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노아의 대홍수와 지구환경 이야기 16

6, 대홍수 이전에는 샘이 풍부했다.

6, 대홍수 이전에는 샘이 풍부했다. 노아의 대홍수 이전의 지구에는 지하수가 많고 샘이 많았다. 에덴 공원에 대하여 적은 창세기 2장 6절은 직역하면 <땅에서 지하수가 솟아 올라와서 땅의 전면을 적셨다.> 당시 지하에는 대량의 지하수가 존재했었다. 그것은 에덴공원 일부에서의 거..

5, 수증기층의 온실효과로 지구는 따뜻했다

5, 수증기층의 온실효과로 지구는 따뜻했다 독자는 최근 <탄산가스에 의한 온실효과>라는 말을 들은 일이 있을 것이다. 현재의 세계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배출 가스 등에 의하여 대기 중에 탄산가스(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그에 수반하여 전 세..

4, 과거의 지구는 따뜻했다는 사실도 수증기층을 나타낸다.

4, 과거의 지구는 따뜻했다는 사실도 수증기층을 나타낸다. 또 과거의 지구는 위도의 고저에 무관하게 따뜻했다고 한다는 사실도 상공의 수증기층의 존재를 나타낸다. 지금은 얼음으로 닫혀있는 남극대륙에도 <연연히 이어지는 석탄층>이 발견되고 있다. 북극권에도 석탄층이 발견..

3, 프테라노돈(익룡의 일종)은 수증기층의 존재를 나타낸다

3, 프테라노돈(익룡의 일종)은 수증기층의 존재를 나타낸다. 노아의 대홍수 이전의 지구 상공에는 수증기층이 존재했다고 한다. 그 과학적인 증거는 있는가. 그 좋은 예는 하늘을 나는 파충류 프테라노돈(Pteranodon)의 화석이 있다. 프테라노돈의 화석에는 날개를 펴면 그 폭이 6미터, 큰 것..

1, 대홍수 이전에는 상공에 수증기층이 있었다

노아의 대홍수와 지구환경 대홍수 이전의 지구환경은 현재와는 크게 달랐다. 1, 대홍수 이전에는 상공에 수증기층이 있었다. 원시 지구는 방대한 양의 <수증기대기>로 덮여있었던 것을 본다. 이 <수증기대기>는 현재의 대기의 성분인 질소나 아르곤 등을 함유하지만 그 대부분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