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상식

연령의 별칭

간천(澗泉) naganchun 2018. 7. 16. 06:18




                                                       연령의 별칭

 


 

세는 나이

부르기

읽 기

의 미

출 전

23

孩提

해제

아기의 웃음을 ()」、안긴 것을 제()라 함안겨서 웃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서 유아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孩提之童文選

78

三尺童子

삼척동자

삼척이라고도 한다. 삼척이란 작다는 뜻으로 7-8세 아이를 가리킨다.(1척은 2세반) 이 무렵의 아이의 신장이 삼척이라는 설도 있다. 무지한 사람이라는 뜻으로도 쓴다.

-

10

고대중국의 연령 구분. 유학(幼學)이라는 설도 있다.

人生十年曰幼學

(禮記

1415

六尺

육척

신장이 육척인 아이라는 의미.

-

15

志學

지학

공자(孔子)가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연령에서 유래한다.

吾十有五而志學論語爲政第二

15

20

笄年

계년

여성의 1520세라는 설도 있음.

처음으로 비녀()를 꼽는 나이로서 성인을 뜻한다.

 

16

破瓜

파과

오이(/)를 둘로 나누면 팔()이 된다. 두 문자가 나타난다고 해서 여성의 16(8+8)를 나타낸다.

남성은 64(8×8).

 

 

20

弱冠

약관

()은 중국 주나라 때는 20세를 의미했다.

남성 20세에 관()을 써서 성인이 된다는 데서 유래한다. 나이가 젊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二十曰弱冠禮記

20

丁年

정년

강장(強壮)한 나이에 해당한다는 뜻으로 남성이 한 사람으로서 인정을 받는 만 20세를 가리킨다.

禮記曲禮上

30

而立

이립

공자(孔子)가 학문에 설 수 있었다는 나이.

三十而立論語爲政第二

3040

인생에서 가장 혈기 왕성한 때를 말함. 중국에서는 귀족 남자가 아내를 얻을 수 있는 나이를 말함. 30대에서 50대반을 가리킨다. 주로 40-50대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三十曰壯有室禮記

40

強仕

강사

()은 기력이 강하고 분별이 있음을 말한다. ()는 벼슬한다는 뜻이다.

四十曰強而仕禮記曲禮上

40

不惑

불혹

공자가 마음에 흔들림이 없었다는 나이 40세를 말함.

四十而不惑論語爲政第二

48

桑年

상년

(=뽕나무)이라고도 쓴다. 4개하고 로 분해할 수 있다는 데에서 48세를 말한다.

 

50

艾年

애년

(=)에서 볼 수 있는 가느다란 털 같은 머리카락이 하얗게 되는 나이라는 뜻으로 50세를 말한다.

五十曰艾禮記曲禮上

50

知命

지명

공자(孔子)가 천명을 자각했다는 나이 50세를 말한다.

五十而知天命論語爲政第二

60

-

六十曰耆禮記

60

耳順

이순

공자(孔子)가 들어서 귀에 거리낌이 없었다는 60세를 말한다.

六十而耳順論語爲政第二

60

丁年

정년

()은 율령제에서 21-60세까지의 남성을 말한다. ()이 끝나는 나이라는 뜻이다.

-

60

(80

下壽

하수

장수를 셋으로 나누어서 60세를 하수(下壽), 80세를 중수(中壽), 백세를 상수(上壽)라 생각했다.

상수(上壽)120, 중수(中壽)100세라 하는 경우도 있다.

下壽六十壯子

61

華甲

화갑

()란 글자는6개하고 1이 하나로 분해된다. ()은 갑자(甲子)60간지의 시작을 말한다.

-

61

還曆

환력

태어난 해의 간지가 된다는 뜻에서 달력이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뜻(還曆). 화갑(華甲)이라고도 한다.

-

61

本卦

본괘

태어난 간지가 된다는 뜻으로 61세를 말한다.

-

64

破瓜

파과

여성은 16세를 파과(破瓜)라 한다 . 남성은 64세를 파과라한다.

-

70

古稀

고희

人生七十古來稀라는 두보의 시에서 유래한다. 70세를 고희라 한다.

人生七十古來稀曲江詩

70

從心

종심

공자(孔子)가 생각하는 대로 행해도 예에 어긋남이 없었다는 나이 70세를 말한다.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論語爲政第二

70

致事

치사

중국에서 귀족이나 고급관리가 은퇴하는 나이 70세를 말한다.

大夫七十而致事禮記

70

-

七十曰老禮記

70

8090)

늙었다는 뜻으로 70, 80, 90세를 말한다.

-

77

喜壽

희수

()자의 초서체가 <七十七>로 보이는 데에서 유래한다.

-

80

傘壽

산수

(=우산) 의 글자가 <八十>으로 보이는 데에서 유래한다. 80세를 산수라고 한다.

-

80

100

中壽

중수

장수를 셋으로 나누어서 60세를 하수(下壽), 80세를 중수(中壽), 백세를 상수(上壽)라 생각했다.

상수(上壽)120, 중수(中壽)100세라 하는 경우도 있다.

中壽八十壯子

81

半壽

반수

()자를 <八十一>로 분해할 수 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81

盤壽

반수

장기판의 줄이(升目)<9×9=81>이라는 데에서 유래한다.

-

88

米壽

미수

()자가 <八十八>로 분해할 수 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90

卒壽

졸수

()자의 약자 <><九十>으로 읽을 수 있다는 데에서 90세를 말한다.

-

99

白壽

백수

()<>에서 <>을 뺀 문자임에 유래한다. 99세를 말한다.

-

100

-

百年日期禮記

100

120

上壽

상수

장수를 셋으로 나누어서 60세를 하수(下壽), 80세를 중수(中壽), 백세를 상수(上壽)라 생각했다.

상수(上壽)120, 중수(中壽)100세라 하는 경우도 있다.

上壽百歳壯子

108

茶壽

차수

() 글자를 분해하면 <+>+<八十八>=108이 된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108세를 말한다.

-

111

皇壽

황수

()자는 백()+()=자가 된다. ()은 백()에서 일()을 뺴어서 99가 되고, ()<+> 12가 된다. <99><12>를 더하면 111이 된다는 데에서 111세를 황수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