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고전 540

2월 3일, 오늘 명심할 명언.(34)

2월 3일, 오늘 명심할 명언.(34) 사람의 일은 바뀌는 법, 세월이 오고가서 고금을 이룬다. 人事有代謝, 往來成古今. (孟浩然. 與諸子登峴山) 인사유대사, 왕래성고금. (맹호연. 여제자등현산) 세상 변하는 것은 참으로 한이 없다. 날이 가고 달이오고 세월이 가서 사람이 가고 새로 태어나서 과거와 현재를 이룬다, 그러나 변하지 않은 것은 천지자연뿐이다.

오늘의 명언 2023.02.03

1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

1월 20일, 오늘 명심할 명언. (20) 길 가는 사람은 비석과 같다. 路上行人口似碑.(通俗篇) 노상행인구사비.(통속편) 길에 걷는 사람의 입은 비석과 같아서 많은 이야기를 세상에 전한다. 길 가는 사람의 소문이 수많은 유어를 만들어낸다. *『통속편(通俗篇)』=중국 통속어 사전. 청나라 시대 5천여의 속어, 성어, 속담, 지리, 시서, 윤상 등 38류로 분류하여 각각의 언어의 의미를 고증하고 어원을 해독한 책이다.

오늘의 명언 2023.01.21

1월 1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

1월 1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9) 좋은 일은 문을 나가지 않았는데 나쁜 일은 천리를 간다. 好事不出門, 惡事行千里.(傳習錄) 호사불출문, 악사행천리.(전습록) 좋은 일은 해도 오래 동안 세상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곧 바로 천리 먼 곳까지 알려진다. *『전습록(傳習録)』=중군 명나라 시대에 왕양명(王陽明)이 새운 유학인 양명학(陽明學)의 입문서이다. 제자들이 쓴 책으로 3권이 있다.

오늘의 명언 2023.01.19

1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8)

1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8) 천 마리의 양의 가죽은 한 마리의 여우의 겨드랑이에 미치지 못한다. 千羊之皮, 不如一狐之腋.(愼子 內篇) 천양지피, 불여일호지액.(신자 내편) 천 마리의 양의 가죽을 합쳐도 한 마리의 여우의 겨드랑이의 하얗고 아름다운 가죽에 미치지 못한다. 적어도 귀한 것 혹은 한 사람의 위인의 업적이 수많은 범인의 업적은 따르지 못한다. *신자(愼子/신도(慎到)=중국전국시대의 법가와 도가에 속하는 사상가이다 이름은 도(到)이다. 제(齊)나라 선왕(宣王) 때에 제나라에 가서 직하(稷下)의 학사로서 추연(鄒衍)과 전병(田騈) 등과 의론하고 저술을 함. 거의 같은 시대의 상앙(商鞅)、신불해(申不害)와 함께 법가사상을 형성한 사상가이다.

오늘의 명언 2023.01.18

1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

1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 나라가 불화하면 출전해서는 안 된다. 不和於國, 不可以出陣.(吳子, 圖國) 불화어국, 불가이출진.(오자, 도국) 전쟁에는 국가의 통일된 의도, 군대의 결속, 진영의 단합, 전투에서의 일사불란한 결전의지가 있어야 한다. 군대 내부의 의견이 일치되어야 하고 작전상의 의견이 일치되어야 하고 병사 간에 불화가 없어서 일치단결할 때에만 출진해야 한다.

오늘의 명언 2023.01.16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꽃은 반개일 때에 보고, 술은 약간 취기가 돌게 마신다. 花看半開. 飮酒微醺, (菜根譚, 後集 百二十二) 화간반개, 음주미훈. (재근담, 후집 백이십이) 꽃은 반쯤 열릴 때가 보기 좋고 술은 약간의 취기가 돌 때까지만 마시는 것이 좋다 함이다. 끝판까지를 욕심을 부리면 꽃은 시들어 떨어져 버리고 술은 취하여 스스로를 깨닫지 못하게 된다.

오늘의 명언 2023.01.15

1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

1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 인은 사람의 편안한 집이고, 의는 사람이 가야할 바른 길이다. 仁人之安宅也, 義人之正路也.(孟子, 離婁上) 인인지안택야, 의인지정로야.(맹자, 이루상) 인은 편안히 살 수 있는 집이고, 의는 당당히 걸어 갈 수 있는 바른 길이다. 사람들은 편안한 집을 비워둔 채로 살지 않고, 바른 길을 따라 가지 않으니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오늘의 명언 2023.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