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중앙해령 4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5)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5) --인도양은 어떻게 해서 생겼는가?-- 인도양의 탄생 중생대도 쥬라기에서 백아기에로 시대가 내려감에 따라 육지의 형상은 현재의 모양에 가까워진다. 그 과정에서 어떻든 눈을 뺏기는 것이 인도대륙(인도아대륙이라 부르기도 한다)의 움직임이다. 판게아의 일부였던 무렵의 인도대륙은 현재의 남극대륙. 아프리카대륙. 호주대륙과 인접하여 현재의 위치와는 떨어진 남반구에 있었다. 그것이 판게아의 분열과 함께 차차 북상하기 시작하였다. 동시에 남극대륙. 아프리카대륙. 호주대륙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떨어져 나갔다. 인도양 탄생의 때가 왔다. 실은 이라는 호칭이 어느 시대부터 지도상에 기재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는 않은 것 같으나 여기서는 이들 4개의 대륙(인도대륙, 남극대륙, 아프리..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4)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4) --인도양은 어떻게 해서 생겼는가?-- 인도양 탄생전야 인도양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지구상에 일찍이 존재했던 거대한 대륙이 분열하여 현재에 이르는 일부 시종이 보이기 시작한다. 역동적으로 지구가 연출해온 실로 흥미 깊은 드라마이다. ====*플래트텍토닉스(plate tectonics/판구조론)= 고체지구의 표면이 수십 개의 굳은 판(플래트)에 의하여 틈새 없이 덮여있어서 그들 판끼리 상대운동에 기초하여 판과 판 사이 경계에 따라 여러 가지 지학형상이 일어난다고 하는 생각.== 전편에서 중앙해령이라는 해저의 균열이 만들어낸 새로운 해저(플래트)가 확대축의 양측에 퍼진다는 *플래트테크토닉스(plate tectonics/판구조론)의 기본개념을 말하였다. 대륙이 몇 개의 육지..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인도양 해저를 만드는 3개의 플래트(plate) 인도양의 심해저는 3대의 중앙해령을 경계로 해서 주된 3장의 플래트로 구분된다. 그 3개란 아프리카플래트, 남극플래트, 호주플래트이다. 인도반도 일대는 인도 플래트라 불린다. 일찍이 인도플래트와 호주플래트는 따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런데 현재에는 이들 2개의 플래트는 거의 일체가 되어서 움직인다. 그래서 양자를 합쳐서 라 불리기도 한다. 인도양 주변에는 기타 아라비아반도를 내포하는 플래트가 있어서 다시 북방에는 거대한 유라시아 플래트가 펼쳐져있다. 이상 6장의 플래트가 인도양에서 확대했다가 부닥쳤다가 한 결과 대륙의 배치가 조금씩 변하여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인도양의 중앙이나 동쪽에 이라는 불가사의한 이름이..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2)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2) 중에서의 인도양 삼대양의 면적이나 체적을 정리한 것이다. 면적. 체적등도 태평양이 압도적으로 크고 인도양은 대서양의 다음으로 3번째이다. 한편 평균 심도로는 인도양은 태평양에 다음 가는 2번이다. 꽤 깊은 바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인도양의 심해저의 지형은 매우 복잡하고 재미있어서 다음에 자세히 보기로 한다. 3대양 비교 구 분 면 적 (10⁶㎢) 체 적 (10⁶㎦) 평 균 심 도 (m) 최 대 심 도 (m) 인도양 74.118 284.608 3,840 7,192 태평양 181.344 714.410 3,940 10,920 대서양 94.314 337.210 3,575 8,376 전해양 362.033 1,349.929 3729 10,920 주= 3대양의 기초데이터 에 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