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2025/04 66

돌봄의 시대 20 짐 보따리 할머니의 옷장

요양원의 침대 옆에는 각자에게 주어진 작은 수납장이 있다. 흔히 "상두대"라 불리는 이 나무 수납장은 높이 약 1미터, 폭 40센티미터, 깊이 45센티미터 남짓. 작은 공간이지만, 이곳에 할머니들의 모든 것이 담긴다. 서랍에는 팬티, 양말, 손수건 같은 소품이, 아래 칸에는 계절마다 바뀌는 옷들이 가지런히 정리된다.  가을과 겨울에는 두꺼운 외투 두 벌과 기모 바지 몇 개, 봄과 여름에는 얇은 상의와 시원한 바지가 그 자리를 채운다. 옷의 숫자는 항상 한정적이다. 가족들이 면회 올 때마다 새로운 옷을 가져오고, 낡아진 옷은 처분되지만, 모든 것은 상두대 하나에 다 들어간다.  요양원의 할머니들에게 옷은 필요 이상으로 많지 않다. 기저귀를 자주 갈아야 하니 바지가 조금 더 많을 뿐, 소유는 최소한으로 제한..

돌봄의 시대 2025.04.13

돌봄의 시대 19 쑥빼씨 쑥빼씨 수다쟁이 쑥빼씨

요양원에서 가장 유쾌한 에너지를 뿜어내는 사람을 꼽으라면 단연코 쑥빼씨다. 그녀는 항상 웃는다. 환하게, 귀엽게, 또 힘차게. 치매가 그녀를 사로잡았지만, 그 안에 갇힌 것은 절대 아니다. 그녀는 치매를 무기로 삼아 요양원의 분위기를 바꾼다.  “하하하하! 어머나, 어쩜 이렇게 좋아? 그럼 어떡해?” 혼잣말이 끊임없다. 말끝마다 논리적인 단어들이 이어진다. “그래서”와 “그럼 안돼” 같은 말이 그녀의 대화를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문제는 그 대화가 누구에게나, 무엇에게나 향한다는 점이다. 요양보호사에게도, 지나가는 그림자에게도, 심지어 식탁 위에 놓인 숟가락에게도.  쑥빼씨의 독특한 매력은 단지 그녀의 말뿐만이 아니다. 그녀의 손은 마치 마귀할멈의 손 같다. 길고 마디가 굵어진 손가락은 힘이 세 보이면서..

돌봄의 시대 2025.04.12

수면과학 17, 수면은 "뇌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2)

수면과학 17,수면은 "뇌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2)==생물은 왜 잠을 자는가? 의외로 알지 못한 이유== 수면을 정의하는 지표는 무엇인가? 수면은 뇌파의 변화를 동반한다고 언급했지만, 수면은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더 쉽고 일반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가역적 행동 정체", "반응성 감소", "항상성"으로 대표되는 수면의 행동 지표이다. "가역적 행동 고요함"은 잠들어 있을 때는 움직임을 멈추지만 자극을 받으면 깨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마취 상태에서는 수술 등의 강한 자극을 받아도 깨어나지 않기 때문에 마취는 수면이 아니다. "반응성 감소"는 약한 자극으로 쉽게 깨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창가의 의자에 앉아 느긋하게 쉬고 있을 때, 깨어 있고 의식이 있다면, 커튼..

과학/수면과학 2025.04.12

유머--늦잠과 마누라.

유머--늦잠과 마누라.   처칠이 처음 하원의원 후보로 출마했을 때 처칠의 상대후보는 인신공격도 마다하지 않았다. “처칠은 늦잠꾸러기라고 합니다. 저렇게 게으른 사람을 의회에 보내서야 되겠습니까?" 처칠은 아무렇지 않게 응수했다. “여러분도 나처럼 예쁜 마누라를 데리고 산다면 아침에 결코 일찍 일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연설장에는 폭소가 터졌다. 위 유머는 총리가 되고도 한 번 더 쓰였는데, 국회에 늦은 처칠은 같은 유머를 써서 변명했다. 단, 이번에는 좀 더 발전시켜 이렇게 추가했다. “그래서 앞으로는 회의가 있는 전날에는 각 방을 쓸 생각입니다.”

수면과학 17, 수면은 "뇌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1)

수면과학 17,수면은 "뇌의 탄생"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1)==생물은 왜 잠을 자는가? 의외로 알지 못한 이유==  우리는 왜 잠을 자는가? 수면이란 무엇인가? 밤이 깊어지면 졸려서 매일 밤 잠자리에 든다. 잠을 자는 동안 꿈을 꿀 수 있다. 인간의 세 가지 주요 욕구는 식욕, 성적 욕구, 수면에 대한 욕구이다. 식욕은 몸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데 사용되고, 성적 욕망은 자손을 낳는 데 사용되는데, 잠에 대한 욕구의 목적은 무엇일까? 인간은 이틀 이상 잠을 자지 않으면 정신병에 걸리고, 쥐를 2주 동안 깨어 있게 하면 죽는다. 수면은 분명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우리는 수면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해 왔는가? 고대 유럽에서는 잠을 자는 것이 죽음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졌다. 잠자는..

과학/수면과학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