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싱귤라리티란?(1/7)
2045년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초월한다?
싱귤라리티란 2045년에 인공지능이 로봇을 초월한다?
SF영화 <터미네이터>는 컴퓨터(AI)의 지성이 인간의 지성을 초월한 후의 세계를 그린 예이다.
본 기사에는 그런 영화의 세계관에도 등장하는 “인공지능의 성능이 전 인류의 지성의 총화를 초월하는 시점”인 <싱귤라리티>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다.
싱귤라리티란 <인간의 두뇌로는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시작>이고, 그 도래는 2045년이라고 예측되고 있는 데서 <2045년 문제>라고도 한다. AI에 관하여 초심자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고 있으니 꼭 최후까지 읽어서 싱귤라리티의 개념을 잡아주기 바란다.
1, 싱귤라리티란 어떤 의미인가.
2, 싱귤라리티는 가까워 졌다?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3, 2045년 문제란? 싱귤라리티가 인류에 주는 영향
1) 싱귤라리티란 어떤 의미?
싱귤라리티란 <특이점>을 의미한다. 이제부터 해설하는 싱귤라리티는 정확하게는 기술적특이점(Technological Singularity)을 말한다.
싱규랄리티는 19세기경부터 존재하고 있던 생각이다. 그런데 2005년에 발명가이며 미래학자인 레이 카츠와일(Ray Kurzweil)의 1948년 저서 <싱귤라리티는 가깝다.>에서 말한 미래 예측이 최근의 디프러닝의 눈부신 발전을 받아서 현실미를 띠고 전 세계에서 대단한 주목을 집중하게 되었다.
싱귤라리티란 미래학자 레이 카츠와일 씨가 제창한 것으로 <인공지능(AI)의 지성이(성능) 지구상의 전 인류의 지성을 초월하는 시점>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시점을 초월하면 AI는 AI 스스로 보다 현명한 AI를 만들어 간다고 한다. 이 단계의 AI는 인간과 지성에 있어서 구별할 수 없을 수준까지 발달한 AI이다.
도구로서만 쓰였던 종래의 <약한 AI>에 대하여 <강한 AI>라고 한다.
카츠와일 씨는 이 <강한 AI>의 등장을 새로운 생물의 출현에 필적할 만큼 중요하다고 한다.
'AI(인공지능)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싱귤라리티란?(3/7) (0) | 2023.03.27 |
---|---|
9, 싱귤라리티란?(2/7) (0) | 2023.03.24 |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2/2) (1) | 2023.03.21 |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1/2) (0) | 2023.03.20 |
AI시대에서 변하는 직업(3/3)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