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자로 7

5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5)

5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5)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사납다. 苛政猛於虎也. (禮記, 檀弓) 가정맹어호야. (예기, 단궁) 천부의 인권을 보장 받지 못하고 과중한 세금을 물리며 노역에 무리하게 동원하는 등 백성을 착취하고 억압하는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무섭다는 말이다. 어느 날 공자가 여행 중에 무덤가에서 슬피 우는 부인을 만났다. 제자인 자로(子路)를 시켜 알아보니 시아버지가 호랑이에 물려서 죽었고 남편도 그리고 아들마저 호랑이에 물려서 죽어서 여기에 묻혀있다고 했다. 그러면 이렇게 무서운 호랑이가 있는 곳을 떠나지 않은가 하고 물으니 대답이 하고 대답했다. 이를 보고 공자가 말하기를 라 했다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aZS2S_l00To

오늘의 명언 2022.05.15

4월 26, 오늘 명심할 명언 (116)

4월 26, 오늘 명심할 명언 (116) 군자는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뇌동하기는 하여도 협력하지는 아니한다.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論語, 子路)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논어, 자로) 자신의 식견이나 판단을 가지고 남과 화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군자는 사람들과 화합하기는 하지마는 뇌동하지는 않는다. 자신의 식견이나 판단을 버리고 비리에 쫓아서 부화뇌동하는 것은 군자의 도리가 아니다. 소인은 주체성이 없어 부화뇌동은 하지만 주견을 가지고 협력하여 조화를 이루려고 하지 아니한다. 일정한 식견이 없이 남의 말에 따라 행동한다는 뜻의 부화뇌동(附和雷同)이라는 말을 생각해 볼만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oSQCiX3a0

오늘의 명언 2022.04.26

5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5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사납다. 苛政猛於虎也. (禮記, 檀弓) 가정맹어호야. (예기, 단궁) 천부의 인권을 보장 받지 못하고 과중한 세금을 물리며 노역에 무리하게 동원하는 등 백성을 착취하고 억압하는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무섭다는 말이다. 어느 날 공자가 여행 중에 무덤가에서 슬피 우는 부인을 만났다. 제자인 자로(子路)를 시켜 알아보니 시아버지가 호랑이에 물려서 죽었고 남편도 그리고 아들마저 호랑이에 물려서 죽어서 여기에 묻혀있다고 했다. 그러면 이렇게 무서운 호랑이가 있는 곳을 떠나지 않은가 하고 물으니 대답이 하고 대답했다. 이를 보고 공자가 말하기를 라 했다고 한다.

오늘의 명언 2021.05.15

5월 5일, 오늘 명심할 명언

5월 5일, 오늘 명심할 명언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으려 하고 걸어서 강을 건너려고 하다가 죽어도 후회하지 않는 그런 사람과는 함께 하지 않겠다. 暴虎馮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論語, 述而) 포호빙하, 사이무회자, 오불여야. (논어, 술이) 호랑이에게 맨손으로 덤비고 강을 걸어서 건너겠다는 짓으로 끝내는 목숨을 버리고도 태연히 있을 수 있는 무모한 인간과는 함께하기 않는다함이다. 기개나 용기만을 믿고 사려 깊지 않은 자에게는 큰일을 맡길 수 없다는 말이다. 혈기 왕성한 제자 자로(子路)가 공자님에게 하는 물음에 대하여 공자가 한 말이다.

오늘의 명언 2021.05.05

4월 26, 오늘 명심할 명언

4월 26, 오늘 명심할 명언 군자는 화합하되 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뇌동하기는 하여도 협력하지는 아니한다.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論語, 子路)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논어, 자로) 자신의 식견이나 판단을 가지고 남과 화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군자는 사람들과 화합하기는 하지마는 뇌동하지는 않는다. 자신의 식견이나 판단을 버리고 비리에 쫓아서 부화뇌동하는 것은 군자의 도리가 아니다.(공자의 말이다.) 소인은 주체성이 없어 부화뇌동은 하지만 주견을 가지고 협력하여 조화를 이루려고 하지 아니한다. 일정한 식견이 없이 남의 말에 따라 행동한다는 뜻의 부화뇌동(附和雷同)이라는 말을 생각해 볼만하다.(공자의 말이다.)

오늘의 명언 2021.04.26

3월 14일, 오늘 명심할 명언

3월 14일, 오늘 명심할 명언 작은 이익을 보면 대사를 이루지 못한다. 見小利則大事不成. (論語, 子路) 견소리즉대사부성. (논어, 자로) 공자가 제자인 자하(子夏)가 정치에 당하는 자세에 대하여 질문하자 답한 말이다. 곧 빨리 이루기를 바라지 마라. 작은 이익을 바라지 마라. 빨리 이루기를 바라면 결국 이루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보고 일을 한다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고 하였다 한다.

오늘의 명언 2021.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