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3/12)
-지구생명사 연표를 바꾸어 쓸 대발견에 다그친다.
3, 산소를 쓰지 않고 철을 산화하는 미생물이!
수십 년 전에 산소를 쓰지 않고 철을 산화시키는 미생물이 발견되었습니다.
빛의 에너지를 써서 철을 산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 미생물은 광합성을 하지만 산소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37억 년 전의 지구에 이런 타입의 미생물이 있었다고 하면 산소가 없는 시대에 호상철광이 만들어지는 것도 설명할 수가 있습니다.
혹시 그렇다면 먼저 <산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광합성>이 37억 년 전부터 존재하고 있어서 24억 년 전에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이 진화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그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습니다.
지질학의 세계에도 <호상철광의 철을 산화시킨 것이 참으로 생물인지 의심된다.>하는 의론이 있었습니다.
이 의론에 결과를 맺기에는 지질학적인 정보만이 아니라 생물 유전자의 정보 곧 분자정보에 의한 뒷받침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이루어지면 명왕대로부터 원생대의 시작까지 약 20억 년 정도의 지구의 역사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환경.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5/12) (0) | 2024.10.11 |
---|---|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4/12) (0) | 2024.10.10 |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2/12) (0) | 2024.10.08 |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1/12) (1) | 2024.10.07 |
달이 참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5/5) (1)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