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제일 깊은 바다의 깊이는?
마리아나해구의 조사는 20세기에 들어서 시작되었다. 일본의 측량함 <만주(滿洲)>가 1925년 10월 3일에 마리아나해구 중 북위 11도 13,8분. 동경 142도9.3분 위치에서 9,814.6m를 관측하였다. 그 시기의 측량방법은 해저까지 내린 피아노선의 길이에 따라 수심을 측량하는 방법이었다. 역시 이 관측에서 얻어진 수심은 당시의 세계 최심수심이었다.
세계최심부를 발견한 해양조사선
영국의 해양조사선 <차렌저 (Challenger) 8호>가 1951년 6월에 마리아나해구에서 화약 폭발에 의한 가청음파를 이용한 지진탐심을 행하고 있을 때 동원 14일에 북위 11도 21분. 동경142도 15분 위치에서 10,863.2m를 관측 그 날 저녁 선단에 140폰드(약 64 Kg)의 종을 단 피아노선을 해저까지 내리는 방법으로 다시 측량을 행하여 폭발음에 의한 음향측심의 결과가 바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마리아나해구 중에 있는 세계의 바다의 최심부는 이 깊이를 발견한 영국 해양조사선 차렌저8세호에 따라서 차렌저해연 (Challenger Deep)이라 부르고 있다.
처음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된 수심
러시아의 <비차지호>가 1957년 8월에 동 해역에서 배에서 발사한 음파가 해저에서 반사하여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인간이 수동으로 측정하여 구하는 음향측심(주파수10kHz)이라는 방법에 따라 11,034m를 관측하였다.
이것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수심이 되어 해도나 지도장에 기재하게 되었다. 그러나 피차지호에 따른 측정은 인간의 수동으로 측정하여 구한 것이라는 점 및 그 후의 조사에서 같은 정도의 심도가 측정되지 않았던 데서 그 의의가 생겼다. 그러나 과학적으로 이에 대신할 측정치가 얻어지지 않았던 점에서 오랜 동안 변경되지 않았다.
세계 최심부의 수심개정의 계기가 된 측량선 탁양(拓洋)에 의한 측심
해상보안청해양정보부의 측량선 <탁양(拓洋)>(1983년8월 취역)이 서태평양해역공동조사(WESTPAC)의 일환으로 매년 동계에 실시하고 있는 해양관측에 맞추어 의의가 발생한 차렌자저연을 나로멀티빔(narrow multibeam) 측심기라는 음향측심기에 의하여 측량을 행하여 1984년 2월 동 해연의 동부. 서부. 중부 3개소에 다음의 수심을 관측하였다.
차렌저해연의 수심 조사표
장 소 | 위 도 | 경 도 | 최심부의 깊이 |
차렌저해연 동부 | 북위 11도22.7분 | 동경142도35,3분 | 10,924m |
차렌저해연 중부 | 북위 11도21.9분 | 동경142도26,5분 | 10,901m |
차렌저해연 서부 | 북위 12도12,6분 | 동경142도35.3분 | 10,909m |
세계 바다의 최심부의 결정
1935년 5월에 미국에서 개최된 GEBCO의 제14회 합동지도자위원회에서 미국의 <토마스 워싱턴호>(스크립스해양연구소소속)이 1980년에 측정한 10,915m의 측량성과와 일본의 <탁양>(해상방위청 양정보부소속)이 1984년에 측정한 10,924m의 측량성과에 대하여 토의한 결과 양선의 측정치 및 그 오차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차렌저해연의 수심치가 10,920±10m이라고 확정되었다. 그 후 이 값에 기초하여 각국의 해도나 이과연표 등에서 세계의 최심수심이 개정되었다.
* GEBCO(GEneral Bathymetric Chart of the Oceans)전 세계를 커버하는 해저지형도를 작성하기 위하여 국제수로기관(IHO) 및 유네스코 정부간 해양학위원회(IOC)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국제 프로젝트
일본어원문=世界で一番深い海の深さは?
출처=https://www1.kaiho.mlit.go.jp/KAN5/soudan/faq_deep_sea.html
'환경. 우주 > 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2) (0) | 2021.10.19 |
---|---|
인도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 (1) (0) | 2021.10.18 |
바다에 대한 기초지식 (2) (0) | 2021.09.21 |
지구에서 보는 태양과 달은 어째서 거의 같은 크기로 보이는가. (0) | 2021.09.03 |
어째서 지구 등 천체는 <구형>인가?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