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대홍수 이전의 지표의 기복은 완만했다.
(2)의 <대홍수는 어떻게 해서 당시 세계의 모든 높은 산을 뒤덮을 수가 있었을까>를 보기로 하자.
현재 세계에서의 가장 높은 산은 히말라야의 에베레스트산은 표고 8000미터 이상이나 된다. 그러나 대홍수 이전의 지표에는 이런 높은 산은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의 높은 산은 실은 대홍수 직후 대홍수에 이어지는 지각변동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대홍수 이전 지표는 비교적 완만하였다. 지표의 기복은 완만했다. <사이언티픽 만스리(Scientific Monthly)>지는 과거의 지구에는 <기후나 자연조건 면에서 장벽이 되는 고산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고 말하고 있다. 성서에 따르면 대홍수 이전의 대륙은 하나로 대륙의 표면이나 모양도 현재와는 크게 달랐다.(창세 1장 9~10절) 대홍수 이전의 대륙은 표면에 고산이 없고 비교적 완만했다.
'환경. 우주 > 노아의 대홍수와 지구환경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산은 오르고 골짜기는 가라앉았다. (0) | 2017.07.24 |
---|---|
15, 해저산맥의 형성이 홍수를 대규모화 했다. (0) | 2017.07.23 |
13, 국지적 홍수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대홍수 (0) | 2017.07.21 |
12, 수증기층은 왜 대우가 되었는가 (0) | 2017.07.20 |
11, 장수의 예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