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AI 38

10, 인공지능이 인류를 경악시킨 10가지 순간(5/5)

10, 인공지능이 인류를 경악시킨 10가지 순간(5/5) 2, 눈이 열려있지 않다, 다시 해야 한다. 아시아인에 대한 AI의 비판 뉴질랜드 출신인 아시아계 남성 리차드 리는 파스보드경신을 위하여 제출한 증명사진 얼굴 인정 소프트에 의하여 거절당하는 일을 당하였다. 총무성의 AI가 사진을 거절한 이유는 눈이 감겨 있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눈을 크게 뜨고 정면으로 촬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얼굴 인식 사진은 AI의 기준을 채우지 못하였던 모양이다. 사진이 접수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은 인간이 직접처리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화제가 되었는데 리씨는 특히 기분 나쁘게 생각한 일은 없고 얼굴 인식 기술은 아직 발전의 여지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파스보드는 무사히 경신한 모양이다. 1, 자..

9, 싱귤라리티란?(7/7)

9, 싱귤라리티란?(7/7) 2) AI(인공지능)에 의한 싱귤라리티(2045년 문제)에 대한 의견 싱규랄리티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도 꽤 있다. 특히 AI전문가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 같다. 예를 들어보자. 부정적인 의견의 예 1 라는 자기의식을 창출하는 근거마저 아직 우리들은 가지고 있지 않고 2058년이 되어도 도달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부정적인 의견의 예 2 현 시점에서는 디프러닝은 해석되지 않는다. 어떤 사상(事象)에 대해서 왜 바르게 판단되었는지 혹은 어째서 바르게 판단되지 않았는지를 알 수 없다. 하는 수가 없으므로 학습데이터를 가르쳐서 판단시키고 또 틀리면 다시 가르쳐서 반복하여 어디까지 가면 인간 레벨이 되는지 알 수 없고(인간 레벨이 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다. 달리는 ..

9, 싱귤라리티란?(6/7)

9, 싱귤라리티란?(6/7) 7, 레이 카츠와일의 싱귤라리티의 미래 예측 레이 카츠와일에 의하면 싱귤라리티까지의 미래 예측은 이하와 같다. 어느 것이나 우리의 상상을 크게 초월하는 내용뿐으로 참으로 놀라고 있다. 이것은 거의 SF의 세계와 같다. 게다가 놀라운 것은 레이 카츠와일에게는 미래 예측이라고 해서 컴퓨터가 제체스로 인간을 이기는 시기, 사람 게놈 해석이 완료하는 시기를 적중시킨 실적이 있다. (2020년대) * 나노마신(크기가 0.1-100나노미터 사이즈의 미소장치)이 의료목적으로 사용되기 시 작한다. (주 나노= 10의-9자승) * 2020년대 후반 경에는 가상현실이 실세계와 구별할 수 없는 정도로 진보한다. * 2029년경에는 인간과 동등한 레벨의 AI(강한 AI)가 탄생한다.(주= 강한 A..

9, 싱귤라리티란?(5/7)

9, 싱귤라리티란?(5/7) 6) 싱귤라리티가 인간에게 주는 영향 그러면 싱귤라리티가 인류에게 끼치는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레이 카츠와일 저 (HNK출판)에 의하면 나노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장기의 많은 것이 필요 없게 되거나, 불로불사가 현실이 된다거나, 뇌의 중추를 컴퓨터에 직결함으로써 의식을 컴퓨터에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고 한다. 인간의 의식의 업로드란 그 사람의 전인격, 기억, 기능, 역사가 사이버스페이스에 카피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미지는 영화 나 만화 영화 가 참고가 될는지 모른다. 는 인간의 의식을 사이버스페이스에 업로드 함으로써 일어나는 사건을 그리고 있다. 는 사람들이 전뇌화 함으로써 스마트폰 같은 디바이스가 없이 통신하는 세계가 그려진 작품이다. 이 외에도 안정된..

9, 싱귤라리티란?(3/7)

9, 싱귤라리티란?(3/7) 3) 싱귤라리티는 갑자기 일어난다. 그런데 싱귤라리티는 약 30년간 후에 갑자기 일어날 것인가? 실은 이미 변화는 일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싱귤라리티에 앞서 올 충격은 라 하는 이라는 싱귤라리티에 대한 저서에서 사이토 모토아키(齊藤元章) 씨는 2030년경에 도래한다고 하고 있다. 또 프레 싱귤라리티와의 대치 방식을 잘못하면 참 싱귤라리티를 보지도 못하고 인류의 존재 자체가 우주에서 영원히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고 시사하고 있다. 4) 2045년 문제란? 싱귤라리티가 인류에게 끼칠 영향 2045년 문제란 고 하는 문제이다. 현재의 AI개발의 페이스를 수확가속의 법칙에 비추어 보면 싱귤라리티가 2045년에 일어난다고 예측됨으로써 이 명칭이 붙었다.

9, 싱귤라리티란?(2/7)

9, 싱귤라리티란?(2/7) 2) 싱귤라리티는 가깝다? 실현가능성에 대하여 싱귤라리티는 레이 카츠와일 씨를 비롯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컴퓨터테크놀로지의 진화에 대하여 * 및 그것을 확장한 *을 근거로 예측한 가설로 현재로는 기술적으로 충분히 도래할 수 있다고 인정되고 있다. 카츠와일 씨는 을 확장한 이 우주 모든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거기서 싱귤라리티의 도래를 2045년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특히 유전자공학, 나노테크놀로지, 로봇공학의 3분야가 비약적인 성장을 성취하여 인류의 역사를 영원히 변하게 한다고도 예측하고 있다. * 무아의 법칙=집적회로가 2년 약의 주기로 성능이 배증해가는 경험칙. * 수확가속의 법칙=여기서는 카츠와일 씨에 의하여 제창된 “테크놀로지는 지수관수적(指數關數的)으로..

3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83)

3월 24일, 오늘 명심할 명언. (83) 병법에서 졸렬하게 싸우더라도 속히 끝맺는 게 좋다는 말은 들었어도, 교묘하게 싸우면서 오래 끄는 게 좋은 경우는 본 적이 없다. 고래로 전쟁은 속히 집중하여 싸우는 것이 좋다고는 들었어도 우물쭈물 하여 국가 국민을 위하여 좋다는 예는 없다. 장기전은 피하고 뻘 속에 빠지는 일은 없어야 한다. 兵聞拙速, 未睹巧之久也.(孫子) 병문졸속, 미도교지구야.(손자)

오늘의 명언 2023.03.24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2/2)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2/2) 2) 저명인사들의 발언 소프트 뱅크 사장 손정의 인용/THE VERGE(2016년 6월) 싱규랄리티대학 전 학장 닐 씨 (인용/SingularityHub(2016년12월) DeepMind Team(Google) 우리들은 훈련된 AI 에이젠트를 (경제활동이 가능한 사람)로서 생각할 수가 있다.(인용/DeepMind(2017년2월) 토마스 씨 (헤지펀드(hedgefund) 오너) 2016년 겨울 카츠와일 씨와의 회식을 겪고, 싱귤라리티가 주목하게 된 원인의 하나로 이라크전쟁(2003-2011)이 있다. 전투에서 부상당한 병사의 의족 프로그램이나 사지마비한 사람도 생각하는 것만으로 타이핑이 가능한 시스템의 개발 등 사람들의 생활을 서포트하기 ..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1/2)

싱귤라리티(singularity)와 2045년의 문제란? (1/2) 테크놀로지계에 있어서의 싱귤라리티란 사람보다도 인공지능 쪽이 현명해지는 분기점을 말한다. 혹은 인공지능 자체로 자기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 되고 자기개선을 반복하여 인간의 지능을 훨씬 초월하게 되는 것이 가능해지는 때를 싱귤라리티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이 말은 1950년대에 처음으로 테크노로지에 쓰여 2005년에 출판된 로 주목하게 되었다. 본서 안에서 싱귤라리티의 원칙은 39항목에 걸쳐 설명되고 있는데 강연(2017년 2월 7일)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인공지능은 2029년경에 언어이해분야에서 사람과 같은 수준이 되고, 2030년대에는 뇌와 크라우드가 통신하게 되고, 2045년까지에 우리들은 지금보다 10억 배 많은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