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환경. 우주 346

콘티키호 표류기(4/10)

콘티키호 표류기(4/10)   4,  목숨을 함께 할 친구들  뗏목배에 함께 탈 멤버는 헤이에르달을 포함하여 6명이다. 그들은 지인이기도 하고 탐험가 클럽의 친구들이었다. 그 중에 우연히 알게 된 친구도 있었으나 모두가 의기투합하였다.    헤르만은 우연히 식당에서 만난 청년으로 기상관측이나 기계측정에 뛰어났다. 이릭은 화가로서 항해기술에도 뛰어났었다. 구누드와 돌슈타인은 무선 전문가였다 벵구는 단 한 사람의 스웨덴 사람이었으나 체격이 뛰어난 과학자였다. 노르웨이인 5명 스웨덴인 1명이 우리 콘티키호의 멤버이다. 콘티키호의 멤버들은 좌로부터 3번째가 헤이에르달이다. 그들에게 공통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전원 호기심이 왕성하고 진리를 구명하는 데는 타협을 허용하지 않고 커다란 야심과 낭만을 가지고 있다는 ..

콘티키호 표류기(3/10)

콘티키호 표류기(3/10)  3,  장하고도 커다란 실험      남미의 잉카문명과 폴리네시아문명 사이에 유사점이 많은 데 눈치를 챈 노르웨이의 민속학자 도르 헤이에르달은 폴리네시아인의 선조가 남미 대륙에서 바다를 건너온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하였다. 그리 생각하면 태평양의 섬들의 특이한 돌 문화의 근원을 남미의 잉카문명인 것이 된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무서운 위험을 무릅쓰고 수 천 킬로라는 광대한 태평양을 횡단하지 않으면 안 된다.만족한 항해기술도 없고 보잘것없는 배로 바람과 해류에 흘려서 폴리네시아인은 어떻게 해서 태평양을 건널 수가 있었는가? 그는 자신의 이 이론을 증명하기 위하여 장대한 실험을 생각하였다. 조건이나 모든 것을 같게 하여 당시 사람들이 탔던 배에 자신들도 타서 바다를 건너기로 ..

콘티키호 표류기(2/10)

콘티키호 표류기(2/10)  2,  수수께끼의 거석문화  남태평양에 점재하는 섬들에는 특이한 돌 문화가 남겨져있다. 이스타섬의 모아이는 수수께끼의 거석상이다. 섬에는 1천체의 석상이 있고 그 모두는 섬의 중앙을 향하고 있다. 모아이는 무엇 때문에 만들어졌고 어째서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가?   또 다시 서쪽으로 가면 난마도레라는 불가사의한 해상도시의 유적이 있다. 이들은 73 인구의 섬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다시 야프도(Yap Island)에는 돌로 된 거대한 화폐가 있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 이 돌 화폐는 섬 이르는 곳마다 1만 수천 개나 있고 큰 것으로는 직경이 3미터, 무게가 5톤이 넘는 것이 있다.  난마도레 도대체 이들 불가사의한 돌 문화는 어디서 영향을 받은 것일까. 모든 문명은 ..

콘티키호 표류기(1/10)

콘티키호 표류기(1/10) 노르웨이 인류학자 도어 헤이에르달(1914년-2002)  1,  콘티키호(Kon-Tiki) 호   콘티키호(Kon-Tiki)는 노르웨이 인류학자 도어 헤이에르달(1914년-2002)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뗏목배로서 페루의 가야오항에서 출발하여 남태평양 투아모스 섬까지 4,300마일(8000킬로)를 항행하였다.남태평양의 여러 섬에 사는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에 대해서 남미의 잉카문명과 폴리네시아문명과의 상사점이 많은 데서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남미에서 바다를 건너서 도래한 미국 인디언이라는 설이 있었다.  콘티키호  헤이에르달(Thor Heyerdahl) 등은 이 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인들이 그린지도를 바탕으로 하여 바르자(가벼운 뗏목용 목재의 나무)나 소나무, ..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10)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10) 10, 실리콘 생명체 지구의 거의 모든 생명은 탄소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졌다. 그와 매우 비슷한 구조와 화학적 특성을 가진 것이 실리콘이다.탄소의 원자와 분자가 형성하는 복잡한 고리는 DNA라는 생명 프로그램을 내포할 수 있을 정도로 크다.컴퓨터 칩에 쓰이는 실리콘도 또 적절한 조건이 갖추어지기만 하면 독자의 DNA를 유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그런데 지구에는 생체구조에 실리콘을 이용한 생물의 사례는 아직 없다.특히 알려진 것은 규조(珪藻)라는 조류(藻類)이다. 규조는 바다에서 매년 60억 메트릭톤(metric ton=1000kg) 이용하면서 지구의 산소의 2활을 만들어내고 있다.따라서 다른 혹성에서의 생명의 초기단계에 실리콘 ..

환경. 우주 2025.01.20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9)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9)  9, 비소생명체 비소는 대표적인 독물이다. 그러나 과학적은 그 독물이 복잡한 생체분자에 짜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비소 생명체의 논거는 그 화학특성이 지구의 생명체가 가진 DNA의 주요한 부품이고 인(燐)과 비슷하다는 것이다.그 뿐 아니라 현재 인이 DNA 가운데서 하는 역할을 초기의 지구에서는 비소가 담당했었다고 시사하는 연구도 있다.미생물이 바다의 암석에서 인을 취하게 되기 이전의 생명 초기 단계에서 열수분출공(熱水噴出孔) 가까이에서 사는 생명으로서 비소는 매우 가까운 것이다.고도의 생명으로서 비소보다도 인 쪽이 효율적인 화학물질인데 초기의 단순한 생명으로서는 비소로 충분한 셈이다.이렇게 생각하면 다른 별의 바다에 비소생명체가 잠겨 있..

환경. 우주 2025.01.17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8)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8) 8, 암모니아생명체 지구의 생명으로서 물은 불가결이다. 생물 중에 거의 모든 화학 반응에 용매가 되는 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인간이거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이나 다르지 않다.그런데 물을 대신하는 것이 있다고 한다.생명이 물 이외의 물질로 존재하려면 그 물질이 액체로서 온도의 범위가 매우 넓은데 그 환경에서 연간을 통하여 거의 기온이 변하지 안하는가의 무엇이 필요하다.예를 들면 물이 액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은 0~100도로서 100도의 범위가 있다.한편 암모니아는 마이너스 77.7~마이너스 33,3도로 44,4도라는 꽤 넓은 범위에서 액체인 채로 존재할 수 있다.그러면 생명에게는 너무 춥다고 생각할는지 모른다. 그러나 지구보다는..

환경. 우주 2025.01.16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7)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7)  7, 메탄생명체 토성의 위성 타이탄 같은 장소에는 물보다 메탄이 풍부하다.컴퓨터 모델이 나타내는 것은 메탄을 이용하는 생명이라면 극단의 저온하이거나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그에 따르면 마이너스 180도의 액체 메탄 중에서도 착실히 기능하는 세포벽(細胞壁)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타이탄의 바다에 세포막을 만들 수 있는 질소, 탄소, 수소분자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더해서 저온에서도 기능할 수 있는 세포벽이 있다는 것은 얼어붙을 것 같은 메탄의 바다에서도 생명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암모니아생명체와 같이 메탄생명체는 지구의 생명보다 훨씬 활동이 둔할 것이다. 메탄의 바다는 액체이기 때문에 얼어붙을 것 같은 온도가 아..

환경. 우주 2025.01.15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6)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6)  6, 탄소생명체  탄소생명체는 우리가 아는 유일한 생명체의 종류이고 우리들이다. 따라서 조건이 갖추어지기만 하면 다른 혹성에도 존재할 것이다.이것이 존재하는 혹성은 산소와 액체인 물로 생명을 지탱할 수가 있고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화학물질이나 화학반응에 대해서도 상상할 수 있다. 아무튼 우리들이라는 증거가 있으니까.이것은 다른 혹성에 있는 탄소생명체가 지구의 생물과 꼭 같다는 것은 아니다. 별의 환경은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진화로 그에 적응한 결과 서로 모습이 극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극단의 화경에서 살아가는 지구의 생물은 상식으로는 생존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장소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혹성에 생명이 존재할 수가 있..

환경. 우주 2025.01.14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5)

과학적으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10종의 지구외 생명체(5)  5, 하이브리드생명체 가령 지구상에서와는 전혀 다른 기반 위에서 생명이 탄생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것을 짜 맞추어서도 좋을 것이다.예를 들면 기본은 실리콘이지만 탄소나 비소를 포함하고 물 대신에 암모니아를 이용하여도 좋을 것이 아닌가.실리콘과 탄소는 서로 달라붙는다. 실리콘과 산소, 탄소와 산소, 실리콘과 불화물(弗化物/fluoride)도 그렇다.그러므로 이들 분자가 반응하여 DNA같이 정보를 보존. 전달하는 복잡한 체인이 형성될 수도 있다.또 어떤 생명이 탄소라는 원소를 기반으로 쓰고, 다른 생명이 실리콘과 같은 다른 원소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생물권이 발생할 수도 있다.곧 생물단위가 복수의 원소에 바탕을 두는 것이 아니고 생물권 전체가 복수..

환경. 우주 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