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1/2)
테크놀로지계에 있어서의 싱귤라리티란 사람보다도 인공지능 쪽이 현명해지는 분기점을 말한다. 혹은 인공지능 자체로 자기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고 자기개선을 반복하여 인간의 지능을 훨씬 초월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지는 때를 싱귤라리티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이 말은 1950년대에 처음으로 테크노로지에 쓰여 2005년에 출판된 <싱귤라리티는 가까워졌다(레이 카츠와일)>로 주목하게 되었다. 본서 안에서 싱귤라리티의 원칙은 39항목에 걸쳐 설명되고 있는데 강연(2017년 2월 7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2029년경에 언어이해분야에서 사람과 같은 수준이 되고, 2030년대에는 뇌와 크라우드가 통신하게 되고, 2045년까지에 우리들은 지금보다 10억 배 많은 지식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것이 싱귤라리티이다.(by Ray Kurzweil)
*인용/미국/포모나칼레지(Pomona College)에서
*크라우드=크라우드컴퓨팅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1) 2045년의 문제란?
2045년의 문제, 이 말의 명확한 정의는 없고, 일반적으로 카츠와일 씨가 예측하는 싱귤라리티에 의한 영향을 걱정하여 불안 재료를 가리킨다. 현 단계에서의 주된 문제점은 이하와 같다.(개인적 견해를 포함함)
* 인공지능이 자기 스스로를 프로그래밍하여 점점 성능을 향상시켜간다. 그래서 사람 이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을 초월하여 제어불능이 되는 것이 아닌가?
* 인공지능이 우리의 일을 빼앗을 것은 아닌가?
* 터미네이터처럼 불안정한 세계가 오는 것이 아닌가?
* 사람이 죽지 않은 것이 아닌가? 혹은 되살릴 수가 있는 것이 아닌가?
* 고도의 VR(아바타, 혹은 안드로이드)로 성적요구, 정신적 요구가 만족되어 아기를 낳지 않게 될 것이 아닌가?
* 뇌가 크라우드와 통신하게 되는 경우 프라이버시나 비밀은 괜찮을 것인가?
등 가장 불안한 것은 인간이 인공지능을 제어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DeepMind Team(Google)에 의하여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참고--챗봇이 말하는 싱귤라리티
싱귤러리티(Singularity)란, 인공지능, 로봇공학, 생명과학 등의 기술 발전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인간의 인지 능력과 기술 발전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하게 되는 미래 사회를 말합니다.
이 개념은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 컴퓨터 과학자 버너즈 리가 제시한 것으로, 기술 발전이 지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사람과 기계 사이의 경계가 사라지고, 인간의 뇌와 기계가 하나로 연결될 수 있는 상황을 말합니다.
싱귤러리티는 과학기술 발전이 더 이상 인간의 인지 능력을 따라잡지 못하고, 인간의 인식 수준이 발전된 기술을 이해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진전하게 되는 상황을 예고하는 개념으로, 언론이나 과학계에서 논쟁이 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AI(인공지능)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싱귤라리티란?(1/7) (0) | 2023.03.23 |
---|---|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2/2) (1) | 2023.03.21 |
AI시대에서 변하는 직업(3/3) (0) | 2023.03.17 |
AI시대에서 변하는 직업(1/3) (0) | 2023.03.15 |
ChatGPT에 대한 해설(4/4) (0) | 202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