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 노소천- 77,蘇老泉,二十七,始發憤,讀書籍,彼既老,犹悔遅,爾小生,宜早思. (소노천, 이십칠, 시발분, 독서적, 피기로, 우회지 이소생, 의조사), 북송의 소순(蘇洵) 노천(老泉)은 젊을 때 27세가 되어서 발분하여 독서하고 공부에 뜻을 세웠다. 늦어서 학문의 중요함을 알게 되어 .. 기타고전/삼자경 2012.04.17
76, 여부신- 76,如負薪,如挂角,身雖勞,犹苦卓. (여부신, 여계각, 신수로, 우고탁) 서한의 주매신(朱買臣, ?~115년))은 어려서 나무를 하고 살았는데 산에서 나무를 지고 오면서 언제나 책을 읽었다. 또 수(隋)나라의 이밀(李密, 582~618년)은 가난해서 소를 치면서 살았는데 소등을 타고 그 뿔에.. 기타고전/삼자경 2012.04.15
75,여낭형- 75,如囊螢,如映雪,家雖貧,學不輟. (여낭형, 여영설, 가수빈, 학불철) 진(晉) 나라의 차윤(車胤)은 가난해서 기름을 구할 수가 없으므로 여름밤에는 반딧불을 주머니에 담아서 그 빛을 비추어 공부를 계속했다. 다시 진나라의 손강(孫康)은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를 계속하였다. 이 .. 기타고전/삼자경 2012.04.12
74, 두현량- 74,頭懸梁,錐刺股,彼不教,自勤苦. (두현량, 추자고, 피불교, 자근고) 진(晉)나라 손경(孫敬)은 밤에 독서하다가 잠드는 것을 두려워하여 머리카락을 실로 묶고 도리(梁/양)에 매어 이를 막았다. 또 전국시대 소진(蘇秦)은 추(錐=바늘)를 허벅지(股/고)에 찔러서 잠드는 것을 막았다. .. 기타고전/삼자경 2012.04.11
73, 피포편- 73,披蒲編,削竹簡,彼無書,且知勉. (피포편, 삭죽간, 피무서, 차지면) 한나라의 노온서(路溫舒)와 공손홍(公孫弘)은 가난해서 서적을 살 수 없었으므로 스스로 포초(蒲草=부들)을 짜고 대를 깎아서 서사의 재료를 만들어 남에게 빌린 책을 서사하여 배웠다. 그들은 학업의 중요함을 알.. 기타고전/삼자경 2012.04.07
72, 조중령- 72,趙中令,讀魯論,彼既仕,學且勤. (조중령, 독노론, 피기사, 학차근) 북송의 재상 조중령(趙中令) 조보(趙普)는 논어를 애독하여 곁에 두었다. 고위인 재상이 되어도 초심을 잊지 않고 여전히 부지런히 읽었다. 기타고전/삼자경 2012.04.03
71, 석중니- 71,昔仲尼,師項橐,古聖賢,尚勤學 (석중니, 사항표. 고성현. 상근학) 옛날 공자는 겨우 7살인 항표(項橐)을 스승 삼아 불치하문의 가르침을 받았다. 고대의 성현은 더욱 부지런히 배우기를 중요시 하였다. *橐(표)-자루 아가리 벌리다. 기타고전/삼자경 2012.03.31
70, 구이송- 70,口而誦,心而維,朝於斯,夕於斯 (구이송, 심이유, 조어사, 석어사) 읽을 때에는 소리를 내어 독송(讀訟)하면 마음속에서 내용을 생각하여 전심일의(專心一意)가 되고 주야로 각고 연찬해야 한다. 기타고전/삼자경 2012.03.29
69, 독사자- 69,讀史者,考實錄,通古今,若親目. (독사자, 고실록, 통고금, 약친목) 사서(史書)를 공부하려면 왕조의 사서 외에 제왕의 일상생활을 기록한 실록(實錄)도 읽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비로소 고금의 역사를 보고 체험한 듯이 역사에 밝아진다. 기타고전/삼자경 2012.03.28
68,이이사- 68,廿二史,全在茲,載治乱,知興衰. (이이사, 전재자, 재치란, 지흥쇠) 중국 역사는 이 22권의 사서(史書)에 모두 들어있다. 그 사서는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서(晉書), 송서(宋書), 남제서(南齊書), 양서(梁書), 진서(陳書), 위서(魏書), 북제.. 기타고전/삼자경 2012.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