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3)
인도양 해저를 만드는 3개의 플래트(plate)
인도양의 심해저는 3대의 중앙해령을 경계로 해서 주된 3장의 플래트로 구분된다. 그 3개란 아프리카플래트, 남극플래트, 호주플래트이다.
인도반도 일대는 인도 플래트라 불린다. 일찍이 인도플래트와 호주플래트는 따로 움직이고 있었다. 그런데 현재에는 이들 2개의 플래트는 거의 일체가 되어서 움직인다. 그래서 양자를 합쳐서 <인도. 호주 플래트>라 불리기도 한다.
인도양 주변에는 기타 아라비아반도를 내포하는 플래트가 있어서 다시 북방에는 거대한 유라시아 플래트가 펼쳐져있다. 이상 6장의 플래트가 인도양에서 확대했다가 부닥쳤다가 한 결과 대륙의 배치가 조금씩 변하여서 현재에 이르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인도양의 중앙이나 동쪽에 <동경 90도 해령>이라는 불가사의한 이름이 붙은 해저산맥이 있다. 그 이름이 나타내듯이 이 산맥은 동경 90도선과 거의 겹쳐서 정규로 선을 그은 것 같이 곧장 바르다. 마치 뱅갈만을 향하여 돌출한 날카로운 창처럼 보인다.
이 해령은 앞에서 말한 3개의 중앙해령과는 달라서 확대축은 아니다. 그러면 도대체 무엇일까?
마음에 걸리지만 그 씨를 밝히는 것은 조금 기다리기 바란다.
먼저는 인도양에서 과거에 일어난 플래트의 이동과 그 결과처럼 현재의 인도양이 형성되었는지를 보기로 한다. 그 후 다시 이 불가사의한 한 자루의 창-동경90도해령에 시선을 돌려서 그 형성에 이르는 경위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다음은 후편인 <인도양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지구상에서 가장 긴 ‘직선 지형’의 비밀>에서 보기로 한다.*(완)
일본어원문= 日本の気候を支配する謎の大海「インド洋」の知られざる姿
출처=https://news.yahoo.co.jp/articles/
필자=가모 도시다카(蒲生俊敬)
도쿄대학 명예교수. 1952년생. 도쿄대학이학부화학과 졸업. 동대학대학원이학계연구과화학정공박사과정수료(이학박사), 전문은 화학해양학. 북해도대학 교수. 도쿄대학대기해양연구소 교수 역임. 해양필드연구에 정열을 기울여 승선일수 1740일에 이름.
'환경. 우주 >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5) (0) | 2021.10.22 |
---|---|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4) (0) | 2021.10.21 |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2) (0) | 2021.10.19 |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1) (0) | 2021.10.18 |
세계에서 제일 깊은 바다의 깊이는? (0) | 2021.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