예를 보기로 한다.

 

1) 기초 코스 1급의 초기(1/4기)

 

(1) 교사의 목표 언어에 의한 구두 도입

(2) 기습 교재의 복습

(3) 최근 제시한 교재의 복습

(4) 신 교재의 제시

(5) 숙지하고 있는 기술에 의한 문형 연습

(6) 새로운 기술에 의한 문형 연습

(7) 듣기 평가

 

2) 기초 코스 2급의 말기(3/4기)

 

(1) 교사의 목표 언어에 의한 구두 도입

(2) 교과서 이외의 읽을거리에 의한 복습

(3) 읽기 과제에 대한 문답과 토론

(4) 문형 연습

(5) 어휘 연구

(6) 예습하지 않은 교재에 의한 읽기 연습

(7) 받아쓰기 평가

 

3) 언어자격 코스의 3급의 초기(1/4기)

 

(1) 본시 과제에 근거한 반복 연습

(2) 전시 토론의 정리

(3) 본시 과제에 대한 문답과 토론

(4) 어휘 연구

(5) 문형 연습

(6) 차시 과제에 대한 주석

(7) 평가

 

4) 언어자격 코스의 4급의 말기(3/4기)

 

(1) 학생들에 의한 구두 보고

(2) 클라스에 의한 비평

(3) 본시 읽을거리에 대한 문제와 토론

(4) 어휘 연구

(5) 번역 기술에 대한 토론

(6) 번역 연습(쓰기)

(7) 번역 연습에 대한 토론

 

이상을 보면 수업 과정은

 

(1) 교사의 목표 언어에 의한 구두 도입

(2) 반복 연습

(3) 문답과 토론

(4) 문형 연습

(5) 어휘 연구

(6) 평가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급수가 상승함에 따라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활동을 권장 유도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하리데이(Halliday, M. A. K)등 학자들의 주장

 

영국의 하리데이(Halliday.M.A.K)등 학자들은 The linguistic sciences and language teaching 곧 ≪언어이론과 언어교육≫이라는 저서에서 ?언어학과 교실에서의 교육과의 융합 점 부근에 떼 지어 있는 기술이나 방법을 지칭하는 호칭이 필요하다. 영국에서 사용하게 된 용어는 조직방법(론)(methodics)이다. 조직방법(론)은 실질적인 언어 교육을 위한 조직화의 틀을 말하는 것으로 거기에 교수기술과 언어이론이 서로 이화수정한 것이다.?고 하여 조직방법은 교수기술 + 언어이론의 용어로서 교수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요약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이 표에서 보여주는?제시?가 곧 수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여기에서도 교수모형 정립에 좋은 시사를 얻을 수 있다.

?제시?란 학습자를 교수 항목과 대면시키는 교수 과정의 중핵적 부분을 의미한다. 이는 대개의 경우 관습적인 교실 수업을 말한다.

 

 

<표 1> 언어 학습의 조직 방법론 예시표

 

조직 방법론의 절차

언어레벨과 교육방법론에 있어서의 그 상당물

음운

언어음

문법구조

문법적형

어휘

맥락․장면

한정

ㅇ제한․선택

 

 

 

 

단계

ㅇ시계(時階)

ㅇ순서

 

 

 

 

제시

ㅇ최초의 제시

ㅇ반복제시

본항의 수업에 해당됨

검사

ㅇ정식․비정식

ㅇ객관적․주관 적시험

 

 

 

 

 

 

 

1) 최초의 제시

최초의 제시 곧 학습자에게 어떤 언어 항목이든지 처음으로 대면시킬 때는 학습자에게 이미 축적된 언어 항목에 덧붙여서 모든 기습 항목에 융합되고, 교수 목표가 되는 기능의 행사에 기여하도록 제시되어야 한다.

 

2) 반복 제시

반복 제시는 강화와 보충 교육이라는 두 가지의 주요 목적을 고려하여야 한다. 강화는 최초의 제시 후 될 수 있는 대로 빨리 또는 그 과정을 마친 후 의도적으로 복습하기 위하여 항목을 새로 제시하는 것으로 공백을 메우고, 언어 학습을 위한 나쁜 습관을 없애는 방법이다.

이 제시의 방법론적 과정에서는 교사들에게 제2언어의 기술적(記述的)인 면과 여러 성분이 전체를 구성하여 실제로 그 언어의 작동 방법으로 나타나는 점에 대한 이해와의 두 가지에 대한 시사를 준다. 또 하나는 언어 범주와 대조해 봄으로써 언어 범주에 포함된 모든 면을 수업 계획에서 빠뜨리지 않게 할 수 있다.

 

3. 일본어에서의 방법

 

기무라(木村宗男)는≪일본어 교수법의 제문제≫에서, 일본어를 외국인에게 지도하기 위하여 일본어의 능력을 초급, 중급, 상급으로 나누고, 각 급별로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 초급에서

 

(1) 음성만으로써의 학습

초급에서는 문자를 쓰지 않고 음성만으로 수업을 한다. 그러므로 이 기간에는 교과서를 펴지 않고 학습하는 단원 내용을 음성만으로 학습시키는 것이다.

(2) 교사의 범독

음성만으로 학습한 후 말할 수 있고 내용을 알 수 있을 때 비로소 교과서를 펴고 교사가 범독한다. 교사가 범독하는 동안에 학습자는 교사의 소리를 들으면서 문자를 보도록 하고 몇 번이나 반복하다 보면 학습자들이 따라 읽을 수 있게 된다.

(3) 따라 읽기

학습자가 소리를 내고 따라 읽을 수 있게 되면 따라 읽기에 들어간다.

(4) 한 사람씩 읽기

모두 소리를 내어 읽을 수 있게 되었을 때 개별적으로 지명독을 하게 한다.

(5) 문자를 통한 읽기와 쓰기

개별적으로 문자를 보면서 혼자서 읽을 수 있게 되면 받아쓰기를 곁들인다.

 

2) 중급에서

(1) 예비적 제시

교재 내용을 예습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지식과 관심을 가지게 하고 신출 어휘, 어구, 구문, 관용구 등을 알게 한다.

(2) 예습

예비적 제시에 의하여 이해하고 나서 과제를 주어 예습을 하도록 한다.

(3) 범독

그 시간에 학습할 범위를 잡아서 교사가 먼저 범독을 한다.

(4) 읽기에 대한 질문

교사의 범독이 끝나면 읽기에 대한 질문을 하도록 한다.

(5) 지명독

읽기에 대한 질문이 끝나면 한 사람씩 지명독을 한다.

(6) 내용 해석

학습자와의 대화에 의하여 내용을 해석하고 이해시키는데,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대화는 교사의 질문에 의하여 유도된다.

(7) 연습

단원의 학습을 정리하기 위하여 반복 연습을 한다.

 

3) 상급에서

상급에서는 예습지도, 사전 사용 지도, 어휘 확장 지도, 자주적 학습 지도 등을 행한다.

 

Ⅳ. 수업 지도과정 모형의 정립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지도하기 위한 수업 지도과정 모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된 자료와 현장 지도의 경험과 한국어의 언어 범주 등을 통합시켜 다음과 같은 절차로 모형을 정립한다.

 

1. 수업 지도 과정모형 정립을 위한 시사점의 추출

 

위에서 보아 온 외국어 수업에 대한 제 이론에서 시사점을 추려 보면 수업 지도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과 기술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 예비적 제시가 필요하다.

2) 예습이 필요하다.

3) 교사의 한국어에 의한 구두 도입이 필요하다.

4) 기습 내용에 대한 반복연습이 필요하다.

5) 학습 내용에 대한 문답과 토론이 필요하다.

6) 교과서를 보지 않고 듣는 연습이 필요하다.

7) 교사의 범독이 필요하다.

8) 교사의 범독에 일제히 따라 읽기가 필요하다.

9) 한 사람씩 읽기(개별독)가 필요하다.

10) 문형 연습이 필요하다.

11) 어휘 연구가 필요하다.

12) 내용 해석 및 이해를 위한 문답이 필요하다.

13) 연습 및 형성 평가가 필요하다.

 

2. 수업 지도과정 모형의 정립

 

각 이론이 시사하는 바와 수업 현장 경험의 바탕 위에 수업의 일반적인 모형 등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은 수업 지도과정 모형을 정립하였다.

 

 

1) 교사의 한국어에 의한 구두도입

수업이 시작되면 본시 학습에 들어가기 전에 그 내용과 관련되는 언어 자료에 관해서 목표언어인 한국어로 이야기를 해주는 것이다. 될 수 있는 대로 기습 언어 능력을 참고해서 알아들을 수 있게 말해 주고, 학습자는 들을 수 있는 대로 들어서 모국어의 역할을 약화시켜 한국어의 분위기에 들어가도록 한다.

학습 내용과 관련이 있는 화제면 더욱 좋으나, 한국의 문화 배경과 관련시켜서 화제를 골라도 좋을 것이다.

문화 배경과 관련시켜서 화제를 고를 때에는 다음과 같은 것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며, 여기서 언어적 자료를 추출하여 활용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화제는 다음과 같다.

인사, 말씨, 예절, 경어, 수, 민화, 명절, 국경일, 놀이, 음악, 전화, 친구, 가정, 위생 ,화장, 약국, 약속, 교통, 운동, 책, 신문, 취미, 편지, 식사, 주류, 오락과 시설, 직업, 민속, 민속공예 등을 들 수 있다.

 

 

2) 기습 내용의 반복 연습

기습 내용이 이해 체득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파지와 재생에 숙달되도록 문답, 대화 또는 문형 연습 등의 방법을 써서 반복함으로써 언어행동으로 구사될 수 있게 하며 나아가서 본시 학습으로 유도한다.

 

3) 듣기와 읽기

초급에서는 교사가 음성만으로 학습을 유도하여 반복을 통하여 귀에 익숙하게 하고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한 다음에 책을 펴서 학습하게 한다.

책을 펴고서는 먼저 교사가 범독을 하면서 발음, 억양, 어조, 속도, 쉼 등을 유의하여 확인하게 한 다음에, 일제독이나 지명독으로 읽는 연습을 충분히 시킨다.

 

4) 학습 내용에 대한 문답이나 토론

학습 내용의 이해를 위하여 질문 사항을 준비하고 질문과 응답을 통해서 내용을 이해하도록 한다.

초급의 수준에서는 본문의 내용으로 대답할 수 있도록 질문을 준비하고, 중급 이상에서는 본문 내용에 바탕을 두고 추리와 상상을 통하여 대답하게 하며, 더 상급의 수준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떠나서 기습 능력을 바탕으로 해서 자유로 대답할 수 있도록 한다.

 

5) 어휘 연구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는 단계이다. 어휘의 해석은 한국어로 해야 하며, 먼저 사전적 의미를 알리고, 문맥에서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한다.

대체로 보다 쉬운 말로 정의를 하고 그 정의를 반복 질문함으로써 어휘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어휘는 단어장을 만들도록 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의미를 표현하는 발화로서 익히도록 한다.

 

6) 문형 연습

완전한 발화에는 두 종류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만날 때나 헤어질 때의 인사처럼 그것을 이루고 있는 요소에 변화를 허용할 수 없는 정해진 문구가 있다. 이는 변화를 가하지 않고 암기해서 습득해야 하고, 또 한 가지는 발화의 요소 중에서 특정한 말은 변화하나 그 발화를 구성하고 있는 틀은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틀(구조)의 변하지 않는 틀(구조)속에 들어가는 말을 바꾸어 가면서 연습하는 것이 문형연습이다.

     

<표 2> 한국어 학습지도과정 모형(시안)

 

적용급과 배당시간

단계

지도 기술 및 유의점

중급

초급

3분

3분

1.교사의한국어에 의 한 구두 도입

ㅇ한국어로 짧은 이야기를 들려 준다.

3

10

2.기습내용의반복 연 습

ㅇ시청각자료를 활용한다.

ㅇ문답 대화 문형연습 및 일제 응답을 활용한다.

10

15

3.듣기, 읽기

ㅇ음성만으로의 학습

ㅇ범독

ㅇ개별독

ㅇ듣기, 발음, 억양, 쉼, 속도, 어감

12

 

4.본시 학습내용에 대 한 문답 토론

ㅇ질문, 대화

5

 

5.어휘 연구

ㅇ동의어, 유사어, 반의어, 관련어, 관용구, 파생어, 사전 사용법 등

ㅇ어휘 드릴

6

 

6.문형연습

ㅇ(문형연습항 참조)

4

10

7.종합연습 및 평가

ㅇ종합연습 및 형성평가

3

7

8.예비적 제시와 예습 지도

ㅇ차시학습에 대한 주의

ㅇ예습과제 제시

45

45

                                        ※ 지도 기술은 학습 내용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한다.

                                      시간은 45분 단위 수업 시간에서의 내용을 고려하여 조정한다.

 

 

 

이 문형 연습은 문법적 설명을 줄이고서 문법을 익히는 방법이 되며, 작문에 기여하는 유추의 기능을 조장하는 효과가 있다.

 

이제 문형 연습의 방법을 들어본다.

① 반복

이는 발화를 반복하여 익히는 방법이다.

② 어의 변화

발화 중의 한 마디를 바꿀 때 다른 말을 바꾸어야 하는 연습 방법이다.

……아버지가 옵니다.

……아버지께서 오십니다.

③ 대치

발화 중의 한 마디를 다른 말로 대치하는 방법이다.

……집에 가야 합니다.

……학교에 가야 합니다.

④ 환언

어떤 발화를 바꾸어 말하는 방법이다.

……빨리 가지 않으면 안 된다.

……빨리 가야 한다.

⑤ 완성

빈자리에 알맞은 말을 넣는 방법이다.

……아버지께서 ( ) 오셨습니다.

……아버지께서 벌써 오셨습니다.

⑥ 변환

한 말이 더해짐으로써 말의 어순이나 발화 자체가 바뀌어지는 방법이다.

……나는 꼭 가겠다.

……나는 결코 가지 않으면 안 된다.

⑦ 확대

어떤 말을 덧붙이는 방법이다.

……강물이 흐른다.

……강물이 도도히 흐른다.

⑧ 축약

한 발화를 구나, 절, 단어로 바꾸는 방법이다.

……그는 숨을 거두었다.

……그는 죽었다.

……공부하였습니다.

……공부했습니다.

⑨ 통합

두 개의 발화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방법이다.

……비가 온다. 나는 안 간다.

……비가 와서 나는 안 간다.

⑩ 응답

특정한 발화에 대하여 알맞게 응답하는 방법이다.

……어제 술 마셨나?

……아니오. 안 마셨어요. / 예! 안 마셨어요.

……숙제하고 왔나?

……예, 하고 왔어요.

⑫ 복원

문장에서 일련의 말을 뽑아내어 어순에 맞지 않게 제시된 말을 맞추어 원문을 복원하는 방법이다.

…… 나/ 높다 / 산 / 오르다 /

…… 나는 높은 산에 올랐다.

이상의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형 연습을 충분히 한다.

 

7) 종합 연습 및 평가

본시 학습 과정에서 적용되었던 기술을 사용하여 학습의 주안점의 달성 여부를 연습을 통하여 강화시킨다. 평가는 목표 도달도를 평가하는 형성 평가로서 본시에 도달해야 될 목표를 측정 평가한다.

8) 예비적 제시와 예습 지도

지금까지의 모든 과정은 오직 한국어로 실시되어야 하며,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으로 모국어를 사용한다. 그런데 예비적 제시나 예습 지도는 수업의 한 과정이 끝나서, 학습자 혼자서 자습해야 하는 과제의 해결이 주안이 되므로, 모국어로 충분히 이해되도록 차시 학습의 내용과 그 예습 과제와 방법을 설명한다.

 

 

Ⅴ. 요약 및 과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육 목표를 그릇되게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어휘의 양이 많아지도록 한다든지, 소정의 학습량(교과서나 시간의 양)을 마친다든지, 표준검사에 고득점을 한다든지, 번역할 수 있다든지 하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한국어의 어학 지식을 쌓는 목표가 되어서, 한국어와 학습자의 모국어를 대등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이중언어 사용자 양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 되지 못한다.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서는 외국어 습득에 필요한 제 기술과 방법에 의한 체험적 훈련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따라서 수업에 있어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탤런트로서의 지식의 전달이나, 언어 구사의 연시에 그치지 말고 학습자가 활동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업 지도 과정 모형을 구안하기 위한 하나의 시안일 뿐이므로 수업 사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도기술 곧 반복 연습 방법, 어휘 연구 방법, 문형 연습 방법, 대화와 응답지도 방법 등의 연구를 계속하여야 하며 실험적 연구를 통한 검증도 하여야 하겠다. *

 

※ 참고문헌

Nelson Brooks, 納谷友一․ 靑木昭六 역, ≪언어와 언어이론≫, 大修館.東京, 1972.

M.A.K.Halliday 공저, 增山節夫 역, ≪언어이론과 언어교육≫, 大修館, 東京, 1977.

F.L.Billos, 納谷友一 역, ≪외국어교육의 지도기술≫, 大修館, 東京, 1972.

Albert Valdman, 鳥居次好 역, ≪언어교육의 기본문제≫, 大修館, 東京, 1974.

문화청, ≪일본어 교수법의 제문제≫, 1972.

문화청, ≪일본어와 일본어 교육≫,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