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백신의 ABC
지금까지의 백신과 어떻게 다른가
백신은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한 유효한 방법이다. 그 제조법으로서는 병원체를 약하게 해서 접종하는 생백신이나, 병원체를 죽여서 접종하는 불활화 백신이 대표적인 것이었다. 전자에는 마진 백신이나 풍진 백신이 후자에는 인플루엔자 백신이 있다.
이러한 백신의 제조법은 오래부터 사용되어 왔는데 새로운 병원체의 백신을 종래의 제조법으로 개발하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이것은 병원체를 배양하여 증식시키거나 병원체를 불활화하거나 하는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유행에 당하여 조급히 백신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에 mRNA 백신이나 벡터(vector) 백신이라는 새로운 제조법이 도입되고 있다.
* 벡터(vector) 백신은 병원성이 없는 바이러스에 항원이 되는 단백질 유전자를 조합하여 사람에게 감염시켜 면역유도를 이끌어내는 백신이다.==
이번 일본에서 접종이 개시된 화이자 제제는 mRNA 백신으로 실은 이 제조법의 백신이 실용화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람의 몸에 항원을 만든다.
사람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체내에서 배제시키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이라 불리는 돌기가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다. 사람의 면역이 이 돌기를 <항원>으로서 인식하여 항체나 림프구가 바이러스를 배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단백과 같은 것을 사람의 체내에 만들어 그것을 사람의 면역에 기억시켜두면 다음에 바이러스가 감염할 경우 신속하게 배제된다.
이 스파이크 단백을 체내에 만들기 위한 유전자가 mRNA이다. 이 유전자를 사람에 주입하면 주입한 장소에 세포(팔 근육의 세포 등)가 스파이크 단백을 생산하는 것이다. 주입한 mRNA나 생산된 단백은 면역을 인식한 후 곧 배설되므로 체내에 남을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이처럼 mRNA 백신은 사람의 체내에서 스파이크 단백이라는 항원을 만드는 획기적인 방법이다.
유효성은 매우 높다.
화이자의 백신에 대해서는 해외에서 치료 경험으로 유효성이 약 95%라는 매우 높은 결과가 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백신의 경우는 약 60%이니까 그것에 비하면 높은 효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이 효과는 약 2개월의 치료 경험으로 얻은 데이터에 의한 것이라서 그 후 얼마나 효과가 지속될는지는 현시점에서는 모른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자의 데이터 해석에 따르면 면역이 감염 후 반년 이상 지속된다는 보고가 많이 보여 백신에 대해서도 같은 기간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면 현재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변이종에 대한 유효성은 어떠한가. 변이종에는 영국형, 남아프리카형, 블라질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일본에서도 국내 감염이 보이는 영국형에 대해서는 화이자 백신은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 밖의 변이종에 대해서는 금후 조사가 필요하다. 아직 여기서 유효성이라고 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발증 예방효과에서 입원이나 사망이 감소되는 중증화 예방효과는 아직 증명되어 있지 않다. 또 바이러스 감염 그 자체를 예방하는 효과도 현 시점에서는 분명하지 않다. 그런 때문에 백신 접종을 받았다고 해서 <자신은 감염하지 않는다.> <남에게도 감염시키지 않는다.> 라고는 생각하지 말기 바란다. 백신 접종 후도 계속하여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
중한 부작용은 적다
화이자 백신의 중한 부작용에 아나피락시(anaphylaxis/전신적 알레르기 반응)가 있다. 이것은 백신의 성분으로 일어나는 중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그 빈도는 100만 회 접종에서 5회라고 한다. 이것은 인플루엔자 등 다른 백신에서도 거의 같은 빈도이다.
단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기 쉬운 성분이 종래의 백신과는 다르다. mRNA는 인체에 주입하면 곧 파괴되므로 지방의 막(膜)에 싸인 상태로 가공된다. 이 막에 사용되고 있는 것이 폴리에칠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등 화학물질로 지금까지의 백신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런 성분은 일부의 하제(下劑)나 화장품 등에서 알레르기가 일어났던 사람은 접종 전 문진 시에 신고해야 한다.
아나피락시(anaphylaxis)의 대다수가 접종 후 30분 이내에 일어난다. 이런 때문에 접종 후 15-30 분간은 접종한 장소에 머물러서 경과관찰을 받아야 한다. 증상이 나타나서 신속히 처리하면 중태에 빠지는 일은 없다.
가벼운 부작용은 많다.
화이자 백신의 치료 경험으로는 가벼운 부작용이 고빈도로 보인다. 이것은 접종한 부위( 팔 등)의 통증이나 부종, 권태감, 두통, 발열 등이다. mRNA라는 성분 그 자체가 염증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이러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 같지만 어떻든 가볍게 2-3일로 개선된다. 또 증상이 강한 경우에는 진통제를 복용해도 좋다. 진통제의 종류로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이 권장된다.
이런 가벼운 부작용은 잚은 사람이나 고령자라도 건강한 사람이라면 문제가 없지만 고령인데 지병이 있는 사람 특히 누어있기만 하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발열이 생기면 전신 상태가 나빠져서 지병에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고령으로 지병이 있는 사람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중증화 할 빈도가 높기 때문에 즉시 의사의 상담을 받아서 백신 접종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집단 면역에 의한 유행 종식
일본에서는 현시점에서 화이자의 백신만 승인되고 있어서 금후에는 아스트라제세네카(벡터백신)이나 모더나(mRNA백신)의 제제가 더해질 예정이다.
신종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으면 받은 사람은 증산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메리트는 있다. 다시 국민의 6할 이상이 접종을 받으면 집단면역이 성립되어 신종 코로나의 유행을 종식시킬 수가 있을 것이다.
단 집단면역으로 유행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백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만이 아니라 감염예방효과가 있어야 할 필요도 있다. 현 시점에서 감염예장효과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으나 그것이 있다는 것을 믿고 많은 사람이 백신을 접종할 것을 기대한다.*
해설자=도쿄의과대학병원 도항자의료센터부장, 하마다 아쓰로(濱田篤郎)
일본어원문=新型コロナワクチンのABC(메디칼 노트 NEWS & JOURNAL에서)
출처=https://news.yahoo.co.jp/articles/700d069136372117a060b..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신 부작용, 고령일수록 빈도가 낮은 경향. (0) | 2021.04.12 |
---|---|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 감염자가 적은 이유 (0) | 2021.03.22 |
인구의 ⅓을 사망하게 한 <흑사병>은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0) | 2021.01.26 |
<정상색각>이 참으로 유리한가 (0) | 2021.01.18 |
사람과 같은 색각다형을 야생 원숭이에서 발견 (0) | 2021.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