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로봇 12

9, 싱귤라리티란?(1/7)

9, 싱귤라리티란?(1/7) 2045년에 인공지능이 인간을 초월한다? 싱귤라리티란 2045년에 인공지능이 로봇을 초월한다? SF영화 는 컴퓨터(AI)의 지성이 인간의 지성을 초월한 후의 세계를 그린 예이다. 본 기사에는 그런 영화의 세계관에도 등장하는 “인공지능의 성능이 전 인류의 지성의 총화를 초월하는 시점”인 에 대하여 해설하고 있다. 싱귤라리티란 이고, 그 도래는 2045년이라고 예측되고 있는 데서 라고도 한다. AI에 관하여 초심자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하고 있으니 꼭 최후까지 읽어서 싱귤라리티의 개념을 잡아주기 바란다. 1, 싱귤라리티란 어떤 의미인가. 2, 싱귤라리티는 가까워 졌다?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3, 2045년 문제란? 싱귤라리티가 인류에 주는 영향 1) 싱귤라리티란 어떤 의미? ..

ChatGPT에 대한 해설(4/4)

ChatGPT에 대한 해설(4/4) 대규모언어모델의 미래 여기서는 ChatGPT를 비롯한 대규모언어모델의 미래에 대해서 나 나름의 생각을 기재한다. 나는 로봇도 하고 있으므로 그 관점에서 생각하면 ChatGPT와 같은 대규모언어모델을 탑재한 로봇이 확실히 개발되어 판매될 것으로 생각한다. 예를 들면 Google의 PaLM-SayCan은 로봇으로 복잡한 다스크를 행할 수가 있다. 언어모델을 씀으로써 복잡한 다스크라도 인간처럼 말하는 것만으로 적절하게 다스크를 다루어 줄만한 로봇이 실현된다고 보고 있다. 단지 대규모언어모델에는 다수의 과제가 있다. 대표적인 것은 2가지로 모델이 너무 크다는 것과 *블랙박스 (Black box/밀폐된 기계 장치) 라는 점이다. 모델이 크다든지 로봇처럼 실시간 처리가 요구되는 ..

AI 시대 일하는 방법(3/3)

AI 시대 일하는 방법(3/3) 3) AI시대의 일하는 법을 생각한다. 일본에서는 지금 장래의 노동력 부족이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또 기업 중에서는 가능한 대로 힘을 아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자는 움직임도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기 위한 중요한 패로서 AI의 활용을 들고 있다. 가까운 장래 업계나 직종에 무관하게 AI의 도입은 진행될 것이다. 그럴 때 일 중에 특정한 최소 단위가 AI로 치환된다는 케이스도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종 그 자체가 없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 AI는 남의 일이 아니다. 그렇지만 함부로 AI를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곧 바로 그곳에 AI가 온다는 각오와 그에 따른 준비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개의 포인트를 의식하기 바란다. (1) AI에..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5/5)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5/5) 5) 딥러닝이 AI에 밝은 미래를 가져온다. 딥러닝에 의하여 기계학습, 나가서 AI분야 전체의 실용적 응용이 수많이 실현하였다. 딥러닝에는 기계에 의한 모든 종류의 지원이 가능하게 되는(혹은 기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소 단위를 분류할 수 있다. 무인자동차, 보다 예방효과가 높은 의료, 혹은 보다 적확한 영화의 제안은 어느 것이나 이미 실용화되고 있거나 금후 실용화가 전망되는 것이다. AI는 현재 및 미래의 테크노로지이다. 딥러닝의 도움을 받아서 AI는 인류가 오랜 동안 생각하고 그려온 사이언스 픽션 상태로 보다 가까워질 것이다. 누구나가 C-3PO를 벗으로 가지고 자신만의 터미네이터(The Terminaiter=영화명)를 손에 넣을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3/5)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3/5) 3) 기계학습-인공지능을 실현하기 위한 어프로치 본질적으로 이란 세상의 특정한 사상(事象/일)에 대하여 데이터를 해석하고 그 결과로서 학습하여 판단이나 예측을 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수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곧 기계학습에서는 특정한 최소단위를 완료하기 위한 명확한 수순에 따라 수작업으로 소프트웨어 *루틴을 코딩하는 것이 아니고 대량의 데이터와 다스크(task=작업, 학업, 일 등의 의미)를 실현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기계의 이 행해진다. * 알고리즘(Algorithm)=알고리즘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언어학 또는 관련 분야에서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2/5)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2/5) 2) 인공지능-기계에 의하여 재현되는 인간의 지능 다마스회의가 행해진 1956년 여름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화의를 제안한 AI 선구자들의 꿈은 이었다. 이것은 --곧 인간의 모든(혹은 그 이상의) 감각과 모든 판단력을 갖추고 인간과 동등하게 생각하는 경이로운 기계로서 우리들이 생각한 것이다. 이러한 기계는 여러 가지 영화로(때로는 스타워즈의 같은 으로서 때로는 같은 으로서) 제한 없이 그려졌었다. 기계가 영화나 사이언스 픽션 소설로서 지금도 등장하는 데에는 더한 이유가 있다. 왜냐하면 인류는 그들을 (적어도 아직은)실현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인류가 실현한 일은 (Narrow AI)의 개념에 해당된다. 이것은 특정한 최소 단위에 대하여 인간과 동등(..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1/5)

인공지능, 기계학습, 심화학습의 다름(1/5) 본고는 오랜 동안 테크노로지 저널리스트였던 마이켈 코플란드(Michael Copeland)씨가 디프러닝(Deep Learning)의 기본을 설명하는 일련의 기사 중 제1탄이다. 이들 설명은 모두 사실이고 단지 AI의 어느 면을 가리켜 하는 말인지에 따른다. 예를 들면 금년 Google DeepMind가 개발한 프로그램 (AlphaGo)이 바둑 대국에서 한국의 기사 이세돌씨를 이긴 때에 Deep Mind가 이긴 경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 , 이라는 말이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였다. 이 3개는 모두가 알파고가 이세돌 기사를 이긴 이유의 일부인데, 같은 것은 아니다. 그 관계를 생각할 때 동심원으로 나타내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먼저 최초로 생겨난 아이디어가 이다..

AI 개발 프로세스(2/3)

AI 개발 프로세스(2/3) 2) 기능. 목적에 응하는 다채로운 AI 비약적으로 진화한 AI에 의하여 지금까지 인간이 해오던 일을 점점 AI에게 넘기려 하고 있다. 그러면 AI를 활용한 제품은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가. 여기서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보기로 한다. 여러분은 AI라면 인간처럼 무엇이든지 할 수 있는 로봇 같은 이미지를 가질는지 모른다. 그러나 실은 AI는 하나의 별개의 기능을 가진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AI밥통이다, 날씨에 따라 보온을 조정하는 AI기능이 탑재된 제품의 경우, 날씨를 판단하고 있는 것은 AI인데 보온기능이나 쌀을 익힌다는 본래의 밥통의 기능은 AI가 아니다. 한편 몇 개의 AI가 복합하고 있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Pepper」군 같은 로봇이라면 인간의 회화를 듣는 AI...

AI 기초 지식(1/3)

앞서가는 지식인이 알아야 할 AI에 대한 지식 AI 기초 지식(1/3) 지금 AI(인공지능)가 일대 붐이다. 생활이나 일하는 데 등 모든 분야에서 AI의 활용이 진행되고 있다. 과연 AI로 우리들의 생활은 어떻게 변할 것인가? AI시대에서의 일하는 방법은 어떠하며 어떤 일을 골라야 할 것인가 생각해보기로 한다. 1) 점점 신변에 가까워지는 AI의 존재 인공지능은 지금 모든 분야에서 급속히 그 활용이 진행되고 있다. 휴대숍, 은행, 호텔의 엔트런스(entrance) 등 우리가 눈치 채지 못하는 사이에 AI기술과 접하고 있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꼭 군과 회화를 한 일이 있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Pepper」군은 소프트뱅크로보딕크스사(softbankrobotics)가 개발. 판매하는 감정인식 휴머..

로봇이 감정을 넣어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로봇이 감정을 넣어서 말할 수 있게 되었다. * 아마존 알렉사 (Amazon Alexa) 알렉사는 아마존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이다. 알렉사는 아마존 에코에 처음 사용되었다. 사용자는 아마존 에코를 이용해 알렉사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알렉사는 음악재생, 알람설정, 날씨정보 제공, 교통정보 제공 등 많은 기능들을 제공해준다. 위키백과 * 알렉사(Alexa)가 미국의 유자에 대하여 혹은 반대로 라는 감정이 들어있는 반응을 보내주게 되었다. 이들 감정은 약, 중, 강 3단계로 조정된다. * 알렉사가 지금까지와 같은 단조로운 비튜얼 어시스탄트(Virtual Assistant/가상비서)가 아님을 아마존이 11월 26일 블로그에서 발표했다. * 가상 비서 (Virtual Assistant) 가상 비서는 ..

과학/과학 202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