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채근담 46

6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9)

6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69) 인생에서 1분을 줄이면 1분을 벗어날 수 있다. 人生減省一分, 便超脫一分. (菜根譚, 後集131) 인생감성일분, 편초탈일분. (채근담, 후집131) 인생에서 1분을 줄이면 곧 1분을 생활의 속박에서 벗어날 수가 있다는 말이다. 우리의 삶에서 무엇인가를 조금 줄이면 조금이라도 무엇인가를 벗어날 수가 있다. 날마다의 하는 일을 줄이려 하지 않고 거꾸로 늘려 가면 자신의 활동이 속박되거나 자기 생활의 몫은 그만큼 줄어든다. 말을 많이 하면 그만큼 구설에 오르기 쉽고 말을 줄이면 그만큼 구설을 받지 않게 될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lBnywIm3WDQ

오늘의 명언 2022.06.18

5월 2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41)

5월 21일, 오늘 명심할 명언 (141) 사람에 접하면 모두가 한 덩이의 화기이다. 接人則渾是一團和氣. (近思錄, 聖賢) 접인즉혼시일단화기. (근사록, 성현)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따스함을 가진 사람에게는 많은 사람이 모인다. 그것은 화기에 차 있기 때문이다. 그 화기가 겉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겉과 속으로 우러나는 화기라야 한다. 채근담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곧 우리는 마음이 따뜻함에서 우러나오는 화기를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OE5nkS-eMmc

오늘의 명언 2022.05.21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8)

5월 18일, 오늘 명심할 명언 (138)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하게 마신다. 花看半開, 酒飲微酔. (菜根譚) 화간반개, 주음미취. (채근담) 꽃은 반쯤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조금 취할 정도로 마신다. 그때가 가장 멋지다. 만개한 꽃을 보는 것이나 술이 만취해버리면 무슨 정취가 있겠는가. 무엇이나 가득히 채우려 하지 말아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76sYEeMiXHI

오늘의 명언 2022.05.18

4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9)

4월 29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9) 오래 엎드린 자는 반드시 높이 난다. 伏久者飛必高. (菜根譚) 복구자비필고. (채근담) 오랫동안 날개를 접고 날지 않는 새는 한 번 날았다 하면 반드시 높이 난다는 말이다. 인생도 오래 은둔하여 수양을 쌓은 자는 일단 세상에 나타나면 훌륭한 일을 해 낸다. 복구(伏久) 곧 오래 엎드려있다는 것은 그저 쉬어서는 안 된다. 세상에 나타나서 높이 날려면 힘을 기르고 지식을 쌓으며 신체적으로도 연단하는 기간이 되어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ivaaupwBhJY

오늘의 명언 2022.04.29

3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68)

3월 9일, 오늘 명심할 명언 (68) 인생은 백마가 달려 지나가는 것을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다. 人生如白駒過隙. (十八史略) 인생여백구과극. (십팔사략) 인생은 문틈으로 백마가 달려 지나가는 것을 보는 것처럼 참으로 한 순간에 지나지 않다는 말이다. 송(宋)나라 태조가 공신들에게 한 말로서 공신들에게도 라고 했다고 한다. 채근담(菜根譚)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우리는 참으로 즐겁고 의미 있는 인생을 보내야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X8HvxoHvOWs

오늘의 명언 2022.03.09

2월 1일, 오늘 명심할 명언 (32)

2월 1일, 오늘 명심할 명언 (32) 의기는 차면 뒤집어진다. 欹器以満覆. (菜根譚) 의기이만복 .(채근담) 의기(欹器)란 물을 담는 그릇이다. 물이 비어있을 때는 기울고 반쯤 들어가면 똑 바로 서고 차면 뒤집어진다. 욕심을 다 채우면 뒤집어진다는 것을 잘 알고 욕심껏 채우려 하지 말아야 한다. 순자(荀子) 유좌편(28 宥坐篇)에 이런 말이 있다. 어느 날 공자가 노나라의 종묘를 참관할 때에 이 를 보고 제자들에게 명하여 물을 붓게 하였다. 그러자 물이 차자마자 갑자기 뒤집어졌다. 공자는 이것을 보고 “아 어찌 차면 뒤집어지는 것이 있었구나.”하고 개탄했다고 한다. 모든 것이 꽉 찬 사람을 경계하는 말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0fBrKs8ku0

오늘의 명언 2022.02.02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1월 15일, 오늘 명심할 명언 (15) 덕은 재주의 주인이고, 재주는 덕의 종이다. 徳者才之主, 才者徳之奴. (菜根譚) 덕자재지주, 재자덕지노. (채근담) 덕은 재능을 지배하는 주인이고 재능은 덕에 의하여 쓰이는 노예이다. * 중국 고전의 하나로서 전집(前集) 222편에는 인간관계를 주로 다루고, 후집(後集) 135편에는 자연과 한가롭게 사는 즐거움을 적은 중국 명대 말기의 홍자성(洪自誠)의 수필집이다. 채근담이라는 말은 주희(朱熹)의 소학(小學) 선행 제6 말미의 말에서 유래 하는 데 곧 뜻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YuGWyTds70s

오늘의 명언 2022.01.15

12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12월 13일, 오늘 명심할 명언 족함을 아는 사람은 선경에 있고 족함을 모르는 사람은 어디나 쓸모없는 경지이다. 知足者仙境, 不知足者凡境. (菜根譚, 後21) 지족자선경, 부지족자범경. (채근담, 후21) 만족함을 아는 사람은 신선의 경지에서 항상 즐거워하고 만족함을 모르는 사람은 어떤 경우에도 쓸모없는 경지라고 생각하여 편치 못하다함이다. 사람의 행불행은 만족함을 알고 모르는 데에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MLbnQbkKQQ

오늘의 명언 2021.12.13

11월 27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월 27일, 오늘 명심할 명언 공을 세워 업을 이루는 자는 허원의 사들이다. 建功立業者, 多虛圓之士. (菜根譚) 건공립업자, 다허원지사. (채근담) 사업을 성공시켜 공적을 세우는 자는 순수하고 임기응변의 재주가 있는 사람이다. 곧 정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춘 사람들이라 함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3WlzM4_BfSM

오늘의 명언 2021.11.27

11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11월 16일, 오늘 명심할 명언 닦을 때는 당연히 쇠붙이를 달구 듯하고 급히 하면 깊숙하지 못하다. 磨礪當如百煉之金, 急就者非邃養. (菜根譚) 마려당여백연지금, 급취자비수양. (채근담) 자기 자신을 연단시킬 때에는 금을 정련하듯이 충분한 시간을 두고 연마해야 한다. 서둘러서 속성으로 일을 한다면 그것은 숙련된 것은 되지 못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_5foWE9yD2s

오늘의 명언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