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고창신 溫故創新 ongochangsin

스마트폰 10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 : 지금시대 스마트 효도법

(12) 부모님 기력을 보해드리자! 부모님의 몸에 주유를 해드리자. 자동차에 기름이 떨어지면 주유소에 가서 기름을 넣는다. 이제라도, 우리 가족을 태우고 싣고 나르느라 고생하신 우리 부모님의 몸에 주유를 해드리자. 귀한 기름을 칠해드리자. 부모님과 항상 함께 지내면 잘 알아차리지 못할지 모르지만 어쩌다 뜸하게 뵈오면 몸이 가로 세로로 많이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에 저장해 놓은 예전에 찍은 사진과 최근에 촬영한 사진을 비교해 보아도 부모님은 눈에 띄게 수척해지고 있다. 이런 약 저런 약,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을 매일 드시고는 있겠지만 더 필요한 것은 약국에서 처방해주는 약이 아니라, 건강보조식품이다. 조금 값이 나가는 좋은 약초, 영양제, 맛난 음식 등이다. 이번 어버이날에 즈음해서 마음 크게..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 : 지금시대 스마트 효도법

(8) QR코드 체크인, 전자출입명부 인증하기 아차! 정말 미처 깨닫지 못했다. 코로나19시대의 필수사항을 잊고 있었다. 이크!! 요새 어디를 가든 어느 곳에 출입을 하든 기록을 남겨야 한다. 코로나19 시대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매 번 수기로 전화번호, 이름, 방문 시간 등을 작성하는 것은 번거롭다. 그래서 생긴 것이 QR코드 체크인을 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인증을 하고 있다 우리야 네이버나 카카오톡 등으로 QR코드 전자출입명부 인증을 편하게 쉽게 하고 있다. 그러나 부모님들이 그 인증을 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을 이제야 깨달았다. 누가 옆에 있는 자녀들이 부모님의 핸드폰으로 간편하게 QR코드 체크인, 전자출입명부 인증 하는 방법을 알려 주시기 바란다. 그것도 꼭 자세하게 친절하게..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 : 지금시대 스마트 효도법

(7) 스마트폰 뒀다 뭐~하니!!? 택배기사님이 찍어서 보내 준 '부모님 집 대문 사진'을 보고 ‘딸깍’ 핸드폰 문자메시지가 도착했다는 신호음이다. 며칠 전 주문한 물건을 부모님 댁 문 앞에 잘 두고 왔다는 택배 기사님의 확인 내용이다. 택배 포장된 물건이 대문 앞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사진이다. 낯이 익은 대문. 그 사진을 보는 순간. 지금 바로 그 문을 열고 부모님이 나와서 물건을 챙기고 들어가시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한참을 들여 다 봤다. 부모님을 그리는 마음은 각양각색일 것이다. 부모님을 그리는 마음이 그 어떤 효도 앞에 우선이다. 필요조건이다. 마치 부모님을 스토킹하는 사람처럼 돼서는 안 되겠지만 최소한 그양 거기에 당연히 존재하는 존재처럼 생각하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

어버이 살아실제 섬기길 다하여라 : 지금 시대 스마트 효도법

(1) 카카오톡 프로필 사진 교체해 드리기 에헴!! 한마디 거들기 : 한국갤럽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100%이고, 이 가운데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95%를 차지한다고 한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4만9861명.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802만6915명이었다. 우리 부모님들은 제4차산업혁명이니 인공지능이니 스마트시대니 하는 새로운 조류에 혼란스러움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새로운 기술이나 기기 사용이 아무래도 불편하다. 이런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서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가진 젊은이들이 우리 부모님들의 마음을 배려해 드리자.

<게임 이론>을 낳은 천재 노이만은 경제학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을 낳은 천재 노이만은 경제학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폰 노이만은 스마트 폰의 기초가 되는 컴퓨터의 구조를 개발하고 원자폭탄 개발에도 중심적인 지도자로서 참가하는 한편 경제학의 근본적인 대개혁도 성취시키고 있다. 을 정식화 원자폭탄 투하를 목전에 두고 로스알라모스의 업무에 바쁜 가운데에도 노이만은 일하는 사이에 컴퓨터의 를 고찰하고 있어서 손으로 적은 메모를 골드스타인(Herman Heine Goldstine、1913-2004=미국 수학자. 계산기과학자)에게 보냈다. 1945년 골드스타인은 그들의 메모를 라고 제목을 붙인 101쪽의 타이프 원고로 정리하였다. 물론 그 저자명은 으로 되어 있다. 은 의 후속기로서 개발되는 컴퓨터의 명칭이다. 여기서 노이만은 이라는 현대의 컴퓨터의 근본이 되는

천재들 이야기 2021.03.06