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1/12)
-지구생명사 연표를 바꾸어 쓸 대발견에 다그친다.-
일러두기
"식물은 광합성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광합성을 수행하는 생물은 언제 탄생했을까요? 과학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라면 약 25억 년 전에 시아노박테리아가 산소를 생성하기 시작했다고 대답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가설을 뒤바꿀 대발견을 한 사람이 바로 국립연구개발법인 해양연구개발기구(JAMSTEC) 초선진연구개발부문 초선진연구개발프로그램 주임연구원인 노부 마사루(延優/Masaru K. Nobu) 씨입니다.
생명은 왜 광합성을 시작했을까요? 그것은 언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을까요? 이 질문을 바탕으로 지구 생명 연표를 바꾸는 대발견에 대해 자세히 소개합니다. (취재 및 글: 오카다 히토시/岡田仁志)“
1, 지구사나 생명사에서의 큰 테마 <산소생성>
--현재의 우리들은 산소 없이는 살 수가 없습니다. 오랜 옛날 지구의 대기에는 산소가 없었다고 합니다. 지구 환경이 격변한 것은 광합성하는 생물의 등장이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해서 좋은가요 ?
지질학적으로는 약 24억 년 전에 <산소가 없는 지구>에서 <산소가 있는 지구>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 때 무슨 <대산화(大酸化) 이벤트>가 일어났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산소를 생성하는 능력은 생물의 광합성 이외에는 거의 없습니다.
그것이 대기의 화학 조성을 싹 바꾼 것이니 광합성의 진화는 지구사상에서도 최대의 사건이라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그 진화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지구사나 생명사에서의 큰 테마입니다.
그러나 미생물은 화석을 거의 남기지 않습니다. 남기고 있는 경우에도 모습만으로는 누구의 화석인지 판명되지 않으므로 24억 년 전에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존재했었는지는 모릅니다.
여기서 말하는 미생물은 원핵생물을 가리킵니다.
광합성을 하는 녹조나 홍조 등이 화석으로 확인되는 것은 대개 15억 년 전부터입니다. 더 옛날인 35억 년 전 화석에서는 빛이 닿는 수심에 미생물이 있었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그것이 광합성을 하고 있었는지 어떤지는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35억 년 전부터 15억 년 전까지의 사이에 광합성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는 지질학적인 정보나 화석 등에서는 찾을 수가 없습니다.
'환경.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3/12) (1) | 2024.10.09 |
---|---|
광합성을 하는 생물이 언제 탄생했을까? (2/12) (0) | 2024.10.08 |
달이 참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5/5) (1) | 2024.09.27 |
달이 참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4/5) (5) | 2024.09.26 |
달이 참으로 인간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3/5) (0)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